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위더스 사회학개론 4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회화와 자아정체감 형성
1.2. 4차 산업혁명의 도래
1.3. 연구의 목적
2. 본론
2.1. 4차 산업혁명에 장려해야 할 성격
2.1.1. 빠른 적응력과 변화를 받아들이는 성격
2.1.2. 감정적이고 정이 많은 성격
2.2. 4차 산업혁명에 고쳐야 할 성격
2.2.1. 집단주의, 가족주의적인 성격
2.2.2. 지나치게 타인을 의식하는 성격
3. 결론
3.1.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이해
3.2. 4차 산업혁명 시대 필요한 성격 변화
3.3. 미래 사회를 위한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회화와 자아정체감 형성
사회화와 자아정체감 형성은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이다. 개인은 가정, 교육 기관, 또래 집단 등 다양한 사회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특성을 발견하고 정체성을 확립한다. 이 과정에서 개인은 사회적 규범과 가치를 내면화하여 자아 개념을 형성한다. 또한 자신의 능력과 역할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자아존중감을 발달시킨다. 이처럼 사회화와 자아정체감 형성은 개인이 사회에 적응하고 통합되어 가는 과정이며, 이는 개인의 성격 형성과 행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1.2. 4차 산업혁명의 도래
4차 산업혁명은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최근 세계는 물론 우리사회도 4차 산업혁명의 길에 접어들었다. 이러한 4차 산업혁명의 도래는 사회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사회적 성격 측면에서 4차 산업혁명에 부합하는 성격이 무엇이며, 이를 육성하고 보완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사회 구성원의 가치관과 행동양식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급격한 기술발전에 발맞춰 개인의 성격과 역량 개발이 필요한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따라서 한국인의 대표적인 사회적 성격인 빠른 적응력과 변화수용성, 감정적이고 정이 많은 성격 등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긍정적으로 활용하고, 집단주의와 가족주의, 타인의식성 등의 부정적 성격은 개선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4차 산업혁명에 부합하는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을 도출하고, 미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1.3. 연구의 목적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따라 필요한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변화
한국사회에는 빠른 적응력과 변화를 받아들이는 성격, 감정적이고 정이 많은 성격, 집단주의와 가족주의적인 성격, 지나치게 타인을 의식하는 성격 등의 대표적인 사회적 특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특성은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혼재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한국인의 빠른 적응력과 변화를 받아들이는 성격은 급격한 기술발전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복잡한 시스템 문제 해결과 새로운 기술 습득에 도움을 준다. 또한 한국인의 감정적이고 정이 많은 성격은 인문학적 관점을 지키는데 필수적이다.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업무가 편리해졌지만 인간의 감성적 부분을 대신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인의 집단주의, 가족주의적 성격은 4차 산업혁명 시대 글로벌한 기술 공유와 개인 역량 개발에 장애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폐쇄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다양한 정보와 지식...
참고 자료
위더스,사회학개론,2022
이예은, 일의 성격이 완전히 바뀌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 인재에게는 56개 역량이 요구된다,조선일보,2023.04.24
https://www.chosun.com/special/special_section/2023/04/24/475T4KZ7NJG7PG4URQDVX4P7GE/
워크넷,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인재,
https://www.work.go.kr/empSpt/empGuide/stg4IndGuide/Stg4IndJobGuide.do?level=1&kind=2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에 관한 조사≫,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이근후 , 1995
김경환 ‧ 김종석(옮긴이),『맨큐의 핵심경제학』, 센게이지러닝코리아(주), 2021.
김종철 ‧ 장경호, (2014),「합리적 소비 선택에서 기회비용 개념의 의미」, 경제교육연구, 21(1), 1-24.
장경호, (2011),「기회비용과 합리적 선택」, 경제교육연구, 18(1), 1-21.
네이버 지식백과, “선택에 따른 기회비용”,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69600&cid=58780&categoryId=58780
송종식 저, ‘중학생의 합리적 선택과 기회비용에 대한 이해도 분석’, 경북대학 교 교육대학원 : 대구, 2016
신재수 저, ‘사회교과서의 주요경제개념 설명방식과 학습자의 이해도 분석 : 기 회비용과 비교우위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충청북도,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