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가정학대 방임 법적 윤리적기준

  • 1
  • 2
  • 3
  • 4
  • 5
  • 6
  • 7
  • 8
>

상세정보

소개글

"아동 가정학대 방임 법적 윤리적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아동학대의 정의와 유형
1.2. 아동학대 발생 현황
1.3. 아동학대 사례의 중요성

2. 아동학대 사례 고찰
2.1. 인천 초등학생 학대 사망 사건
2.2. 간호학적 측면의 고찰
2.3. 보건의료제도 측면의 고찰

3. 아동학대 예방 및 피해아동 지원 전략
3.1. 고위험 가정에 대한 지원 강화
3.2. 부모 대상 학대 예방 교육 확대
3.3. 아동학대 조기발견 체계 마련
3.4. 피해아동 보호 및 치료 지원 강화
3.5. 학대 가정에 대한 사후 모니터링 강화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아동학대의 정의와 유형

아동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정신적·성적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 것과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것이다. 아동학대의 유형에는 신체학대, 정서학대, 성학대, 방임이 있다.

신체학대는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 폭력 또는 가혹행위이다. 예를 들어 직접적으로 신체에 가해지는 행위, 도구를 사용해 신체를 가해하는 행위, 완력을 사용해 신체를 위협하는 행위, 신체에 유해한 물질로 신체에 가해지는 행위 등이 있다.

정서학대는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에 의하여 아동의 건강·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정신적 폭력 또는 가혹행위이다. 예를 들어 원망적/거부적/적대적 또는 경멸적인 언어폭력, 잠을 재우지 않는 행위, 벌거벗겨 내쫓는 행위, 아동을 시설 등에 버리겠다고 위협하거나 짐을 싸서 쫓아내는 행위 등이 있다.

성학대는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에 의하여 아동의 건강·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성적 폭력 또는 가혹행위이다. 예를 들어 자신의 성적만족을 위해 아동을 관찰하거나 성적 노출을 하는 행위, 아동을 성적으로 추행하는 행위, 아동에게 유사성행위를 하는 행위, 성교를 하는 행위, 성매매를 시키거나 매개하는 행위 등이 있다.

방임은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방임하는 행위이다. 예를 들어 기본적인 의식주를 제공하지 않는 행위, 불결한 환경이나 위험한 상태에 아동을 방치하는 행위, 아동의 출생신고를 하지 않는 행위, 아동을 병원에 입원시키고 사라지는 행위, 보호자가 아동을 학교에 보내지 않거나 아동의 무단결석을 방치하는 행위, 아동에게 필요한 의료적 처치를 하지 않는 행위, 아동을 보호하지 않고 버리는 행위 등이 있다.


1.2. 아동학대 발생 현황

보건복지부의 학대 피해 아동 보호 현황 조사에 따르면, 아동학대는 2021년에만 37,605건 발생했으며,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유형별로 보면, 정서학대가 12,351건, 신체학대가 5,780건, 방임이 2,793건, 성 학대가 655건이다. 아동학대로 인해 사망한 사례는 한해 40건에 달한다. 학대 행위자는 부모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학대 행위자와 피해 아동과의 관계는 부모가 약 84%로 가장 많고, 대리양육자가 9%로 뒤를 이었다. 이를 통해 아동학대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3. 아동학대 사례의 중요성

아동학대 문제는 주목받아야 할 중요한 사회적 이슈이다. 최근 발생한 인천 초등학생 학대 사망 사건이 대표적 사례로, 계모와 친부에 의한 지속적이고 잔혹한 학대로 인해 어린 A군이 숨지게 된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었다. 이러한 아동학대 사례는 피해 아동의 생명과 직결되어 있어 매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아동학대 사례가 지닌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학대는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심각하게 저해한다. 지속적인 신체적, 정서적 학대는 아동에게 육체적, 심리적 외상을 줄 뿐만 아니라 성격 형성과 사회성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인천 초등학생 학대 사망 사건에서와 같이 학대가 극단적인 결과로 이어질 경우 아동의 생명까지 앗아갈 수 있다.

