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십이지장 궤양 cas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십이지장 궤양의 정의 및 특징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본론
2.1. 십이지장 궤양의 병인론
2.2. 십이지장 궤양의 증상
2.3. 십이지장 궤양의 진단
2.4. 십이지장 궤양의 치료
2.4.1. 약물 치료
2.4.2. 식이 및 생활습관 관리
2.5. 십이지장 궤양의 합병증 및 예방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십이지장 궤양 관리를 위한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십이지장 궤양의 정의 및 특징
십이지장은 소장의 최초 부분으로 위 유문에서 시작하여 제1요추 높이의 복막 뒤에 위치한다. 십이지장 궤양은 십이지장 점막이 위산, 펩신, 담즙, 약물 등의 공격에 의해 손상되어 조직학적으로 괴사된 점막의 결손이 점막하층 이하까지 발생하는 경우이다. 십이지장 궤양은 위궤양보다 더 흔히 발생하며, 유문부와 십이지장 경계부의 3cm 이내 범위에서 주로 발생한다. 십이지장 궤양은 경계가 날카롭고 근육층의 깊이까지 미칠 수 있다. 십이지장 궤양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위산 과다 분비이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이 90-95%의 대상자에게서 발견된다. 십이지장 점막은 위산, 소화 효소, 담즙, 약물 등 세포를 손상시키는 물질에 노출되기 쉬우며, 이에 대한 방어 기전의 균형이 깨질 때 궤양이 발생한다. 또한 진통제 복용, 흡연, 스트레스 등이 십이지장 궤양 발생의 요인이 된다.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십이지장 궤양은 흔한 소화성 궤양 질환이며, 전체 소화성 궤양의 80%를 차지한다. 십이지장 궤양은 위궤양보다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 십이지장 궤양은 뚜렷한 증상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어 조기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위암의 초기 증상과 유사하기 때문에 정확한 구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십이지장 궤양의 증상, 진단, 치료법 등을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예방과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십이지장 궤양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2. 본론
2.1. 십이지장 궤양의 병인론
십이지장 궤양은 위산의 과다 분비가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위궤양과 마찬가지로 십이지장 궤양 환자의 90~95%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 발병한 것으로 확인된다.
음식물이 식도를 통과하여 위장에 도착하면 위산에 의해 잘게 부숴진 형태로 소장으로 넘어가 우리 몸에 흡수된다. 따라서 위장과 십이지장 점막은 위산, 각종 소화 효소, 담즙, 복용한 약물, 알코올 등 세포를 손상시키는 물질에 쉽게 노출된다. 십이지장 점막은 이러한 공격에 대해 여러 단계로 방어하는데, 이러한 공격과 방어의 균형이 깨질 때 십이지장의 점막이 손상되고 궤양이 생긴다.
진통제(해열, 진통, 소염제)의 과다 복용도 십이지장 궤양을 유발할 수 있다. 십이지장 점막 세포층의 재생과 기능을 조절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물질의 생성 과정이 진통제에 의해 차단되어 점막에 손상을 줌으로써 궤양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흡연은 십이지장 점막세포의 재생과 점막 아래층 조직의 혈액순환 등에 장애를 유발하여 궤양이 생길 수 있다. 흡연자는 십이지장 궤양에 의한 천공, 출혈 등의 합병증 발생률이 더욱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가 많은 30세 청년 남자에게 십이지장 궤양이 주로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
참고 자료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 상.현문사
김정애 외(2018),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수문사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십이지장 [duodenum, 十二指腸, Zwölffingersdarm]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십이지장궤양 [duodenal ulce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소장 [내 몸 둘러보기] https://youtu.be/P65pmv9Ef3o
서울대학교병원 N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List.do
서울 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
윤은자, 김숙영 외 10명(2021), 성인간호학1, 수문사, p. 431~442
성인간호학 Ⅳ,Ⅴ 지침서
[건강] "짜게 먹지 마세요"…위궤양 위험, SBS 뉴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0272779&plink=OLDURL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
이영휘 외 16공저, 간호과학의 임상적용을 위한 성인간호학Ⅰ, 학지사메디컬, 2020 p310~320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십이지장궤양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24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킴스온라인 https://www.kimsonline.co.kr
통계자료: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약학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list.naver?cid=59913&categoryId=59913
대한진단검사의학회 - 종합검진
https://www.kslm.org/sub01/sub05_4.html
천안시 동남구 보건소 - 일반혈액
https://www.cheonan.go.kr/dhealth/sub01_06_06.do
하나병원 건강증진센터
http://www.cjhana.co.kr/health/reservation_1/popup.php?code=2&main_category=%C7%F7%BE%D7%B0%CB%BB%E7&sub_category=%C0%CF%B9%DD%C7%F7%BE%D7%B0%CB%BB%E7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 진단검사의학과
http://guro.kumc.or.kr/dept/main/index.do?DP_CODE=GRCP&MENU_ID=003036054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