본문내용
1. 흉통의 정의 및 중요성
1.1. 흉통의 정의
흉통(Chest pain)은 가슴에 위치한 심장과 폐 등의 순환 및 호흡기관에 관련된 장기들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이다. 정확한 진단과 신속한 대처가 환자의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응급상황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흉통을 호소하는 환자를 만났을 경우 중증 응급 질환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신속히 평가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흉통의 중요성
흉통은 심장과 폐와 같은 중요 장기의 질환이나 문제를 나타내는 증상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 심각한 질환일수록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이므로, 흉통 환자를 만났을 때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특히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대동맥질환, 폐동맥색전증, 긴장성 기흉 등과 같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한 질환이 흉통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는 점에서 흉통에 대한 사정과 감별진단이 중요하다"". 이러한 질환들의 예후는 진단과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에 크게 영향을 받는데, 이를 '"Golden time'"이라 부르며 환자의 생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흉통 환자를 만났을 경우, 신속한 평가와 대처가 필요하며 중증 응급 질환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접근해야 한다""
2. 흉통의 유발 원인
2.1.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질환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질환들에는 급성 관상동맥증후군(ACS), 대동맥 질환, 폐동맥색전증, 긴장성 기흉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질환들은 진단과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이 환자의 예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급성 관상동맥증후군의 경우, 불안정형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이 포함되며, 심근경색증의 감별진단이 특히 중요하다. 대동맥 박리 질환은 급성으로 고강도의 찢어지는 듯한 통증이 등이나 어깨로 방사되는 특징을 보이며, 국소적 신경장애와 맥박소실이 나타날 수 있다. 폐동맥색전증은 급성으로 호흡곤란, 빈호흡 및 흉막성 통증이 동반되며, 긴장성 기흉의 경우 즉각적인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처럼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질환들은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응급실 간호사는 이러한 질환들의 특징을 숙지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2.2. Golden time의 중요성
흉통은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질환의 증상일 수 있으며, 그중 진단과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이 환자의 예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질환들이 있다"" 이러한 질환에는 급성 관상동맥증후군(ACS), 대동맥 질환, 폐동맥색전증, 긴장성 기흉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질환들은 시간에 민감하기 때문에 신속한 평가와 대응이 필수적이다. 의료진이 흉통 환자를 만났을 경우 중증 응급 질환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신속히 평가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3. 흉통의 사정
3.1. PQRST 통증 사정 도구
PQRST 통증 사정 도구란 환자의 통증을 체계적으로 사정하기 위한 도구로, 통증의 요인(Precipitating events), 양상(Quality of pain or discomfort), 부위(Radiation of pain), 정도(Severity of pain), 지속시간(Timing)을 파악하여 통증의 원인을 진단하고자 하는 것이다"
요인(Precipitating events)에서는 통증을 유발하거나 완화시키는 요인, 즉 언제 통증이 발생하고 완화되는지를 파악한다.
양상(Quality of pain or discomfort)에서는 통증의 양상이 둔함, 예리함, 압박감, 찌르는 듯함, 조임, 부수는 것 같음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한다.
부위(Radiation of pain)에서는 통증이 복장뼈 아래, 흉부 전체, 목, 어깨, 팔, 등쪽으로 방사되는지를 확인한다.
정도(Severity of pain)에서는 통증의 정도를 0~10의 척도로 파악한다.
지속시간(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