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한국침례교 사상사
1.1. 말콤 펜윅의 생애와 신학 형성 배경
말콤 펜윅의 생애와 신학 형성 배경은 다음과 같다. 펜윅은 1863년 캐나다 토론토 근처 마크햄에서 출생하였다. 회심 후 나이아가라 사경회에서 외국선교에 대한 소명을 받았다. 1893-1895년 캐나다로 갔다가 1896년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선교활동을 하였다. 1906년 10월 6일 대한기독교회를 발족하고 1906-1914년 최고직위인 감목을 역임하였으며 1935년 12월 6일 별세하였다. 펜윅의 어머니와 아도니람 저드슨 고든은 펜윅의 신앙생활과 신학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펜윅은 나이아가라 사경회와 '학생자원운동'을 통해 해외선교에 대한 열정을 얻게 되었다. 또한 고든과의 긴밀한 관계 역시 펜윅의 신학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1.2. 말콤 펜윅의 신학
펜윅은 캐나다 토론토 마크햄에서 1863년 출생하였으며, 회심 후 나이아가라 사경회에서 외국선교에 대한 소명을 받았다. 독립선교사로 함경도 원산에 정착하여 선교활동을 하였고, 1893-1895년까지 캐나다로 갔다가 1896년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다. 1906년 10월 6일 대한기독교회를 발족하여 1906-1914년까지 최고직위인 감목을 역임하였으며, 1935년 12월 6일 별세하였다.
펜윅의 신학 형성 배경으로는 첫째, 펜윅의 어머니와 도날드 맥킨토시의 그리스도 중심적인 경건이 그의 신앙생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나이아가라 사경회에서 성서주의, 세대주의적 전천년주의, 경건주의, 세계복음화에 대한 열정을 배웠고, 펜윅의 세대주의적 경향과 전천년주의도 이 사경회의 영향을 받았다. 셋째, 아도니람 저드슨 고든과의 긴밀한 관계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펜윅은 근본주의자로서 다윈의 진화론, 성서 비평론, 물질주의를 반대하였으며, 경건주의적 근본주의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성경의 축자적이고 무오한 영감을 믿었고, 성경의 문자적 해석을 선호하였다. 또한 그는 성경과 성령의 상호보완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
펜윅은 정통 삼위일체론을 이해하였고,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믿었다. 예수 그리스도의 역할을 선지자, 대제사장, 왕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성령은 인격적이며 내주하시며, 신유와 축사도 가능하다고 믿었다.
펜윅의 구원론은 변경된 칼빈주의로, 전적타락, 예정, 이신칭의와 전가된 의, 은혜에 의한 구원과 대속, 중생과 회심, 성화 등을 믿었다. 그러나 웨슬리 부흥주의에도 상당한 영향을 받아 구원이 개인의 의지적 결정에 달려있다는 아르미니우스주의 요소도 가지고 있었다.
선교에 있어 성령의 주권을 강조하였고, 전천년주의적 관점에서 직접적인 복음전파를 중요시하였다. 또한 선교사의 영성과 실제적인 역량을 강조하였으며, 현지인 전도자 활용과 오지선교에 힘썼다.
교회론에서 펜윅은 나이아가라 초교파주의와 신약교회 추구를 받아들였고, 성령의 주권에 복종하는 교회를 강조하였다. 믿는자 침례와 중생자 회원을 인정하였으며, 교회와 세상의 분리를 주장하였다. 선교를 교회의 가장 중요한 사역으로 보았다.
펜윅은 세대주의적 전천년주의 종말론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스도의 공중재림과 환란 전 휴거, 적그리스도와 천년왕국, 최후 심판 등을 믿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