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골절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골절의 정의와 분류
1.1. 골절의 정의
1.2. 골절의 원인
1.3. 골절의 병태생리
1.4. 골절의 종류
2. 골절의 진단 및 증상
2.1. 골절의 검사 및 진단방법
2.2. 골절의 임상증상
3. 골절의 치료
3.1. 골절의 초기 치료
3.2. 골절의 수술적 치료
3.3. 골절의 비수술적 치료
3.4. 골절의 재활 치료
4. 골절 간호
4.1. 골절 환자의 간호
4.2. 골절의 합병증 예방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골절의 정의와 분류
1.1. 골절의 정의
뼈의 정상적인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를 골절이라 한다. 모든 골절에서는 어느 정도의 연조직 손상이 동반된다. 골절은 외부의 과도한 힘에 의해 발생하지만, 골다공증과 같은 병리적 상태로 인해 뼈가 약해진 경우 정상적인 활동 중에도 쉽게 골절될 수 있다. 따라서 골절은 어린아이에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가장 흔한 질환이지만,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는 위험한 질환이기도 하다.
1.2. 골절의 원인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져 힘의 작용지점에서 뼈가 파괴되는 것이 가장 흔한 골절의 원인이다. 외부로부터 가해진 강력한 충격으로 인해 뼈가 부러지게 된다.
응전력(shear force)에 의해 뼈가 뒤틀려 힘의 작용지점에서 떨어진 곳에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을 비튼 후 상박의 골절이 나타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심한 발작성 기침이나 근육의 피로로 인한 강력하고 급작스런 근육 수축으로 인해 뼈가 골절될 수 있다. 근육의 강력한 수축이 뼈에 가하는 힘으로 인해 골절이 발생한다.
뼈에 무기질이 감소되어 병적인 상태에 놓이게 되면 자연스럽게 골절이 일어날 수 있다. 골다공증, 골종양, 영양부족 등으로 뼈가 약해진 경우 일상적인 활동 중에도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1.3. 골절의 병태생리
완전골절은 골피질의 연속성이 완전히 소실된 상태로, 주로 성인에게 호발한다. 단순(폐쇄)골절은 골절부위의 피부가 정상이며 골편 수가 3개 미만인 경우를 말한다. 매몰(감입)골절은 골절된 뼈의 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박혀 있는 상태이다. 분쇄골절은 골편 수가 3개 이상으로 여러 조각으로 부서진 상태이며, 둔탁한 외력이 광범위하게 가해졌을 때 발생한다. 개방/복합골절은 골절된 뼈의 말단부가 연부조직을 뚫고 피부 밖으로 돌출된 경우로, 감염 등 합병증 위험이 높다. 압박골절은 뼈의 길이 방향으로 무리한 하중이 가해져 한 개의 골절편이 다른 골편이나 뼈조직에 박히는 골절이며, 노인의 골다공증성 척추압박 골절이 대표적이다. 전위골절은 완전골절되어 골절편이 골절선에서 분리되어 위치가 이탈된 경우이다. 불완전 골절인 유연골절은 골의 한쪽 피질골의 연속성만 소실된 경우로, 소아에게 호발한다. []
1.4. 골절의 종류
골절은 다양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다. 폐쇄성 골절은 골절부위의 피부 외층에 손상이 없는 골절이다. 개방성 골절은 골절부위가 피부 밖으로 돌출하여 외부환경에 직접 노출된 상태로, 복합골절이라고도 한다. 선상골절은 골절부위가 횡선이나 사선 등의 골절선을 가지며, 뼈에 약간 또는 중간 정도의 직접 압력이 가해졌을 때 발생한다. 전위골절은 골절편이 골절선에서 분리되어 정상적인 위치를 이탈한 상태이다. 분쇄골절은 골절된 뼈가 산산이 부서진 형태의 골절이다. 매복골절은 골절부위의 한쪽 종단명이 다른 쪽의 중단면에 박히는 경우이다. 압박골절은 뼈의 종축에 무리한 중량이 가해져 발생하며, 노인성 골다공증성 척추압박골절이 대표적인 예이다. 유연골절은 뼈에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골절로, 어린이에게 흔하다. 스트레스 골절은 조깅이나 달리기와 같은 반...
참고 자료
학술편찬국 저, 2014년, 퍼시픽 요약집 (성인간호학), 535~549p, 퍼시픽북스
학술편찬국 저, 2014년, 퍼시픽 문제집(기본간호학), 300~330p, 퍼시픽북스
노영희의 성인간호학 카페 출력물(근골격계)
최순희 외, 2013년, 간호과정 제 3판, 42~247p, 현문사
양선희 외, 2013년, <기본간호학Ⅱ>, 25~60p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