둘째, 아동학대는 가정 내에서 은밀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발견하기 어렵다. 피해 아동은 학대 상황을 표현하기 어려워하고, 부모에 의한 학대의 경우 아동이 도움을 요청할 곳이 마땅치 않아 장기간 방치될 수 있다. 때문에 아동학대 사례에 대한 관심과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셋째, 아동학대의 심각성과 근절의 필요성이 사회적으로 인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는 제도적, 정책적 측면에서의 보완이 시급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아동학대 사례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과 이를 토대로 한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아동학대 사례는 아동의 기본적 권리와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관련 현황과 대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점검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모든 아동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


참고 자료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보건복지부. (2021). 2020 아동학대 주요통계. p. 87
한영혜, “"수학 답 몰라? 위치로"…망치손잡이로 쌍둥이 때린 학원”, 연합뉴스,
2022.09.20,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3052#home
이미나, “"너무 아팠어 나" 중학생 딸·친구 성폭행 의붓父 25년형 확정”, 한국경제,
2022.09.15,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2091524717
최은지, “'3살 딸 방치 사망' 30대 엄마, 2년째 아이 어린이집 안 보내”, 연합뉴스,
2021.08.09,https://www.yna.co.kr/view/AKR20210809075900065
대법원 2020. 3. 12. 선고 2017도5769 판결.
[네이버 지식백과] 아동복지법 [兒童福祉法]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64005&cid=40942&categoryId=31708
[네이버 지식백과]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2603&cid=43667&categoryId=43667
[네이버 지식백과] [아동학대 범위와 처벌] 말 안듣는다며 자녀 밥 굶겼다면? - 아동학대;굶김;아동복지법 (판례와 사례로 보는 생활법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631646&cid=69440&categoryId=69440
유영미·박현숙. (2021),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개정내용 검토와 개선방안”, 치안정책연구, 35(1):277-278
아동복지법 제1조. 제2조. 제17조. 제71조.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조. 제4조. 제5조.
아동ㆍ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 제1조. 제7조
대한간호협회“한국간호사윤리강령”
https://www.koreanurse.or.kr/about_KNA/ethics.php?mn=2#s1
칼럼니스트 이은,“아빠와 병원 온 아이에게 “학대당했니?” 몰래 묻는 미국“, 베이비뉴스, 2020.12.03.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0433
박명숙, ”미국 학교의 아동학대 예방 대응 시스템“, 행복한교육 2016년 03월호,
http://happyedu.moe.go.kr/happy/bbs/selectHappyArticle.do?nttId=5463&bbsId=BBSMSTR_000000000192
취재K, ”[아동학대]⑤ 반복되는 아동학대, 해외는?…“국가가 대응해야”“, KBS NEWS. 2022.02.16.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396173
황준범. “[특파원 칼럼] 정인이가 미국에 있었다면”. 한겨례. 2021.01.08.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977772.html
조혜람·박용필. “시행 1년 넘은 ‘정인이법’…정인이 지키기엔 아직 빈틈이 많다. 경향신문. 2022.04.28.https://m.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204282225005#c2b
김태호. ”'육아 대통령' 오은영 "아동 학대 처벌 강해져도 학대 안 멈춰"”. 중앙일보. 2021.06.13.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080757#home
서예진. “[정인이사건, 그 후①] 국민적 분노로 탄생한 ‘정인이 방지법’”. 시사위크.. 2022.04.28.
https://www.sisaweek.com/news/curationView.html?idxno=153029
정신건강간호학 하 개정6판, 한금선, 수문사, p. 321~334
아동학대 정책, 보건복지부,
https://www.mohw.go.kr/react/policy/index.jsp?PAR_MENU_ID=06&MENU_ID=06380501
아동학대 피해아동 지원 체계 구축방안 연구, 김미숙,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https://repository.kihasa.re.kr/bitstream/201002/20817/1/%EC%97%B0%EA%B5%AC%EB%B3%B4%EA%B3%A0%EC%84%9C%202016-10.pdf
1344회 그것이 알고싶다, 지옥이 된 5년 - 인천 초등학생 사망 미스터리
https://programs.sbs.co.kr/culture/unansweredquestions/vod/4020/22000493924
아동학대 재발 방지, 법보다 사후관리가 중요하다, 뉴스로드, 임해원 기자, 2021.11.15
http://www.newsroad.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405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