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용어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최초 생성일 2025.03.08
13,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치과용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개요

2. 치과용어
2.1. 자주 쓰는 용어
2.2. 치과 기구 이름
2.3. 치과재료 / 약제 이름
2.4. 치료술식 용어

3. 치과방사선학
3.1. 방사선의 정의
3.2. 구내 방사선 촬영법
3.3. 구외방사선 촬영법
3.4. 방사선 방어
3.5. 현상 및 판독
3.6. 방사선 장비 및 재료

4. 구강악안면외과학
4.1. 구강악안면외과학의 정의 및 영역
4.2. 진단
4.3. 치료
4.3.1. 발치
4.3.2. 구강악안면 영역의 소수술
4.3.3. 외상의 치료
4.3.4. 치아매식술
4.4. 구강외과 기구 및 재료

본문내용

1. 개요

방사선은 어떤 공간이나 물질을 통과하는 파장 또는 입자 형태의 에너지이다. 엑스선(Roentgen ray)은 물질을 투과하여 필름에 음영을 기록할 수 있는 에너지파로, 방사선학(Radiology)은 방사선을 노출시켜 방사선 사진을 만드는 기술이다. 치과방사선 촬영법(Dental radiography)은 치과 관련 해부학적 구조물의 방사선 사진을 만드는 기술이다.

구내 방사선 촬영법(Intraoral Radiography)에는 평행촬영법(Paralleling technique)과 등각촬영법(Bisecting angle technique)이 있다. 구외방사선 촬영법(Extraoral radiography)에는 두부 계측 촬영법(Cephalometric radiography)과 파노라마 촬영법(Panoramic radiography)이 있다. 방사선 방어를 위해 갑상선보호대, 납방어복, 방호벽 등을 사용한다.

방사선 사진을 현상하는 과정에는 현상, 수세, 정착 및 건조 단계가 있다. 방사선 사진 판독 시 주요 개념은 방사선 투과성, 방사선 불투과성, 흑화도, 대조도, 선예도, 확대 및 왜곡이다.

치과방사선 촬영기는 관두, 연장팔, 계기조절판으로 구성되며, 디지털 방사선 촬영기는 아날로그 영상과 달리 필름을 사용하지 않는다. 구내 필름으로는 치근단 필름, 교익 필름, 교합 필름이 있고, 구외 필름으로는 필름 카세트와 증감지가 있다. 현상에 필요한 기구와 재료로는 자동현상기, 판독대, 필름 마운트 등이 있다.


2. 치과용어
2.1. 자주 쓰는 용어

Labial은 입술쪽(순측)을 의미한다. Lingual은 혀쪽(설측)을 말한다. Buccal은 볼쪽(협측)을 뜻한다. Mesial은 근심면으로 정중선에 가까운 쪽이다. Distal은 원심면으로 정중선에서 먼쪽이다. Occlusal은 교합면을 나타낸다. Proximal은 치아와 치아 사이의 인접면을 말한다. Cervical은 치경부를 의미한다. Margin은 보철물과 치아의 경계부분이다. Bleeding은 출혈을 나타내고, Swelling은 종창을 말한다. Gag Reflex는 구토반응(게깅)을 뜻한다. Caries는 충치이며, Calculus는 치석이다. Tongue은 혀를 나타낸다. Praque는 치태를 말한다. Chief Complaine[C.C]은 환자가 가장 아프거나 불편한 것, 즉 치과에 오게 된 원인이다. Oral examination(O.E)은 구강 검사이며, Occlusal Adjustment(O,A)는 교합 조정을 의미한다. Bridge(br)는 하나 이상의 치아가 없을 때 앞뒤의 치아를 깍아서 연결해 놓은 것이다. Pontic(폰틱)은 브릿지의 인공치 부분이다. Crown(cr)은 치아를 완전히 덮어 씌우는 것이다. Denture(Dtr)는 틀니를 말한다. Impression(Imp)은 치아 본 뜨기, 즉 인상채득을 뜻한다. Treatment(Tx)는 치료를 의미한다. Root Rest(R.R)는 뿌리 잔존을 나타낸다. Retraction은 혀나 볼 등을 기구를 이용해서 당겨서 술자가 편하도록 하는 행위이다. Fractured[Fx.프렉쳐]는 파절, 즉 깨지거나 부서짐을 말한다. Bone Fragment[B.F]는 골절, 즉 뼈가 골절된 것을 의미한다. Upper/Lower[U/L]는 상악/하악을 나타낸다. Abrasion[Ab:어브레이젼]은 마모를 말하고, Abscess(엡세스)는 농양을 뜻한다. Lesion(리젼)은 병소를 의미한다. Bebel(베벨)은 경사, 기울기를 나타낸다. Mobility(Mob:모빌리티)는 치아가 흔들림을 말한다. Food Impaction은 음식물이 치아 사이에 끼이는 것을 뜻한다. Apical(에이피컬)은 치근측을 의미하며, Eruption(이럽션)은 맹출을 뜻한다. Embrasure(엠브레져)는 치아 사이 공간(치간공극), 접촉점과 치은정 사이 V자 부위를 말한다. Premedication(프리메디케이션)은 처방 후 치료를 의미한다. Cervical line(써비컬 라인)은 치경선을 나타내며, Contect(컨택)은 접촉점, 즉 치아의 인접면이 만나는 부위를 뜻한다.


