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재 고령화 사회로 들어서면서 노인의 수명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노년 삶의 질이 본격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무릎관절증은 노화로 인한 관절 변화가 대표적인 원인이며, 고령화 사회 진입 이후 무릎관절증 환자의 발생빈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무릎관절증에 대한 효율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한 실정이며, 이를 위해 무릎관절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케이스 연구를 통해 무릎관절증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고령화 사회 진입 이후 무릎관절증 환자의 발생빈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므로, 무릎관절증에 대한 효율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무릎관절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케이스 연구를 통해 무릎관절증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1.2. 사례소개
이 case의 대상자는 이○○(F/65세)분으로 2년 전부터 local에서 knee 쪽으로 연골주사 맞으시다가 다리가 휘고, 걸을 때마다 통증이 심해져서 외래 통해 admission하셨다.
2. 문헌고찰
2.1. 무릎관절증 정의
무릎관절증은 무릎 관절 연골이 닳아 없어지면서 국소적인 퇴행성변화가 나타나는 질환이다. 무릎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무릎관절을 이루는 뼈, 연골, 관절막, 연골판, 인대, 근육에 손상이 생겨서 통증과 운동장애, 변형이 생긴다. 무릎관절염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무릎관절증이 발병하면 무릎이 아프고,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줄어들며, 삐걱거리는 소리가 들리기도 한다. 원발성 골관절염은 일반적으로 55~65세 사이 85% 정도 나타나며 나이가 많을수록 여성에게 더 많고 정도가 더 심하다. 약간의 유전성 경향은 있으며 비만인이 정상인보다 두 배 정도 많고 주로 체중부하관절에 나타난다. 이차성 골관절염은 관절 연골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모든 외상, 기형, 질환이 원인이 되며 노인뿐만 아니라 모든 연령층에서 볼 수 있다. 반복적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쭈그리고 앉아서 일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 발생위험이 높다.
2.2. 원인
나이가 들수록 신체 능력이 저하되어 연골세포의 치유능력 및 관절보호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노화로 인한 관절의 변화가 무릎관절증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이다. 또한 비만이나 과체중도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증가시켜 무릎관절증 발생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며, 외상이나 반복적인 관절 사용으로 인한 연골 손상, 그리고 유전적인 요인도 무릎관절증 발생과 깊은 관련이 있다. 원발성 무릎관절증은 노화로 인한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주된 원인이며, 이차성 무릎관절증은 특정 질병이나 외상으로 인해 관절 연골이 손상되어 발생한다. 따라서 무릎관절증의 정확한 원인은 노화, 비만, 외상, 유전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3. 병태생리
고관절과 무릎관절처럼 체중부하를 많이 받는 관절의 연결부와 척추에 무릎관절증이 잘 발생한다. 관절면의 뼈가 과밀하거나 과잉 증식됨에 따라 관절 간격이 좁아져 점점 늘리는 양상을 보인다. 관절이 침범되면 밝고 투명한 정상 연골이 불투명해지면서 노랗게 되고, 갈라지고 궤양이 생기면서 엷은 조각으로 벗겨지거나 움푹 들어간 자국이 생긴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연골이 갈라지고 깊은 골이 침식되어 완전히 벗겨지면 연골 밑의 뼈가 관절로 완전히 노출된다. 그 후 이곳에 신생골이 형성되면서 뼈의 증식과 비후가 일어나 결국, 관절기형이나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2.4. 증상과 징후
무릎관절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무릎이 아프고 붓거나 관절의 운동 범위가 줄어드는 것이다. 무릎관절염 환자는 관절 연골의 소실과 변성에 의해 관절면이 불규칙해지면 운동 시 삐걱거리는 마찰음이 느껴질 수도 있다. 또한 무릎에 걸리는 하중이 증가하면서 병이 진행될수록 연골 조직이 계속 닳아서 무릎 통증이 악화되고 다리가 휘거나 절룩거리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 외에도 무릎열감이나 무릎에 물이 차는 증상이 있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