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dycardia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최초 생성일 2024.08.30
5,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bradycardi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인간호 Case Study
1.1. 대상자 사정
1.2. 입원동기 및 주호소
1.3. 대상자의 질병 소개와 일반적 소개
1.3.1. 정의
1.3.2. 원인 및 위험요인
1.3.3. 병태생리
1.3.4. 증상 및 징후
1.3.5. 치료
1.3.6. 간호중재
1.4. 혈액검사 및 진단검사 결과
1.5. 대상자에게 투여된 약물
1.6. 대상자에게 적용된 특수치료 및 처치
1.7. 간호과정
1.8. 참고문헌

2. ACLS 실습
2.1. Arrest rhythm
2.1.1. Ventricular Fibrillation, VF
2.1.2. Pulseless VT
2.1.3. Asystole
2.1.4. PEA
2.2. Tachycardias
2.2.1. Sinus tachycardia
2.2.2. Atrial fibrillation
2.2.3. Atrial flutter
2.2.4. PSVT
2.2.5. Monomorphic ventricular tachycardia
2.2.6. Polymorphic ventricular tachycardia
2.2.7. Torsades de points
2.3. Bradycardias
2.3.1. Sinus bradycardia
2.3.2. First-degree AV block
2.3.3. Second-degree AV block
2.3.4. Third-degree AV block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노인간호 Case Study
1.1. 대상자 사정

노인 환자 OOO님(F/82)은 전반적으로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82세의 고령 여성으로 고혈압과 당뇨, 만성신부전 등의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다. 입원 시 주요 증상은 호흡곤란과 전신부종이었으며, 진단명은 ADHF(급성 비대상성 심부전), 방실접합부 서맥, 만성신장병 등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을 살펴보면, 결혼 상태는 미혼이며 교육 수준은 고등학교 졸업이다. 직업은 주부였고 경제 수준은 중간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흡연과 음주는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물 투여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상자의 과거력을 보면, 2005년에 좌측 유방암 수술을 받은 적이 있고 이후 2013년까지 추적관찰을 받았으나 그 이후에는 종료되었다. 주요 동반질환으로 고혈압과 당뇨가 있었다.

신체검진 결과, 대상자의 신장은 163cm, 체중은 82kg으로 고도 비만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흡음 청진 시 폐의 crackle과 wheezing 소견이 확인되었고, 심전도 모니터링 결과 방실접합부 서맥이 관찰되었다. 또한 전신부종이 심하여 양측 상지와 양하지의 부종 소견이 뚜렷하였다. 정신 상태는 Alert하였고 지남력도 양호한 편이었으나 간헐적으로 졸음 증상이 있었다.

영양 및 대사 상태를 보면, 식욕부진으로 인해 식사량이 1/4~1/5 수준에 그치고 있었다. 체중 감소와 더불어 BUN, creatinine 수치 상승, 전해질 불균형 등의 소견이 있어 영양 및 대사 장애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배뇨 상태는 규칙적이었으나 장기간의 도뇨관 삽입으로 인한 감염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는 건조하고 부종이 심한 편이었으며, 오른손등의 반상 출혈 소견도 관찰되었다.

전반적인 신체기능 상태를 평가한 결과, 대상자는 심폐기능 저하와 관절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 수행능력(K-ADL, K-IADL)이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DSSF-K 우울 측정 도구 결과 11점으로 중증 우울 상태에 해당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볼 때, 82세 고령의 여성 노인 환자 OOO님은 심부전, 서맥, 만성신장병 등의 복합적인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전반적인 건강 악화와 기능 저하, 영양 불량, 우울 등의 문제를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2. 입원동기 및 주호소

주호소(Chief complaint)는 dyspnea(호흡곤란)와 general edema(전신부종)이다"
대상자는 00대학교 병원에서 신장내과와 내분비내과로 진료를 받던 중 입원 이틀 전부터 호흡곤란과 전신부종이 있어 본원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이에 따라 급성 비대상성 심부전(ADHF, Acute decompensated heart failure), 방실접합부 서맥(Junctional bradycardia), 만성신장질환(Chronic kidney disease), 고칼륨혈증(Hyperkalemia), 저나트륨혈증(Hyponatremia) 등의 진단명이 내려졌다"


1.3. 대상자의 질병 소개와 일반적 소개
1.3.1. 정의

급성 비대상성 심부전(ADHF)은 심부전 환자에서 심각한 증상이나 징후가 갑자기 악화되어 입원이 필요한 상태를 말한다. 이는 심근 기능의 급성 저하로 인해 심장 펌프 기능이 현저히 떨어져 폐울혈과 전신 부종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심부전은 심장이 더 이상 신체의 대사적 요구에 맞추어 혈액을 충분히 펌프질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급성 비대상성 심부전은 심부전의 악화로 인해 발생한 응급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1.3.2. 원인 및 위험요인

심부전의 1차적 원인은 고혈압, 심근경색증, 기타 심장질환 등이다"" 고혈압은 심실 과부하를 유발하여 심부전을 초래할 수 있으며, 심근경색증은 심근 손상으로 인한 심기능 저하를 야기한다"" 심장판막질환, 류마티스심질환, 심장전도장애, 수축성심장질환 등 다양한 심장질환도 원인이 될 수 있다""

