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골수염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골수염의 정의 및 특성
1.2. 골수염의 발병 기전
1.3. 골수염의 원인균과 위험요인
2. 본론
2.1. 골수염 사례
2.2. 간호과정
2.2.1. 간호사정
2.2.2. 간호진단
2.2.3. 간호계획 및 수행
2.2.4. 간호평가
3. 결론
3.1. 골수염 간호과정에 대한 고찰
3.2. 추후 관리 및 간호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골수염의 정의 및 특성
골수염은 뼈 조직 자체와 그 주변 연부 조직의 감염을 말한다. 외부로부터 황색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폐렴구균 등의 세균이 골수에 침입하여 감염되는 것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또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개방성 골절로 인해 세균이 직접 골수에 침입하거나 상기도 감염, 농양 등에 있던 균이 혈행성으로 퍼져 골수염이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혈행성으로 나타나며, 급성 골수염과 만성 골수염으로 구분된다. 균이 침입하면 그 부위의 혈액순환이 지연되고 경색을 초래하며, 감염이 골수강 내로 진행되면 피질과 골수 부분이 충혈과 부종이 발생하여 골수 내 압력이 증가하고 통증이 유발된다. 또한 혈액순환이 차단되고 골막이 분리되어 뼈조직의 일부 또는 전체에 괴사가 발생한다. 괴사로 인해 생긴 부골은 분리된 골막으로부터 광범위한 신생골인 골구가 생성되며, 부골이 많이 형성되면 폐와 뇌에 감염이 전이될 수 있다. 연조직이 감염되면 염증이 주위 조직으로 퍼져나가며, 당뇨병이나 말초혈관 질환으로 인한 혈관장애가 동반되면 더 쉽게 퍼져나간다.
1.2. 골수염의 발병 기전
균이 침입하면 그 부위의 혈액순환을 지연시키고 경색을 초래한다. 감염이 골수강 내로 진행되면 피질과 골수 부분이 충혈과 부종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골수 내 압력이 증가하여 통증이 발생한다. 또한, 혈액순환이 차단되고 골막의 분리로 뼈조직의 일부 또는 골 전체에 괴사를 일으킨다. 괴사로 인해 생긴 부골은 분리된 골막으로부터 광범위한 신생골인 골구가 생성된다. 부골이 많이 형성되면 폐와 뇌에 감염이 전이될 수 있다. 연조직이 감염되면 염증이 주위조직으로 퍼져나가며 당뇨병이나 말초혈관 질환으로 인한 혈관장애가 동반되면 더 쉽게 퍼져나간다.
1.3. 골수염의 원인균과 위험요인
가장 흔한 골수염의 원인균은 황색포도상구균이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전체 골수염의 80~90%를 차지하며, 이 균은 일반적으로 피부에서 발견된다. 그 외에도 사슬알균, 대장균, 결핵균, 임녹농균, 살모넬라 등의 화농성 세균들이 골수염의 원인이 된다. 피부 찰과상, 상기도염, 종기, 여드름 등의 부위에서 균이 혈류를 타고 뼈로 전파되거나, 개방성 골절, 관통상, 수술 등의 외부 접촉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골수염의 위험요인으로는 영양 불량, 신부전, 간부전, 당뇨, 만성 저산소증, 악성 종양, 저연령 또는 고연령 등 면역, 대사, 국소 혈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있다. 또한 면역체계의 이상이나 스테로이드 장기 투여의 경우 골수염에 취약해진다. 국소적으로는 만성 림프부종, 정맥 정체, 중증 혈관 질환, 동맥염, 방사선 조사 섬유화, 소혈관 질환, 신경 장애, 흡연 등이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장기 투석이나 정맥 주사 투여도 위험요인이 된다.
2. 본론
2.1. 골수염 사례
권○○님은 50세 여성으로, 입원 1주 전부터 38°C의 고열을 유지하며 ankle 부위의 통증을 호소...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하권, 황옥남, 유양숙 외 공저, 현문사, 2018.01.05., p.333~337
네이버, 골수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2849&cid=40942&categoryId=32774
세브란스병원, 질환정보
http://sev.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infectious_diseases/disease/view.asp?con_no=20037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733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골수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18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제7판 하권」,현문사, 2017, p.337
이은희 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2021, p.217-p.308
박은영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수정판」, 현문사, 2019, p.86-p.90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2011,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2011,
김금순 외, 「건강사정」, 군자출판사, 2010
김애자 외, 「간호과정론」, 서울대출판부, 2010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네이버 〈osteomyelitis〉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