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숙주방어기전과 방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숙주 방어기전
2.1. 특이적 방어기구
2.1.1. 항체 매개성 면역
2.1.2. 세포매개성 면역
2.2. 비특이적 방어기구
2.2.1. 물리적 방어 기구
2.2.2. 화학적 방어 기구
2.2.3. 식균작용
2.2.4. 염증반응
2.2.5. 발열
3. 감염 경로
3.1. 외인성 감염
3.1.1. 수평감염
3.1.2. 수직감염
3.2. 내인성 감염
4. 감염 방어
4.1. 무균법
4.1.1. 내과적 무균술
4.1.2. 외과적 무균술
4.2. 공기감염 예방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감염은 미생물이 숙주(숙주) 내로 침입하여 증식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미생물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되는 질병을 감염병이라고 한다. 감염은 시간에 따라 급성감염과 만성감염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증상에 따라 현성감염과 불현성감염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감염 증상은 미생물의 침입 경로, 침입량, 숙주 및 환경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2. 숙주 방어기전
2.1. 특이적 방어기구
2.1.1. 항체 매개성 면역
항체는 항원의 반응에 의하여 숙주체내에서 생성된 단백질로서 그 항원과 특이적 반응을 한다. 척추동물만이 생성하는 항체를 면역글로불린이라고도 하며, 이러한 체액성 항체매개면역이라 불리는 한 면역 형태에서 특이 항체가 외부 항원에 탐지되었을 때 만들어진다. 항체매개면역은 B-lymphocytes 또는 단순히 B cells이라 불리는 림프구에 의존하며, 체내에 침입한 항원은 항체형성을 유도하고 항체와 반응할 수 있는 고분자가 될 수 있다. 항원이 미생물 또는 미생물이 생산하는 독소 및 효소 등이 침입하면 동물 체내에서는 침입된 이물질과 결합하여 특이 항체가 생산되며, 항원은 미생물이나 독소와 같이 질병이 될 뿐만 아니라, 자기 이외의 모든 생물에서 유래하는 비자기로 인식되는 물질로서, 단백질, 핵산단백질, 지단백질 및 다당류 등이 해당된다. 합텐은 저분자 물질로서 단독으로는 항체 생성을 유도하지 못하나 단백질과 구조적으로 비슷하거나 또는 동일한 물질과 결합되어 큰 분자가 되면 항체 생성을 일으키는 물질로서, 대부분 단순한 화학물질과 약제들이 합텐으로 작용한다. 항체는 항원이 생체로 침입하면 생산되지만 1차 감작 시와 2차 감작 시의 반응이 다르며, 항체가를 충분히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항원을 여러 번 접종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를 추가항원자극효과라고 한다. 면역글로불린에는 분자량과 성상이 다른 5종류의 글로불린이 있으며, IgG, IgA, IgM, IgD, IgE가 있고, 이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IgG는 혈청이나 조직액 중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면역글로불린으로 전 면역글로불린의 80%를 차지하며, 세포를 용해하거나 대식세포, 다형핵백혈구의 탐식작용을 증강하는 작용이 있다. IgA는 타액, 모유, 정액 및 소장 점막 등의 분비물 중 가장 많은 면역 글로불린이며, 병원미생물의 침입에 대해 점막조직을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IgM은 항원에 감작된 후 가장 먼저 나타나는 글로불린으로 세균감염의 초기반응을 담당한다. IgD는 혈청 중 미량으로 존재하며, IgE는 알러지 반응이 있는 사람 또는 기생충 질병이 있는 사람의 경우 혈청 IgE 수치가 증가한다.
2.1.2. 세포매개성 면역
세포매개성 면역반응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은 항체매개성 면역반응과는 달리 체내의 세포들이 외부 혹은 비정상적으로 인식되는 다른 세포들을 파괴하는 능력을 획득하는 것이다. 항체매개성 면역반응이 숙주체내로 들어온 항원에 대한 반응인 것과 달리,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은 세포 내에 감염된 미생물을 제거하고 악성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다. 바이러스성 감염과 같은 세포 내 감염은 특정 세포 내에 감염된 숙주세포에 대해 독성을 가지는 살해T세포의 생성을 유도한다. 살해T세포의 활성화는 직접적으로 미생물을 파괴하는 물질을 생성하고, 또한 대식세포를 감염부위로 끌어들이는 대식세포 화학주성인자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은 세포 내 감염을 제거하고 악성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다.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은 림프카인이라는 체액성 활성인자의 작용으로 이루어지는데, 종류에 따라 특이적인 면역활성을 나타낸다. 대식세포 화학주성인자는 대식세포가 림프카인이 존재하는 부위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고, 대식세포활성인자는 미생물을 죽이고 섭취할 수 있는 능력을 증가시켜 대식세포의 변화를 초래한다. 또한 혈관전체 단...
참고 자료
김영권,『최신병원미생물학』, 수문사, 2014, 87p
중앙대학교 병태생리학, "감염성질환"
http://www.kocw.net/home/cview.do?lid=b72e4ee8eb4f7577
naver 지식백과, “시간에 의한 분류”, “감염경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34006&cid=55649&categoryId=55649&expCategoryId=55649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33937&cid=55649&categoryId=55649&expCategoryId=55649
위키백과, “감염”
https://ko.wikipedia.org/wiki/%EA%B0%90%EC%97%BC
남혜경. "요로 감염 예방을 위한 유치도뇨 환자의 간호에 대한 조사 연구." 論文集 20.- (1998): 639-660.
의료시설에서의 공기감염 예방기술 - 병원내 미생물 오염(2013).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354840930042&SITE=CLICK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강정희, 이정인, 김영주, 박진희, 신미경, 최정실 외 공저(2020). 기본간호학I. 현문사.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강정희, 이정인, 김영주, 박진희 외 공저(2020). 기본간호수기. 현문사.
서영미, 이은지, 김영권, 권명진, 권윤희, 김경남, 김미향 외 공저(2021). 간호미생물학.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