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내외 호스피스 정책 변화 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국내 호스피스 정책변화의 필요성
2. 본론
2.1. 호스피스의 정의
2.2. 현대 호스피스의 발전
2.3. 한국 호스피스의 발전
2.4. 호스피스 연명의료 종합계획
2.5. 호스피스 서비스 접근성 강화
2.6. 주요 달라지는 점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국내 호스피스 정책변화의 필요성
국내 호스피스 정책변화의 필요성이다. 호스피스란 죽음을 앞둔 말기환자가 불필요한 치료 대신 호스피스 전문 의료진들의 돌봄을 받으면서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인간답게 살도록 돕는 것이다. 호스피스 제도는 주로 말기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해 왔으나 2017년 8월 4일부터 만성폐질환, 간경화, 에이즈환자에게까지 적용 범위가 확대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암 사망자의 5.1% 정도 호스피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데, 운영 및 서비스 제공 형태에 따라 어떤 정책변화가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2. 본론
2.1. 호스피스의 정의
호스피스는 죽음을 앞둔 말기 환자와 그 가족을 사랑으로 돌보는 행위로서, 환자가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평안하게 죽음을 맞이하도록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으로 도우며, 사별 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경감시키기 위한 총체적인 돌봄(holistic care)이다.
2.2. 현대 호스피스의 발전
영국의 여의사 시슬리 손더스(Ciceley Saunders)가 현대 호스피스 운동의 선구자이다. 손더스는 1905년 런던에 설립된 성 요셉 호스피스(St. Joseph's Hospice)에서 마련한 호스피스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1967년 성 크리스토퍼 호스피스(St. Christopher's Hospice)를 설립하였다. 이것이 오늘날 미국과 캐나다에서 체계화되고 전문화되어 호스피스의 전형적인 모델이 되었다.
손더스는 통증조절을 위한 약물처방 규약(drug protocol)을 창안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통증은 신체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서적, 경제적, 영적인 측면과 연결되어 있음을 주장하면서 전인적인 돌봄이 필요하다는 점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같은 시기에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Elisabeth Kubler Ross)는 미국의 정신과 의사로, 임종 환자에 대한 계통적인 연구를 하면서 말기 환자들에 대해 정신 요법적 접근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퀴블러 로스는 1969년 『On Death and Dying』에서 죽어가는 환자들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고 있음을 밝히고 이런 욕구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함으로써 호스피스 돌봄을 받아 들이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2.3. 한국 호스피스의 발전
1965년 3월 15일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수녀들의 강릉 '갈바리 의원'이 개원되어 처음으로 호스피스가 한국에 도입되었다. 1981년에는 14개의 침상을 마련하여 본격적으로 임종자들을 돌보게 되었고, 정기적인 가정 방문 간호를 실시하였다.
이후 큰 변화가 없다가 1981년 가톨릭대학교 의학과와 간호학과 ...
참고 자료
노유자 외. (1994). 호스피스와 죽음. 서울: 수문사
원예영. 호스피스 연명의료 정책변화 브리핑
장인우. 2014. 국내석사. 한국 가톨릭교회의 가정호스피스 현황과 활성화방안: 서울대교구를 중심으로
의학신문(http://www.bosa.co.kr)
‘연명의료결정제도’에 대한 인프라 확충과 전문성.
김춘미 외(2019). 제2판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수문사. 경기도 파주시
차경미 외(2017). 지역사회보건간호학Ⅰ. JMK(제이엠케이). 서울특별시 마포구
아이누얼 카더얼(2013). 한국과 중국 의료보장제도 비교연구. 석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광주
김. 범준(2016). 원격의료의 활성화를 위한 보험제도의 개선과제. 법학논고. 56. 221-250
김. 계현(2017). 한국, 일본, 대만의 건강보험제도 비교. 의료정책포럼. 14(4). 85-91
구인회 외(2018). 미국의 사회보장제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최주영(2016). 우리나라 건강보험제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의료정책포럼. 14(1). 77-80
이건정 이화여대 교수, “간호사는 있지만 간호법은 없는 나라”, 경향신문, 2021년 6월 21자
https://www.khan.co.kr/opinion/contribution/article/202106210300035
‘간호법 필요성’ 국회 공청회 흔들다 (2021.08.24. 간호법 공청회), 대한간호협회
https://www.youtube.com/watch?v=37bNird2xm8
김기경. (2004). 미국 NCSBN 간호법모델과 한국 간호협회 간호법(안) 비교. 한국의료법학회지, 12(1), 146-null.
박영옥. (2020.06.10.). [기획시리즈]간호사 기본법(5)_외국의 간호사법 현황. The Nurse.
http://www.thenurse.co.kr/View.aspx?No=1974115
심보혜. (2018). 간호사의 법적 책임의 한계와 법 제도적 개선방안(석사학위).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서울.
김강현, 김희정.(2020) "입법공백과 딜레마: 간호법 제정지연의 분석." 입법과 정책 12.2 : 5-34.
박은태, 김진현. (2020). 국가 간 간호사 상호인정협정의 현황과 한국의 정책방향 모색. 간호행정학회지, 26(1),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