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미디어의 발달로 K-POP, 화장품, 음식, 한국문화 등 한국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 이에 따라, 한국어 또한 제2 언어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어교육을 원하는 외국인 학습자를 상대로 한 한국어 교재 또한 중요시하고 있다. 학습자는 한국어 학습을 진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재를 살펴보고 선택하게 되며, 교재 구성의 짜임새가 잘 된 교재는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외국인 학습자가 원하는 한국어교육은 대부분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을 배울 수 있는 일반목적의 한국어 교재나 한국 이민자 또는 탈북자 등을 위한 특정 목적의 한국어 교재, 취업을 위한 직업 목적 등의 한국어 교재를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리하여 통합적인 일반목적의 한국어 교재와 특정 목적의 한국어 교재를 각 1종씩 선정하여 각 교재의 단원 구성을 요약 및 정리한 후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을 해보고자 한다.
2. 교재 구성 비교 분석
2.1. 교재의 구성
2.1.1. 한국어와 한국문화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KIIP) 초급1 - 국립국어원
이 교재는 결혼이민자, 근로자, 유학생 및 전문 인력, 중도입국자녀 등을 위한 한국어 교재이다. 총 18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원은 어휘, 문법, 활동, 발음, 문화와 정보로 나누어져 있다.
1단원은 인사하기, 자기소개와 관련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름, 직업, 국적에 대해 익히고 반 친구와 인사하기, 자기소개 글을 읽고 쓰는 활동을 한다. 한국의 인사말에 대한 문화 정보도 제공한다.
2단원은 방 안 물건에 대해 말하기, 물건의 위치 표현 등을 다룬다. 집에 있는 물건의 이름을 말하고, 물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