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사의 역할과 활동분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사의 역할과 활동분야
1.1. 서론
1.2. 간호의 개념
1.3. 학자들의 '간호' 정의
1.4. 간호의 전문화
1.5. 전문간호사의 역할과 활동분야
2. 간호 미래 전망 및 보건 의료팀과의 협력 방안
2.1. 미래사회의 변화
2.2. 간호전문직으로서 요구되는 바람직한 간호의 미래
2.2.1. 지역사회와 만성질환에 초점을 둔 간호의 미래
2.2.2.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초점을 둔 간호의 미래(미래의료서비스 간호로봇과 원격의료)
2.2.3. 간호법 제정에 초점을 둔 간호의 미래 짐작(간호근무환경 개선)
2.3. 간호사의 역할 개발
2.4. 보건의료팀과의 협력방안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사의 역할과 활동분야
1.1. 서론
간호사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필수불가결한 존재이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의료 분야에도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지만, 환자와 신체적·심리적·정신적으로 돌보는 '간호'는 대체할 수 없는 부분이다. 간호는 '예술'과 '과학'이 합쳐진 추상적이고 복합적인 개념으로, 세기별로 그 개념이 변화해왔다. 원시시대부터 모성애적 본능에서 시작된 간호는 중세기의 기독교 박애정신, 19세기 나이팅게일의 '환경의 중요성' 등을 거쳐 발전해왔다. 20세기에는 질병 중심에서 건강 중심의 간호로 변화했으며, 건강과 질병 예방, 건강 유지에 초점을 두게 되었다. 학자들은 간호를 환자의 긴장감 완화, 개인의 최적 건강 성취 지원 등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간호 개념의 발전과 더불어 간호의 전문화가 필요해졌다. 간호의 전문화는 특정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과 기술을 갖추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간호사는 보다 전문적이고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국내에는 총 13개 분야의 전문간호사제도가 운영되고 있으며, 각 분야에 따른 전문간호사의 역할과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1.2. 간호의 개념
간호의 개념은 '예술'과 '과학'이 합쳐진 추상적이고 복합적인 개념이다. 간호는 자연발생적으로 시작되었고, 세기별로 개념이 변화하게 되었다.
원시시대의 간호 기원은 모성애적 본능이 돌봄과 보살핌으로 나타났고, 중세기의 간호는 기독교의 박애정신으로 돌봄과 보살핌뿐만 아니라 보호함까지 더하게 되었다. 16세기에는 종교개혁의 영향으로 간호 사업에 영향을 주었고, 19세기에 나이팅게일이 등장하면서 '환경의 중요성'이 대두되었으며 '포괄적 간호'로 개념이 자리 잡게 되었다. 20세기에 들어와서는 간호의 목적이 질병 중심의 간호에서 건강중심 간호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렇듯 전 세기에 걸쳐 간호의 개념은 변화되어 왔고, 돌봄과 보살핌부터 시작하여 환경적인 부분을 포함하고, 질병이 있는 환자만을 회복시키는 것이 아닌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개념으로 발전해 왔다.
1.3. 학자들의 '간호' 정의
'학자들의 '간호' 정의'
Florence Nightingale은 간호는 질병을 간호하는 것이 아니고 병든 사람을 간호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Hildegard Peplau는 환자의 긴장이 완화 혹은 감소되도록 돕는 것이라고 하였다. Dorothy Johnson은 개인과 집단의 긴장과 불편의 완화 혹은 원활한 대인관계 유지를 위해 직접적으로 돕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Ida Jean Orlando는 필요로 하는 도움이 충족되지 않아 발생되는 괴로움을 해소 혹은 극복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하였다. Virginia Henderson은 환자 혹은 건강한 사람이 스스로 독립적으로 되도록 돕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Ernestine Widebach는 도움을 필요로 하는 개인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는 것이라고 하였다. Imogene M. King은 개인의 최적의 건강을 성취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Callista Roy는 질병 상황에서 개인의 적응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라고 하였다. Martha E. Rogers는 인간이 건강을 성취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1.4. 간호의 전문화
간호의 전문화는 간호 실무를 깊고 세련되게 하는 방법이다. 미국간호협회(ANA)는 전문화를 '간호의 세부분야 중 일 분야에 대해 좁고 깊게 집중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국제간호협회(ICN)는 '전문화는 특정의 간호측면에 대해 기본 간호교육에서 배운 것을 능가하는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함축한다.'고 간호전문화를 정의하였다.
간호전문화는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높고 깊은 수준에서 축적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상급 지식과 상급 기술을 함축하면서 필요한 곳에 목표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현대 보건의료 분야의 과학기술 발전과 더불어 여러 분야가 다양하게 전문화되면서, 간호사가 근무해야 하는 기관이나 부서가 복잡·다양해졌고, 대상자 관리를 다직종의 건강전문직업인들이 협동하여야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그들과 같이 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의 전문화는 필요하다. 또한 간호직 주변의 타 보건직종이 급속도로 다양하게 전문화되어 가는 현재, 간호의 전문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2000년부터 시행된 전문간호사(APN)는 높은 수준...
참고 자료
양선희 외 9명,『기본간호학』, 현문사, 2014, 4-38p
정면숙 외 10명, 『간호학개론』, 현문사, 2014, 23-51p
김광주, 「간호의 전문화를 위한 정책 방향」, 동서간호학연구지, 8권1호, 2003, 11-26p
전문간호사 되는 길, 대한간호협회,
http://www.koreanurse.or.kr/resources/be_specialist.php, 2017-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