2차적 원인으로는 빈혈, 감염, 갑상샘기능항진증, 갑상샘기능저하증, 부정맥, 세균성 심내막염, 폐질환, 파제트병 등이 있다"" 빈혈은 산소운반능력 저하로, 감염은 조직 산소요구도 증가로, 갑상샘 질환은 대사율 변화로 심부전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부정맥은 심박출량 감소를, 세균성 심내막염은 판막 기능 부전을, 폐질환은 우심실 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 파제트병은 뼈 혈관 분포 증가로 심장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위험요인으로는 고령, 비만, 당뇨병, 고혈압, 흡연, 과다 음주, 운동 부족 등이 있다"" 고령일수록 심근 기능 저하, 혈관 경화 등이 있어 심부전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비만은 심장에 과부하를 주며, 당뇨병과 고혈압은 심혈관계 합병증의 주요 원인이 된다"" 흡연과 과다 음주는 심혈관계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치고, 운동 부족은 심혈관계 건강 유지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심부전의 주된 원인은 심장질환, 전신질환, 생활습관 등 다양하며,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관리하는 것이 심부전 예방에 중요하다""


1.3.3. 병태생리

심부전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심부전의 병태생리는 크게 전부하 변화, 후부하 변화, 그리고 심근 수축력 변화의 3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첫째, 전부하 변화(preload)는 심실로 유입되는 정맥 환류량과 관련된다. 전부하가 과도하게 증가하면 심근 수축력이 감소하고 심박출량이 감소하게 된다. 반면 전부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면 정맥 환류량이 줄어들어 심근 수축력과 심박출량이 감소하게 된다.

둘째, 후부하(afterload) 변화는 혈압, 전신 혈관 저항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후부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심실이 수축할 때 심장에 부과되는 부담이 커져 심근 수축력이 감소하고 심박출량이 줄어들게 된다.

셋째, 심근 수축력 변화는 심근의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한다. 심근 허혈, 염증성 심질환, 수축성 심낭염 등으로 인해 심근 수축력이 감소하면 심박출량이 줄어들게 된다. 반면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면 심근 수축력이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처럼 전부하, 후부하, 심근 수축력의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심부전의 병태생리를 유발한다. 이로 인해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저하되고,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이 불충분해지게 된다.


1.3.4. 증상 및 징후

심부전의 일반적인 증상 및 징후는 다음과 같다.

호흡곤란은 심부전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다. 운동 시 호흡곤란(exertional dyspnea)에서 시작하여 기좌호흡(orthopnea),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paroxysmal nocturnal dyspnea), 마지막으로 안정 시 호흡곤란까지 진행된다. 이는 폐울혈 및 폐수종으로 인한 것이며, 이때 기침과 함께 거품 섞인 혈담이 나타날 수 있다.

신체검진 시 하지의 냉감, 불안감과 공포감, 신기능 저하와 주간 핍뇨, 야간 다뇨 등이 관찰된다. 신기능 저하는 신혈류 감소로 인한 것이다.

심혈관계 징후로는 심첨부 박동의 확장, 비정상적인 심음(S3 또는 S4), 기이맥(paradoxical pulse), 비례맥압 감소 등이 나타난다.

피로감과 전신쇠약은 저산소 상태와 체내 노폐물 배출 지연에 의한 것이며, 뇌 저산소증으로 인해 의식 저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심인성 쇼크 증상으로 의식 소실, 창백, 약한 빈맥, 식은땀, 심한 저혈압 등이 관찰된다.심부전의 다양한 증상들은 심장 펌프 기능 저하로 인한 순환 장애와 폐 울혈 및 체액 정체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증상들은 심부전의 진행 단계에 따라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심부전 환자의 증상을 면밀히 관찰하고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부전 환자의 증상 중에서도 특히 호흡곤란은 환자의 삶의 질과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관리가 필수적이다. 초기 호흡곤란부터 안정 시 호흡곤란에 이르는 단계적 진행 양상을 잘 파악하고, 산소 공급과 함께 약물 치료를 통해 증상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외에도 신기능 저하, 피로감, 의식 저하 등 다양한 증상이 동반되는데, 이는 모두 심부전의 진행 정도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환자의 전반적인 증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이 심부전 간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1.3.5. 치료

심부전의 치료는 크게 비약물 치료와 약물 치료, 그리고 수술 요법으로 나눌 수 있다.

비약물 치료로는 안정, 염분제한, 금주, 금연, 필요 시 수분섭취 조절, 매일 체중 측정, 유산소 운동, 상기도 감염 예방,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심부담을 경감시키고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약물 치료로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 inhibitors),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s), 베타-교감신경 차단제(Beta blockers), 이뇨제, 심근수축제 등이 사용된다.

ACE inhibitors와 ARBs는 안지오텐신Ⅱ의 작용을 억제하여 혈관을 확장시키고 전부하와 후부하를 감소시켜 ...


참고 자료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2019.
이은령 외, 「노인 우울에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13, 한국콘텐츠학회, 2013.
강지숙 외, 「대도시 노인의 질병, 주관적 신체 증상 및 영양 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간호학회지』19, 지역사회간호학회, 2008.
박명화 외, 『노인간호학』, 학지사메디컬, 201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