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문헌고찰
1.1. 급성 호흡부전의 정의
급성 호흡부전은 허파꽈리(폐포)와 폐모세혈관 사이에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교환장애가 급성으로 발생한 상태이다. 이는 심각한 질병이나 손상 후에 발생할 수 있다. 전체 환자 중 1/3이 전반적인 세균성 혈액 감염 때문에 발병한다. 심한 외상이나 화상을 입었을 때에도 나타날 수 있다.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폐렴, 산부인과적 응급 질환, 구토물의 흡인, 마약성 약제의 과다 복용이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런 질환이 어떻게 폐에서 체액을 유출시키는지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폐렴은 호흡부전의 원인이 될 수도 있고, 그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1.2. 폐부종의 정의 및 종류
폐부종은 폐포를 둘러싼 간질 강에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폐포낭에 체액이 축적되는 상태이다. 폐부종은 크게 심인성 폐부종과 비심인성 폐부종으로 구분된다.
심인성 폐부종은 좌심실부전, 승모판 협착증, 심인성 쇼크, 고혈압, 심근병증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는 폐동맥압이 상승하여 폐혈관 정수압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폐간질 강으로 수분이 여과되는 양이 증가하여 발생한다.
비심인성 폐부종은 위 내용물 흡인, 압력 상해, 약물, 수액 정맥주입 과다, 저알부민혈증, 패혈증, 독성화학물질 흡입, 익수증후군, 췌장염, 폐렴, 일측성 기흉의 재팽창 후 등으로 발생한다. 이는 폐혈관 정수압 증가 외에도 림프계 배액 능력 저하, 폐포 상피 손상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폐부종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폐혈관 정수압 상승과 이로 인한 폐간질 강으로의 수분 유출 증가가 핵심적인 기전이다. 이로 인해 폐의 순응도가 감소하고 산소 확산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1.3. 방실블록의 정의 및 유형
심방에서 심실로 가는 흥분의 전도가 느리거나 완전히 차단되는 상태를 방실블록이라고 한다. 정상적으로는 심방결절(SA node)에서부터 히스속(His bundle)까지 전달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 0.20초 이하이나, 방실블록이 발생하면 이 전도 시간이 지연되게 된다.
방실블록은 차단의 심각성에 따라 1도, 2도, 3도 방실블록으로 분류된다. 1도 방실블록은 심방에서 심실로 자극 전도가 느려져 PR 간격이 0.20초 이상으로 지연되지만, 모든 흥분이 전달되는 상태이다. 2도 방실블록은 2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type I은 PR 간격이 점점 길어지다가 QRS군이 탈락하는 형태이고, type II는 PR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갑자기 QRS군이 탈락하는 형태이다. 3도 방실블록은 심방과 심실 사이의 흥분 전도가 완전히 차단되어 심방과 심실이 각각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방실해리 상태를 의미한다.
3도 방실블록은 가장 위험한 형태로, 전도계의 섬유성 변화 및 퇴행성 변화, 심근경색, 선천성 기형, 심장수술, 심근염, 전도계 바이러스 감염, 약물독성, 외상, 심근병증, 라임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심박동수 감소, 심박출량 감소, 저혈압, 협심증, 심부전, 호흡곤란, 어지러움,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1.4. 영구적 인공심박동기의 정의 및 유형
전도계가 SA node에서 심실로 흥분전달 하지 못하고 자발적 흥분생성에 실패하거나, 심장의 pacing 기능을 1차적으로 조절·유지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이 영구적 인공심박동기이다. 만성이나 재발하는 부정맥, 중증이며 항부정맥제에 무반응, 방실블록이나 동방결절 장애 시 사용한다.
영구적 인공심박동기는 고정형 심박동기(fixed rate, non-demand, asynchronous)와 수요형 박동기(demand pacemaker)로 구분된다. 고정형 심박동기는 대상자 심장의 전기적 활동과 상관없이 미리 정해진 박동수대로 일정하게 흥분을 유발하며, 위험할 수 있다. 수요형 박동기는 대상자의 고유리듬이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떨어질 때만 흥분을 유발한다.
양방형 심박동기 조율유형에는 VDD(artrial synchronous ventricular pacemaker), VAT(AV synchronous pacemaker), DVI(AV sequential pacemaker), DOO(AV sequential fixed-rate pacemaker), DDD(optimal sequential pacemaker) 등이 있다. 이들은 자발적으로 생성되는 P파와 QRS군을 감지하여 심방과 심실의 조화를 가능하게 하고 신체적 요구에 맞춰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5. 간호 중재
호흡곤란과 관련된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완술, 유도심상법(guided imagery), 기분전환법을 시도한다. 기도를 개방하고 가스교환을 촉진하기 위해 약물을 전신적 또는 흡입기를 통해 투여한다. 대상자에게 흡입기와 약물 사용법, 심호흡과 기타 호흡운동방법을 교육한다.
대상자의 산소포화도를 지속적으로 사정하고, ABGA 결과를 분석하여 산소화 상태를 적절히 모니터링한다. 산소요법을 통해 SaO2 95% 이상, 동맥혈산소분압을 80mmHg 이상으로 유지한다. 동맥혈산소분압이 적정수준을 유지하지 못하면 기계적 환기를 실시한다.
심호흡을 하도록 격려하고, 폐포 환기를 증가시키거나 중탄산염을 투여하여 산증을 치료한다.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심박동기 기능과 관련된 징후를 관찰하고, 정기적인 심전도 모니터링을 통해 심장 리듬을 확인한다. 삽입 부위를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드레싱을 관리하여 감염을 예방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심박동기 관리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2. 간호력
2.1. 일반적 배경
성명 : 문 ? ?
성별 : F
연령 : 만 80세
의학적 진단명 : ARF, Type Ⅰ(hypoxic)
키 : 150cm
체중 : 60kg
BMI : 26.67kg/M² (비만)
음주 : 없다.
흡연 : 없다.
입원 경로 : ER, Strecher
갑작스러운 체중 변화 : 없다.
입원 시 V/S : 120/70mmHg - 86bpm - 24회/분 - 36.3°C
결혼상태 : 사별이다.
직업 : 무직(주부)이다.
교육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