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분만실 GDM 제왕절개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제왕절개분만의 개요
2.2. 임신성 당뇨병의 정의와 특성
2.3. 제왕절개분만과 임신성 당뇨병의 관리
2.3.1. 수술 전 간호
2.3.2. 수술 중 간호
2.3.3. 수술 후 간호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2. 간호진단
3.3. 간호계획
3.4. 간호수행
3.5. 간호평가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최근 우리나라의 임산부 평균 나이가 증가하면서 다태임신이 늘어나고 제왕절개 분만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실제로 전체 임산부의 약 45%가 제왕절개 수술로 분만을 하였고,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분만율은 OECD 국가 평균보다 매우 높은 편이다. 이처럼 제왕절개 분만이 증가하는 이유는 아두골반 불균형, 과거 제왕절개분만 경험, 중증 자간전증, 전치태반이나 태반조기박리, 태아 질식 등 다양한 적응증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받은 산모의 경우 제왕절개분만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중 인슐린 요구량이 증가하면서 발생하는데, 이는 태아에게 출산과정과 산후과정에서 큰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산모를 간호할 때는 혈당 관리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건강까지 고려해야 한다. 이번 사례연구에서는 임신성 당뇨병을 동반한 제왕절개술을 받은 산모의 간호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2.1. 제왕절개분만의 개요
제왕절개분만은 자궁절개로 복부를 통해 태아를 출산하는 것이다. 모체 측 요인으로는 중증 심장병,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 등이 있으며, 태아 측 요인으로는 비정상적인 태아 상태, 비정상적인 태위, 활동성 생식기 음부포진 등이 있다. 또한 모성-태아 측 요인으로는 아두골반불균형, 태반조기박리, 전치태반, 제왕절개 분만 이력, 산모요구 등이 있다.
제왕절개분만에는 고전적 제왕절개와 자궁하부 제왕절개의 두 가지 주요 방법이 있다. 고전적 제왕절개는 자궁 체부를 수직으로 절개하는 반면, 자궁하부 제왕절개는 자궁 하부를 횡으로 절개하는 방식이다. 자궁하부 절개는 태아에게 접근이 용이하고 봉합이 쉬우며 합병증이 적은 장점이 있지만, 자궁 근육의 큰 혈관 절단으로 출혈량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제왕절개분만에는 마취와 관련된 상황, 출혈, 방광과 장의 상해, 양수색전증, 공기색전증 등의 모체 합병증과 미숙아, 마취나 자세로 인한 저혈압으로 태아 질식, 메스 의한 상해, 호흡 합병증 등의 신생아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왕절개 산모에 대한 수술 전, 수술 중, 수술 후의 체계적인 간호가 필요하다.
2.2. 임신성 당뇨병의 정의와 특성
임신성 당뇨병은 현성당뇨병에 해당하지 않는 임신 중 당뇨질환에만 국한된 것이다. 전체 임부의 약 9.2%에서 발생하며, 과거보다 비만과 과체중의 비율이 늘어나고 진단 기준이 엄격해져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관리가 잘 된 당뇨병 임부의 주산기 사망률은 주요 선천성 기형을 제외하면 일반 임부와 같아서 최적의 임신 결과를 위한 핵심은 임신 전과 임신 중의 엄격한 혈당관리이다. 임신 2기 말·3기가 되면 태아의 영양 요구가 높아지고, 모체는 영양 섭취를 통해 혈당을 높은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태반 호르몬(코티졸)과 인슐린 분해효소의 인슐린 길항작용으로 모체 인슐린 요구량이 3배까지 많아진다. 이 때 췌장이 충분한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거나 인슐린 효율이 떨어지면 임신성...
참고 자료
1권지민, 국내 작년 출생아 2명 중 1명 제왕절개···OECD 2위, 데일리메디, 2018.07.23.,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32840&thread=22r02
약학정보원
여성건강간호학2, 제12판, 안숙희 외, 2021, p98,202-204
정신건강간호학, 제6판, 이미형 외, 2020, p286,293,298
임신성 당뇨병 바로알기, 국민건강보험공단, 권혁상 외, p53-61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성미혜 외, p303-310
강남차병원, 외태아회전술, https://gangnam.chamc.co.kr/treatment/list/version/introduction.cha
서울아산병원, 이상 태위,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39
성미혜, 정향미, 김영희, 양영옥,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2019
성미혜, 정향미, 김영희, 양영옥,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NANDA-I 개정에 따른 별책부록, 수문사, 2019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2020.02.21.
Cunningham, F. G. 외, 「Williams Obstetrics, 25th Edition」, McGraw-Hill Education, 2018
약학정보원, www.health.kr, 2024.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