2.2. 치과 기구 이름

Mirror(미러)는 치경이다.
Explorer(익스플로러)는 탐침, 익스플로러이다.
pincette(핀셋)는 핀셋이다.
Suction tip(석션 팁)은 '석션'이라고 많이 하는 기구이다.
기본기구는 Mirror, Explorer, Pincette, Suction tip으로, 줄여서 M?E?P라고 한다.
Spoon excarbator(스푼 익스카베이터)는 충치치료 시 충치 부분을 제거할 때 쓰이는 기구이다.
High speed engine(하이 스피드)은 치과에서 '윙-' 하는 소음을 내며 치아를 깎는 기구로, 치아삭제 시 열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항상 물이 같이 나온다.
Low speed engine(로우 스피드)은 하이 스피드보다 느리게 돌며 치아를 깎는 기구로, 충치 부분을 제거할 때, 보철물을 연마할 때 등등에 쓰이며, 물은 나오지 않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에어시린저로 물을 뿌려줘야 한다.
Bur(바)는 치아를 삭제할 때 쓰는 작은 금속재질의 연마 기구이다.
Surgical Bur(써지컬바)는 일반 Bur와 유사하나 더 길게 되어 있어, 치근노출을 위해 골을 제거하거나 절단해서 치아를 분리하는데 사용한다.
Mouth Gag(마우스 개그)는 개구기로, 입을 벌리게 하는 기구이다.
Mouth prop(마우스 프롭)은 고무로 된 개구기이다.
Air syringe(에어 쉬린지)는 치과 유니트 체어에 붙어 있으며, 왼쪽 버튼을 누르면 물이,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바람이, 같이 누르면 물과 바람이 나온다.
Forcep(포셉)은 겸자로, 발치에 쓰이는 기구이며, 이른바 '뺀찌'로 불리우는 일이 많다.
Tissue Forcep(티슈포셉)은 조직을 잡을 때 쓰는 작은 핀셋같이 생긴 기구이다.
Elevator(엘리베이터)는 발치에 앞서 치아를 탈구 시키는 기구로, 끝이 넓고 평평하게 생겼으며, 끝이 굽어져 있는 것과 일직선인 것이 있다.
Perio probe(페리오 프로브)는 치은의 깊이를 재는 기구이다.
Mallet(말렛)은 망치같이 생긴 기구로, 요즘은 거의 임플란트를 할 때 뼈의 폭을 넓히거나 상악동 거상술을 할 때 많이 사용된다.
Root Picker(루트피커)는 뿌리가 조각이 난 경우 뿌리 조각을 뽑을 때 쓰는 끝이 뾰족한 기구로, 끝이 굽어져 있는 것과 일직선인 것이 있다.
Hemostrat은 외과적 수술을 할 때 끊겨진 혈관을 집어서 지혈을 할 때 쓰이며, 치과진료에 쓰일 때는 본래의 목적을 벗어나 단순히 뭔가를 집고 싶을 때 쓰인다. 헤모스타트 중에는 켈리와 머스키토가 있는데 켈리는 좀 크고 머스키토는 켈리보다 작다.
Surgical Curette(써지컬 큐렛)은 이를 뽑은 후에 염증이 남아 있으면 염증을 긁어내는 기구이다.
Periosteal elevator(페리오스틸 엘리베이터)는 더 잘 보이게 하기 위해 절개 후 잇몸을 젖힐 때 사용한다.
Needle Holder(니들 홀더)는 봉합을 할 때 실이 꿰어진 바늘을 잡는 기구이다.
Scissors(씨저)는 치과용 가위이다.
Minesotal elevator(미네소탈 엘리베이터)는 뺨이나 넓은 부위를 젖힐 때 사용한다.
Bone File(본파일)은 불규칙적인 치조골을 다듬을 때 사용한다.
Bone Ronger(본론저)는 불규칙적인 치조골을 뜯어내거나, 불필요한 조직을 뜯어낼 때 사용한다.
Blade(블레이드)는 절개...


참고 자료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