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발성 골절 Case Study"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다발성 골절의 정의 및 특징
2.1. 골절의 개념 및 원인
2.2. 다발성 골절의 발생 기전
2.3. 다발성 골절의 증상과 진단
3. 사례 연구
3.1. 대상자 정보
3.2. 진단 및 검사 결과
3.3. 치료 과정
3.4. 간호 문제 및 간호 중재
4. 골절 환자의 간호 관리
4.1. 통증 관리
4.2. 감염 예방
4.3. 출혈 및 혈전 관리
4.4. 운동 및 재활 지원
5. 다발성 골절 환자의 간호 특성
5.1. 노인 환자의 특성 고려
5.2. 만성질환 관리의 중요성
5.3. 정서적 지지와 교육
6. 결론
6.1. 사례 연구의 시사점
6.2. 다발성 골절 환자 관리를 위한 제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다발성 골절이란 12쌍의 늑골 중 3개 이상의 뼈가 골절된 상태를 말한다. 이는 주로 외부의 강한 힘이 가해져서 발생하며, 노인의 경우 뼈가 약해져 있어 작은 충격에도 쉽게 골절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다발성 골절은 늑골이 갈라지거나 어긋나면서 폐와 혈관 등의 인접 조직을 다칠 수 있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노인 환자의 경우 폐기능 저하로 인한 호흡기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다.
따라서 다발성 골절 환자에게는 통증 관리, 감염 예방, 출혈 및 혈전 관리, 적절한 운동과 재활 지원 등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간호가 필요하다. 또한 노인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만성질환 관리와 정서적 지지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2. 다발성 골절의 정의 및 특징
2.1. 골절의 개념 및 원인
뼈의 연속성이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소실된 상태를 골절이라 한다. 골절은 주로 외부의 과도한 충격이나 힘으로 인해 발생한다.
뼈가 약해진 상태에서도 작은 충격으로도 쉽게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골다공증이나 뼈 종양이 있는 경우 병리적 골절이 일어날 수 있다.
교통사고, 낙상, 구타, 기계에 의한 압박 등 외부의 외상이 주된 원인이 된다. 특히 노인의 경우 뼈가 약해진 상태에서 작은 충격에도 쉽게 골절이 발생하며, 합병증의 위험도 크다.
2.2. 다발성 골절의 발생 기전
12쌍의 늑골 중 제 1, 2번째 늑골은 보호가 잘 되어 있어 심한 압박 손상이 가해지지 않는 한 골절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제 4~8번째 늑골은 흉곽 근육으로 잘 보호되지 않아 골절이 흔히 발생한다. 늑골이 갈라지거나 골절되어 제 위치에서 벗어나면 날카로운 조각들이 늑막이나 폐를 찌르게 되어 혈흉이나 기흉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늑골 골절의 개수가 많을수록, 양측일수록, 골절편의 전위정도가 클수록 외상성 혈흉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외상성 기흉이 발생하면 피하 기종이나 폐좌상의 동반 가능성도 높다. 이처럼 다발성 늑골 골절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혈흉, 기흉, 피하 기종, 폐좌상 등이 있다. 따라서 다발성 늑골 골절 환자에서는 합병증 발생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신중한 관찰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2.3. 다발성 골절의 증상과 진단
골절의 주 증상은 골절부위의 심한 통증이다. 특히 심호흡이나 기침을 하거나 몸을 움직일 때 통증이 더 악화된다. 손상부위 통증이 흡기 시 증가하며 흉부가 고정되고 얕은 호흡을 하게 된다. 폐 손상이 있을 경우 선홍색 객담을 뱉기도 한다. 또한 골절부위를 누르면 압통이 심해진다.
다만 흉부 내 장기의 손상 없이 늑골골절만 있는 경우에는 통증과 늑골주변의 혈종, 부종이 있을 수 있다. 늑골 골절의 확진 진단은 단순 흉부방사선촬영과 늑골방사선촬영으로 대부분 이루어진다. 그러나 골절여부가 확실치 않을 경우나 골절과 더불어 발생된 합병증의 동반 의심이 있을 때는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술(CT)을 실시하여 보다 정확히 상태를 평가하여야 한다. 이외에도 동위원소를 주사하여 촬영하는 골 주사검사나 초음파검사 등도 골절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골절은 단순히 골절만 있는 경우도 많지만, 늑골이 어긋나거나 흉강 속으로 부러진 늑골이 폐를 손상 줄 정도로 골절이 심할 경우에는 늑간동정맥에 손상이 동반되어 혈흉이 합병될 수 있다. 또한 폐의 손상으로 인한 기흉, 혈흉 등이 합병될 수 있다. 특히 1,2,3번 늑골의 골절 시는 팔로 가는 신경과 쇄골동정맥과 대동맥의 손상을 동반할 수 있다.
이처럼 다발성 골절은 통증, 출혈, 폐 합병증 등 다양한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골절의 형태와 정도를 신속히 평가하고 필요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사례 연구
3.1. 대상자 정보
여성, 75세의 대상자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가지고 있다. 고혈압(10년전), 뇌종양(20년전), 갑상선암(15년전), 부정맥(2021년)의 만성질병력을 가지고 있다. 2022년 3월 18일 집에서 넘어져 오른쪽 가슴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게 되어 타 병원에서 다발성 늑골 골절 및 혈흉 진단을 받고 본 병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입원 당시 오른쪽 가슴 부위의 찌르는 듯한 통증(NRS 4점)을 호소하였다.
3.2. 진단 및 검사 결과
CHEST PA (A...
참고 자료
의약품 안전나라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https://nedrug.mfds.go.kr/searchDrug
의약품안전나라 > 통합검색 > 의약품등 정보검색 (mfds.go.kr)
김성태(2021).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여성간호. 에듀퍼스트.44p~75p
Suzanne C. Smeltzer, Brenda G. Bare, Janice L. Hinkle, Kerry H. Cheever (2012). 성인간호학 번역본 BRUNNER&SUDDARTH’S Textbook of Medical surgical Nursing. 군자출판사.
난다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11TH 2018-2020, 학지사메디컬
필통 성인간호학1 요약집, 에듀팩토리
[네이버 지식백과] 늑골골절 [rib fracture, 肋骨骨折]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갈비뼈 [rib]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늑골골절 환자 치료: 결과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 분석 = Original Articles : Management of Patients with Rib Fractures, 김한용 (Han Yong Kim), 성균관대 흉부학교실, 2010
성미혜 외 공저,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제2판, JMK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9판개정, 수문사, 2018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골절] 2023.01.10.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548
서울아산병원 질병백과 [병리적 골절] 2023.01.10.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