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구약 내러티브 설교 요약 및 서평
1.1. 서문 및 저자의 목적
본서의 목적이 설교자들로 하여금 구약의 내러티브 본문을 탁월하게 설교하도록 돕고자 함이다. 저자인 스티븐 D. 매튜슨(Steven D. Mathewson) 목사가 예전에 사역하던 교회에서 사무엘상을 연속적으로 설교를 하는데 구약 내러티브 본문을 효과적으로 설교하는 방법을 더욱 연마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 계기가 본서를 집필한 동기가 되었다. 저자는 구약의 내러티브들이 현재를 살아가는 성도와 교회에 구원을 완성해가는 결정적 매개체 역할을 한다고 말한다.
1.2. 내러티브의 정의와 개념
내러티브의 정의와 개념
내러티브(narrative)는 실제적·허구적인 이야기를 인과 관계로 엮은 것이다. 이는 국립국어원 신어 자료집에 수록된 단어로, 그 국어 사전적 의미는 '인과 관계로 엮인 실제적·허구적인 이야기'이다. 김재룡은 논문을 통해 내러티브를 '사건, 배경, 등장 인물을 가진 이야기를 플롯이라는 인과적 관계나 해설자의 관점 등을 포함한 수사학적 기법을 사용해 서술된 글'이라고 정의한다. 이야기는 전체의 흐름과 내용을 전달하지만, 내러티브는 그 이상의 것을 전달한다. 다윗과 골리앗의 이야기 속에서도 단순한 이야기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다윗의 심리상태와 주변 이들의 반응들, 골리앗의 입장에서의 다윗과의 싸움 등이 바로 내러티브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러티브는 이야기보다 더 세부적이고 내면적이다.
1.3. 책의 구성과 주요 내용 요약
본서는 저자 스티븐 D. 매튜슨 목사가 과거 사무엘상을 연속적으로 설교하면서 구약 내러티브 본문을 효과적으로 설교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을 느껴 집필하였다. 본서는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에서는 본문 주해에서 중심사상을 파악하는 과정을 통해 내러티브 본문을 연구하고 주해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2부에서는 본문의 개념을 파악한 후 설교문으로 작성하는 과정, 즉 설교자의 설교학적 임무를 다루며 설교자로 하여금 본문에서 얻은 주해 자료들을 바탕으로 정확함과 명료함, 흥미, 그리고 청중과의 연관성을 확보하는 설교문을 만들 수 있도록 안내한다. 마지막 3부에서는 이 분야의 전문가들이 제공하는 몇 개의 모범 설교문과 저자 자신의 설교문을 제시하여 앞서 제시한 개념과 방법들을 실제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이 구약 내러티브에 관한 설교문의 실제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며, 설교문에 대한 분석과 각 설교자에 대한 인터뷰 내용도 함께 제공하여 더욱 실용적이고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본서는 구약 내러티브 설교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2. 제1부 성경 본문에서 중심사상으로
2.1. 구약의 내러티브 설교에 대한 도전
사람들은 이야기를 좋아한다. 한 번 듣고 흥미를 끌었던 이야기는 기억에 남으며, 여러 번 들어도 재미있다. R.C. 스프라울은 사람들은 한 번의 추상적인 교훈보다 열 번의 이야기를 더 좋아한다고 하며 그도 내러티브를 즐겨 설교한다. 해돈 로빈슨도 성경을 사랑하는 사람은 누구나 이야기를 귀하게 여겨야 한다고 말한다. 성경은 무엇보다도 이야기책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설교자들은 구약 내러티브 설교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설교자들이 구약 이야기를 경시하고, 이야기의 역할을 최소화하며, 구약보다 신약성경이 내용이 다루기 쉽다고 여기고, 강해 설교의 특정한 형태에 붙잡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자는 구약의 내러티브 본문을 설교하는 보다 유동적이고 예술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약의 내러티브는 현재를 살아가는 성도와 교회에 구원을 완성해가는 결정적 매개체 역할을 한다. 설교자는 구약 내러티브 본문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그 방법을 배우고 연마해야 한다.
2.2. 기준과 주의사항들
설교자가 내러티브 설교를 준비하려면 어느 성경 본문을 설교할지 특정한 본문 하나를 선택해야 하며, 내러티브 설교를 위해 본문을 선택할 때는 이야기 전체를 선택해야 한다. 본문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숙달된 해석의 기본기를 먼저 익혀야 하는데, 이는 본문의 이해가 풍성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주해 작업의 관심은 저자가 의도하는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며, 저자가 의도한 의미에 대한 탐구가 결국은 본문의 중심사상으로 이어진다. 주해 과정에서 전문용어들을 실제 설교문으로 가져오지 말아야 하며, 주해에 기도의 불을 지펴야 한다. 기도 없이는 설교에 능력이 나타날 수 없기 때문이다.
설교 준비는 기도를 통해 본문의 선택에서부터 시작되어 주해 작업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성령께서 인도하기를 간절히 구하며 힘을 쏟아야 한다. 설교자는 주해 작업을 통해 본문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통해 청중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중심사상을 도출해낼 수 있어야 한다.
2.3. 이야기의 형태
구약의 내러티브 본문에서 의미를 찾는 작업은 플롯(plot, 줄거리)과 등장인물(character), 배경(setting)과 관점(point of view) 중심으로 진행되므로, 구약의 내러티브 본문을 주해하는 설교자들은 이 네 가지를 통해 본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 플롯은 행동에 관계하는 것으로 보통 사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결로 진행하는데, 구약 내러티브에 깔린 여러 플롯들은 이야기를 시작하는 데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정보들을 담는 서술적 설명과 긴장이나 갈등이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