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1. 표적집단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진행하고 (표적집단이 경험하는 어려움, 프로그램등), 표적집단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에 대해 서술하시오(15점, 2쪽내외). 2. 이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효과성 평가의 전 과정을 사전검사, 사후검사, 추후검사, 실험집단, 통제집단을 활용하여 구체적 예시를 만들어 서술하시오(15점, 2쪽내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표적집단과 관련된 문헌고찰
1.1. 조손가족의 정의와 특징
1.2. 조손가족이 경험하는 어려움
1.2.1. 경제적 문제
1.2.2. 공감의 문제
1.3.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1.4.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목표
2.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
2.1. 사전검사
2.2. 사후검사
2.3. 추후검사
2.4.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구성
2.5. 데이터 분석
2.6. 결과 해석
2.7. 보고서 작성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표적집단과 관련된 문헌고찰
1.1. 조손가족의 정의와 특징
조손가족은 부모가 없이 조부모가 최소 6개월 이상, 18세 이하의 손자녀를 양육하는 가족의 형태이다. 부모가 이혼, 질병, 사망, 가출 등의 이유로 양육자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면, 조부모가 대신 손자녀들에게 부모의 역할을 수행하며 지속적인 안정감을 제공하는 가족 형태이다.
1.2. 조손가족이 경험하는 어려움
1.2.1. 경제적 문제
조손가족은 기본적으로 가족을 유지하기 위해 경제력이 필수적이다. 부모가 있는 가족의 경우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어 가난이나 빈곤 등의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조부모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우리나라에서는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있어, 청년이나 장년에 비해 노인의 능력이 떨어지고 회사와 조직에 손해가 된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노인이 경제활동을 하고자 해도 그러한 기회를 가지기 어렵다. 이때, 노인부부가 생활을 영위하는 것과 손자를 양육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 노인부부만 있다면 지원금으로 어느 정도 생활이 가능하겠지만, 손자가 있게 되면 경제적으로 당연히 어려움을 겪게 된다.
1.2.2. 공감의 문제
다음은 1.2.2. 공감의 문제에 해당하는 내용만을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다음은 조손가족이 겪는 어려움 중 하나인 공감의 문제이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대화할 때 나이차이가 크지 않아도 살아온 환경이나 시대 등이 다르면 서로의 상황을 공감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부모와 자녀 사이에서도 종종 일어나는 일이다. 그렇다면 당연히 손자녀와 조부모 사이에서는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손자녀의 입장에서는 조부모가 너무 보수적이라고 생각하고, 조부모의 경우에는 손자녀들이 공부 이외의 것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나 SNS를 하는 것 등을 이해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이들 사이에는 다양한 갈등이 일어나게 된다. 결국 세대 간의 공감 능력 부족으로 인해 조손가족이 경험하는 어려움이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부모와 손자녀 간의 상호 이해와 존중이 필요하다. 세대 간 차이를 인정하고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며,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이를 실현할 수 있다.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조부모와 손자녀가 서로의 특성과 생애주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세대 간 갈등을 예방하며, 가족 구성원 간의 원활한 소통과 유대감 형성을 돕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1.3.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손가족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부모와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에 비해 조손가족은 불안정성이 많은 위험을 예방하고자 함이다. 둘째,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 이해...
참고 자료
건강가족 형성을 위한 교회의 가족생활교육 연구 방안/김경란/안양대학교/2008
조손가족의 가족기능 향상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전보영/영성균관대학교/2011
권정화, 홍(손)귀령(2021). 치매노인 주 돌봄제공자의 자기돌봄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Acad Nurs, Apr;51(2), pp.217~231.
기쁘다, 성미애, 이재림(2021). 가족생활교육. 서울:한국방송대학교 출판문화원.
김영욱, 변상해(2020).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이 삶의 질, 스트레스, 우울증에 미치는 영 향. 인문사회 21, 11권 2호, pp.105~119.
박세연, 박명화(2015). 치매 가족 지지프로그램이 가족 부양자의 부양부담감, 우울,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45권 제5, pp.627-640.
방미란, 김옥수. 치매노인 주 부양자에게 적용한 가족탄력성 강화프로그램의 효과.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Korean J Adult Nurs). Vol. 28 No. 1,(February 2016), pp.71~82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2021). 치매환자 가족을 위한 자기 돌봄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연구보고서.
연병길, 윤선경, 윤혜진(2019). 환자가족의 지지프로그램 효과 평가. 장기요양연구, 7권, 2호, pp. 45-63.
이문숙(2019. 치매노인 부양 가족기능 강화 지원프로그램으로써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효 과 검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43권 제4호, pp.59~75.
이영만, 신동열(2020).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산업진흥연구, 5권 2호, pp.41-50.
장유경(2022). 치매 환자 돌봄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와 우울감의 관계: 대처방식과 돌봄 죄책감 의 다중병렬 매개효과 검증. 인지발달중재학회 인지발달중재학회지, 제13권 제3호, pp.113~131.
김수현.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평가도구의 개발과 적용." 국내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