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성경주석의 핵심 원리
1.1. 본문 읽기의 중요성
본문 읽기의 중요성이다. 성경주석이란 성경본문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에 주된 관심을 갖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이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것은 주석서들을 읽는 것이 아니라 성경본문을 빈틈없이 읽는 것이다. 본문을 소단위와 대단위로 나눠 미세하게, 그리고 동시에 총체적으로 읽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본문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설교 본문의 단위를 결정하는 것도 중요한데, 이를 위해 본문의 대단위와 소단위를 구분하고 에피소드와 장면으로 나누어 확인해볼 수 있다. 이처럼 성경본문을 면밀히 읽고 분석하는 것은 성경주석의 핵심이자 설교 준비의 출발점이 된다.
1.2. 담론 분석을 통한 의미 발견
본문의 의미와 관련해서 무엇보다는 어떻게를 찾는 것이 담론분석의 핵심이다. 즉 본문의 단위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어떠한 언어학적·수사학적 도구들이 사용되었는지, 서술에 묘사된 배경과 인물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연구하여 그것들이 종합적으로 구성하는 의미를 발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문의 세밀한 의미들을 도출해낼 수 있다.
첫째, 에피소드를 세분화하여 각 장면을 면밀히 분석한다. 발락과 발람의 만남 에피소드를 도입 배경, 장면1-6, 후입 배경으로 나누어 살펴보며, 각 장면에 나타난 인물들의 행동과 대화를 세세히 관찰한다. 이를 통해 본문의 문제, 갈등, 해결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둘째, 플롯의 모티브를 분석한다. 발람에 대한 발락의 요청, 하나님의 개입, 발람의 회개와 순종의 모티브를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본문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발견할 수 있다. 결국 문제 해결의 본질은 오직 하나님의 주권과 은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등장인물에 대한 면밀한 묘사를 읽어낸다. 본문에는 여호와 하나님, 발락, 발람, 미디안 장로들, 모압 장로들과 고관들, 당나귀, 여호와의 사자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등장한다. 이들 각각에 대한 특징과 역할을 면밀히 분석하여 각 인물이 지니고 있는 의미를 파악한다.
넷째, 상호텍스트적 접근을 통해 본문을 읽어낸다. 발람의 행적에 대한 다른 성경 본문들, 예를 들어 민수기 31장과 베드로후서 2장, 요한계시록 2장 등의 증언을 참고하여 발람의 회개와 순종이 과연 진정한 것이었는지를 고찰한다.
이와 같이 본문을 면밀히 담론 분석하면,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본문의 깊이 있는 의미들을 발굴해낼 수 있다. 단순히 인물들의 행동과 대사만이 아닌, 그 이면에 깔려 있는 다층적인 의미들을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3. 상호 텍스트적 접근
본문을 상호 텍스트 안에서 읽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발람의 회개와 순종이 진정한 것이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민수기 31장에 나오는 '미디안과의 성전' 이야기를 참조해야 한다. 신약성경의 증언에서도 발람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베드로후서 2장 15절에서는 "그들이 바른 길을 떠나 미혹되어 브올의 아들 발람의 길을 따르는도다"라고 하며, 요한계시록 2장 14절에서는 "발람이 발락을 가르쳐 이스라엘 자손 앞에 걸림돌을 놓아 우상의 제물을 먹게 하였고 또 행음하게 하였느니라"고 하여, 발람의 실제 모습이 진정한 회개와 순종이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본문을 상호 텍스트 안에서 읽어냄으로써 본문의 의미를 더욱 풍성하게 이해할 수 있다.
1.4. 주석서를 통한 본문 조명
본문의 '면밀한 읽기'를 통해 얻은 텍스트의 의미를 여러 주석서로 조명해 볼 수 있다. 주석서는 정답이 아님을 분명히 염두에 두면서 주석서들의 다양한 해석학적·신학적 전제들을 파악해야한다. 이는 역사비평학부터 독자비평까지, 복음주의로부터 진보주의로까지 그 양상이 다양하고 복잡하다. 복음주의적인 지향의 참고서로서 문법적 주해를 한 칼뱅과 델리취 주석서, 원어 주해를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