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여성간호학 실습 임신성 당뇨 제왕절개 고위험산모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임신성 당뇨병(GDM)
2.1. 정의 및 원인
2.2. 병태생리
2.3. 분류
2.4. 증상
2.5. 위험인자
2.6. GDM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2.7. 진단 및 검사
2.8. 치료 및 간호
3. 제왕절개술(Cesarean Section)
3.1. 정의
3.2. 적응증
3.3. 수술 방법
4. 간호과정
4.1. 간호사정
4.1.1. 일반적 특성
4.1.2. 신체검진
4.1.3. 검사소견
4.1.4. 치료 내용
4.2. 기본 욕구의 이해
4.3. 간호진단
4.4. 간호계획
4.5. 간호수행
5. 결론 및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이전에 당뇨병의 과거력이 없었다가 임신 중에 발견되거나 생긴 내당능이상(당뇨의 전단계로 공복 시 혈당 수치가 110~120mg/dL인 상태)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출산과 함께 사라지고 고위험임신에 속하게 된다. 임신성 당뇨병은 혈당 관리가 잘 되지 않을 경우 조산, 임신성 고혈압, 난산, 제왕절개 분만이 증가하고 태아에게는 거대아, 출생 직후 저혈당, 호흡곤란, 사산율이 증가할 수 있는 위험한 질환이다. 그러나 임신성 당뇨병 환자가 최근 10년간 2배 증가하는 등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에 비해 10년동안 꾸준히 증가하여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성 당뇨병은 식습관과 운동 등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임신성 당뇨를 예방하고 만약 진단받았다고 하더라도 산모와 태아에게 주어지는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해 선택되었다.
2. 임신성 당뇨병(GDM)
2.1. 정의 및 원인
임신성 당뇨병이란 임신 이전에 당뇨병의 과거력이 없었다가 임신 중에 발견되거나 생긴 내당능이상(당뇨의 전 단계로 공복 시 혈당 수치가 110~120mg/dL인 상태)이다. 임신성 당뇨병의 원인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태반락토젠, 난포호르몬, 황체호르몬 등의 태반 호르몬이 인슐린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과, 태반 인슐린 분해 효소의 작용이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태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에 의해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 즉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면, 정상 임산부는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해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지만, 임신성 당뇨병이 있는 임산부는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할 만큼 인슐린이 충분히 분비되지 못한다. 따라서 인슐린 저항성과 분비 장애 모두 임신성 당뇨병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일부에서는 췌장 베타 세포를 항원으로 인식하는 자가항체가 발견되기도 한다.
2.2. 병태생리
임신성 당뇨병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임신 중기와 후기에 정상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한다. 이는 인슐린 작용 효과가 감소함을 의미한다. 임신 후기에는 임신 전보다 인슐린 작용이 50~70% 감소하여 임신 전보다 인슐린 요구량이 2~3배 증가한다. 인슐린이 부족하게 되면 세포 내로 에너지원이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세포에서 에너지원이 부족하면 간은 저장된 글리코겐을 분해하여 포도당을 생산하여 혈류로 내보내고 따라서 고혈당증이 일어나게 된다.
2.3. 분류
(2.3. 분류)
임신성 당뇨병은 크게 임신 전 당뇨와 임신성 당뇨로 분류된다. 임신 전 당뇨병은 임신 전부터 당뇨병이 있었고 분만 후까지도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이며,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제1형)과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제2형)으로 구분된다. 임신 전 당뇨병은 대부분 인슐린 의존성이며, 임신 전 기간 동안 임부의 대사 이상으로 태아에게 손상이 초래된다. 임신 초반기에는 태아 손상이나 자연 유산이 발생하고, 중반기와 말기에는 거대아, 고인슐린혈증, 사산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반면 임신성 당뇨병은 주로 임신 중반기, 말기에 대사장애로 인해 태아에게 손상을 주는 질환이다. 임신성 당뇨병의 치료 목표는 공복 혈당 95mg/dL, 식후 1시간 혈당 140mg/dL, 식후 2시간 혈당 120mg/dL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다.
2.4. 증상
대부분은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종종 피로감, 쇠약감 등의 증상을 나타내고 임신성 고혈압을 동반하기도 한다. 그러나 특징적 증상이 없기 때문에 산전 검사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2.5. 위험인자
30세 이상의 산모는 임신성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 가까운 가족에 당뇨 환자가 있는 경우 임신성 당뇨병에 걸릴 수 있다. 뚜렷한 원인이 없는 거대아나 기형아를 출산한 경험이 있는 산모는 임신성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크다. 비만한 산모는 임신성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 고혈압이 있는 산모는 임신성 당뇨병에 걸릴 수 있다. 요 검사상 당이 검출되는 경우 임신성 당뇨병일 가능성이 크다. 임신 중 체중이 갑자기 늘거나, 자궁 저가 갑자기 높아진 경우 임신성 당뇨병일 수 있다. 원인 불명의 사산, 또는 유산이나 임신 중독증의 경험이 있는 산모는 임신성 당뇨병에 걸릴 수 있다. 양수과다증이 있는 경우 임신성 당뇨병일 가능성이 있다.
2.6. GDM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임신성 당뇨병(GDM)은 임산부와 태아 모두에게 단기적 및 장기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정상 임부보다 임신성 고혈압의 발생률이 4배 이상 높다. 또한 거대아 출생률이 증가하고 출산 시 산도의 손상이 증가하며 제왕절개술의 빈도도 높아진다. 이외에도 임신 중독증(GHP), 감염증, 조산, 양수과다증, 산후 출혈 등 다양한 합병증의 발생률이 증가한다. 태아 측면에서는 고인슐린증...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당뇨’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835&cid=51007&categoryId=51007
의약품 안전나라 _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Cache?cacheSeq=197400246aupdateTs2023-09-15%2013:13:30.648018b
서울 아산병원 _ 의약품정보 https://ni.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MGMIL500&searchKeyword=
『임신성 당뇨병 임신부에서 과체중아의 예측 및 예방』 -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 산부인과 김 민 형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044kjp/kjp-27-8.pdf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받은 여성의 산후 2형 당뇨병 발생 위험요인』 - 최미진 https://s-space.snu.ac.kr/handle/10371/161860
『단일 기관에서의 임신성 당뇨 검사에 따른 태아 및 산과적 예후 비교』 -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산부인과, 강남 CHA병원산부인과. 윤성현 한상원 이산희 정용욱 김의혁 https://e-kjp.org/pdf/10.14734/kjp.2013.24.3.180
제 6판 여성건강간호학2 <현문사> 김혜원 구본진 외 13인 공저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제왕절개 분만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제왕절개 분만과정
대한 당뇨학회, 임신성 당뇨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 1, 2권」, 수문사, 2020
약학 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차영남, 장요순 외 3명 저, 현문사, 2013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이동숙 저, 포널스 출판사, 2016
서울대학교(1999), 산부인과학, 군자출판사 p309~320, 344~350
최연순 외(1999), 여성건강간호학, 수문사 p866~880
여성건강간호연구회, 제 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제왕절개 분만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제왕절개 분만과정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임신성 당뇨
차병원 칼럼, 임신성 당뇨
대한 당뇨학회, 임신성 당뇨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과체중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