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금연 보건교육 계획안
1.1. 서론
금연 보건교육 계획안은 흡연 문제로 인한 개인과 사회적 피해를 줄이고자 한다. 흡연은 개인의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타인에게도 해로운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이 계획안은 금연의 필요성과 장점, 담배의 유해 성분과 폐해, 흡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금연 방법 및 단계 등을 다루어 금연 실천을 돕고자 한다. 또한 교육 전후 평가를 통해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기대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흡연자의 금연 실천을 높이고 비흡연자의 금연 의지를 다지는 데 기여할 것이다.
1.2. 대상자 실태 조사
청소년의 현재 흡연율은 5.7%이며, 매일 흡연율은 2.7%로 나타났다. 청소년 중 1.4%는 하루 10개비 이상 담배를 피운다. 처음 담배를 피운 나이는 약 13세이고, 니코틴에 중독되어 매일 흡연을 시작하는 나이는 약 14세이다. 현재 흡연하는 청소년 중 68.7%가 금연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전히 69.4%의 청소년들이 쉽게 담배를 구매할 수 있다. 청소년의 흡연생애경험률은 8.7%이며, 남자청소년의 경험률(6.3%)이 여자청소년(5.4%)보다 높고, 고등학생(1.9%)이 중학생(5.1%)보다 높다. 청소년의 흡연생애경험률은 감소 추세이나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한 달간 담배를 피운 적이 없는 청소년의 흡연 예방 교육에 대한 만족도(55.0%)가 피운 적이 있는 학생들(41.2%)보다 높다. 이에 청소년들의 흡연 예방과 금연 교육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1.3. 분석 및 대책
흡연은 단일요소로서 국민 건강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요인이다. 그러나 흡연하는 청소년들은 담배의 중독성과 그로 인한 폐해에 대해 과소평가하려는 경향이 있어 니코틴에 쉽게 중독되고 금연 성공률도 비교적 낮다. 또한 청소년들의 흡연을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미 흡연하고 있는 청소년을 금연 시키는 것이 그 못지않게 중요하다. 학교에서 흡연이 발견되면 학칙에 의거 교내 교육 또는 금연 전문 교육기관에서 소정의 교육을 받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교내, 교외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해 청소년들의 금연을 도모해야 한다. [2]
2. 보건교육계획안
2.1. 주제설정 및 대상자
교육 주제는 흡연 고등학생들의 금연을 실천하기 위한 것이다. 2019년 서울시 청소년의 현재 흡연율은 5.7%, 매일 흡연율은 2.7%로 나타났으며 1.4%의 청소년들은 하루 10개비 이상 담배를 피우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처음 담배를 피운 나이는 약 13세이고, 니코틴에 중독되어 매일 흡연을 시작하는 나이는 약 14세로 나타났다. 현재 흡연하는 청소년 중 68.7%가 금연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전히 69.4%의 청소년들이 어렵지 않게 담배를 구매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흡연의 생애경험률을 확인한 결과, 중?고등학생의 8.7%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자청소년의 흡연생애경험이 1.7%로 여자청소년(5.4%)보다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