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천식 사례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문헌고찰
2. 본론
2.1. 간호사정
2.2. Problem List
2.3. 간호과정 적용
3. 결론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천식은 아동기의 가장 흔한 만성 질환이며 호흡기계 질환 중 매우 중요한 질병이다. 전 세계적으로 천식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천식이 발병하면 일상생활의 막대한 지장과 폐 기능 저하, 천식 악화로 인한 반복 입원 등 삶의 질이 저하되므로 적절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폐렴은 신생아와 영아에게 주요한 사망원인이 되므로 호흡기계 질환인 천식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에게 발생한 폐렴에 대한 이해와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천식과 폐렴의 원인, 증상, 치료, 간호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천식은 기도의 만성 염증, 가역적인 기도폐쇄 및 기도의 과민성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폐쇄성 폐질환이다. 기도 내 염증으로 인해 천명음, 호흡곤란, 흉통, 기침 특히 야간이나 이른 아침에 심해지는 기침 증상을 보이고, 또한 다양한 외적, 내적 요인에 의해 과민반응을 반복적으로 보인다. 천식의 발병기전은 항원 자극에 의한 기도의 과민반응으로 기관지 연축을 유발한다. 감작된 기도 점막의 비만세포에서 화학매개체가 유리되고 화학매개체의 교감신경 수용체와 기도 평활근 자극으로 기관지연축이 나타난다. 모세혈관 투과성 증가로 인한 부종 형성, 기도폐쇄의 주 원인은 기도 감염과 비특이적 과민성 때문이며 기관지 수축, 점액 마개 형성, 기도 점막의 부종으로 기도 저항이 증가하고 기도폐쇄와 기도의 공기흐름이 제한된다. 천식은 증상 발생 빈도와 야간 증상에 따라 경증 간헐성, 경증 지속성, 중등도 지속성, 중증 지속성 천식으로 분류된다. 천명음, 호흡곤란, 흉부 압박감, 야간성 기침, 이른 아침에 심해지는 기침이 반복되는 증상을 보인다. 기관지 경련, 부종 및 점액으로 기관지의 내경이 좁아지면 폐포 내의 공기 배출이 어렵게 되고 폐포 내에 공기가 걸려 과팽창된다. 흉부 타진 시 과다 공명음이 나타나고 청진 시 호흡음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현상이 나타나면 중증의 기도폐쇄가 있음을 의미하고, 호흡부전에 빠질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3가지의 특징적 증상인 호흡곤란, 기침, 천명음을 확인하고, 1초 강제호기량과 최고호기유속은 천식환자의 진단과 관리에 지표가 된다. 또한 호산구가 가래에 있고, 혈액 내 호산구 수가 총 백혈구 수의 5% 이상 증가하고, 혈청 IgE가 증가하면 천식일 가능성이 있다. 치료는 기도 개방성을 위해 호흡음을 청진하여 비정상적인 호흡음을 확인하고 호...
참고 자료
윤은자 외 공저, 9판 개정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2021, p660-670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 병원, “천식”,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98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천식”,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466
Google “Asthma” 이미지
https://www.australiawidefirstaid.com.au/media-library/asthma-lung-1000w.jpg
킴스 약학사전, https://www.kimsonline.co.kr/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강경아, 김신정, 김현옥, 이명남외 (2014), 아동청소년 간호학1, 파주: 군자출판사, 246-256
강경아, 김신정, 김현옥, 이명남외 (2020), 아동청소년 간호학2, 파주: 군자출판사, 434-437, 573-578
홍경자, 김은주, 김효신 외 (2016), 아동건강간호학1, 파주: 수문사, 513-523
홍경자, 김은주, 김효신 외 (2016), 아동건강간호학2, 파주: 수문사, 459-463, 483-500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2018),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94-97, 128-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