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피펫의 사용법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5.03.08
3,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마이크로피펫의 사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마이크로피펫의 사용법
1.1. 마이크로피펫의 개요
1.1.1. 마이크로피펫의 정의와 특징
1.1.2. 마이크로피펫의 종류
1.2. 마이크로피펫의 구조 및 사용법
1.2.1. 마이크로피펫의 구조
1.2.2. 마이크로피펫 사용 방법
1.3. 마이크로피펫 사용 시 주의사항

2. 완충용액의 활용
2.1. 산과 염기의 개념
2.1.1. 아레니우스 정의
2.1.2.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
2.1.3. 루이스 정의
2.2. pH의 정의 및 특징
2.3. 완충용액의 개념과 작용 원리
2.3.1. 완충용액 조성과 작용 원리
2.3.2. 완충용액의 pH 계산
2.4. 완충용액의 응용 및 제조

3. 미생물 수의 측정
3.1. 직접계수법
3.1.1.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직접계수
3.1.2. 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직접계수
3.2. 생존수 계수법
3.2.1. 플레이트 카운트법
3.2.2. 최확수법(MPN)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마이크로피펫의 사용법
1.1. 마이크로피펫의 개요
1.1.1. 마이크로피펫의 정의와 특징

마이크로피펫의 정의와 특징이다. 마이크로피펫은 작은 양의 액체를 정밀하게 옮길 수 있는 실험 기구이다. 유리 피펫과 달리 마이크로피펫은 기계적으로 액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정확도가 높다. 마이크로피펫은 0.2 ~ 1000μl의 다양한 용량을 취할 수 있으며, 액체의 취급이 용이하고 빠른 속도로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버튼을 눌러 정확한 용량을 조절할 수 있어 실험 과정에서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마이크로피펫은 생명과학 분야의 실험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기구로 정밀한 실험을 위해 올바른 사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1.1.2. 마이크로피펫의 종류

마이크로피펫은 눈금 피펫, 홀 피펫, 스포이드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눈금 피펫은 피펫에 일정한 간격으로 눈금이 새겨져 있어 정해진 범위 안에서 원하는 부피를 자유롭게 취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홀 피펫은 눈금이 새겨져 있지 않고, 피펫 라벨에 표시된 부피만큼만 옮길 수 있다. 10 mL 또는 25 mL 등과 같이 일정량의 액체를 취할 때 사용되며, 다른 부피는 취하지 못하지만 눈금 피펫보다 훨씬 정확한 양을 재어 옮길 수 있다. 스포이드는 작은 양의 액체를 옮기는 데 사용되는 실험 도구로, 일반적으로 한국에서는 고무 주머니가 달려있거나 전체가 플라스틱으로 된 것 등을 스포이드라고 부른다. 마이크로피펫은 눈금 피펫과 홀 피펫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어 가장 많이 이용되는 피펫이다. 눈금 피펫처럼 원하는 양을 취할 수 있으나, 눈금을 눈대중으로 읽는 것이 아니라 용량을 기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홀 피펫만큼의 정밀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피펫은 0.2 ~ 1000 μL 용량을 취할 때 주로 사용되며, 5 mL, 10 mL를 취할 때도 사용된다.


1.2. 마이크로피펫의 구조 및 사용법
1.2.1. 마이크로피펫의 구조

마이크로피펫은 plunger button, digital display, disposable tip, tip ejector & arm으로 구성된다. plunger button은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버튼으로 내부 피스톤 장치를 움직이는 수단이다. digital display에는 팁 안으로 빨아들일 액체의 양이 표시된다. disposable tip은 액체를 빨아들여 담아두는 역할을 하며 피펫과 연결된다. tip ejector & arm 버튼을 누르면 arm이 연결된 tip을 밀어내 팁이 마이크로피펫에서 제거된다. 마이크로피펫은 취할 수 있는 최대량에 따라 크기가 다르며, 피펫마다 사용할 수 있는 tip도 다르다. 각 마이크로피펫의 plunger button에는 최대 용량을 나타내는 숫자와 색깔이 표시되어 있다.


1.2.2. 마이크로피펫 사용 방법

마이크로피펫(micropipette)은 외과의사가 메스를 사용하듯이 분자생물학 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도구이다. 마이크로피펫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것은 실험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유리 피펫은 입으로 직접 흡입하지만, 분자생물학 실험에서는 시약의 양이 매우 작기 때문에 마이크로피펫을 사용한다.

마이크로피펫은 용량에 따라 1000μL, 200μL, 100μL, 20μL 등 네 가지 종류가 있다. 피펫 손잡이에는 용량이 표시된 라벨이 있어 어떤 피펫인지 쉽게 구분할 수 있다. 피펫 옆면에는 숫자 눈금이 있어 정확한 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용량은 피펫 머리 부분의 돌리는 손잡이로 조절한다.

마이크로피펫은 disposal tip을 사용한다. 피펫 용량 라벨의 색과 같은 tip을 사용하면 된다. 1000μL 피펫은 파란색 tip, 나머지는 노란색 tip을 사용한다. 10μL 초소형 tip도 있는데 이는 투명한 흰색이다.

마이크로피펫을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을 지켜야 한다. 첫째, 각 피펫의 눈금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둘째, 단추를 눌러 걸리는 곳까지만 정확한 용량이 된다. 셋째, 용액을 취할 때와 옮길 때는 천천히 조작한다. 넷째, 용액이 담긴 상태로 피펫을 거꾸로 세우지 않는다. 다섯째, 유기 용매를 다룰 때는 특히 조심한다. 마지막으로 파이펫팅은 눈 앞에서 바로 보면서 두 팔꿈치를 실험대에 대고 하는 것이 좋다.


1.3. 마이크로피펫 사용 시 주의사항

마이크로피펫 사용 시 주의사항이다.

피펫의 눈금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피펫의 단추를 누를 때 한 번 걸리는 부분까지만 누르는 것이 정확한 용량이며, 그 이상 밀어 넣는 것은 남아 있는 잔류 용량을 불어내기 위함이다. 용액을 흡입하거나 옮길 때는 천천히 버튼을 조작해야 한다. 용액이 담긴 상태로 피펫을 거꾸로 세우지 말아야 하며, 유기 용매를 다룰 때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파이펫팅은 원칙적으로 눈 앞 가까이에서 바로 보면서 두 팔꿈치를 실험대에 대고 하는 것이 좋다.


2. 완충용액의 활용
2.1. 산과 염기의 개념
2.1.1. 아레니우스 정의

물에 녹았을 때 p...


참고 자료

https://blog.naver.com/labguide4574/2210532****- 피펫이란? & 피펫의 종류
https://bnfkorea3.blog.me/2211609****
https://blog.naver.com/eppendorf_k/13019044****- Forward pipetting
https://blog.naver.com/eppendorf_k/13019044**** - Reverse pipetting
https://blog.naver.com/jisung8410/2206147****- 마이크로 피펫의 구조
https://blog.naver.com/labguide4574/2210532****
https://blog.naver.com/jisung8410/2206147****
위키백과 <피펫> https://ko.wikipedia.org/wiki/%ED%94%BC%ED%8E%AB
https://blog.naver.com/jisung8410/2206147****
https://blog.naver.com/younginst/2208903****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