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PSVT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PSVT 간호과정
1.1. 간호력(Nursing history)
1.2.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1.2.1. 심실상 빈맥(supraventricular tachycardia)
1.2.2. 부정맥(arrhythmia)
1.2.3. 고혈압(hypertension)
1.2.4. 당뇨(Diabetes mellitus)
1.2.5. 고지혈증(hyperlipidemi)
1.2.6. 치매(dementia)
1.3. 대상자의 간호과정(Nursing pro cess for this case)
1.3.1. 간호력(Nursing History)
1.3.2.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PSVT 간호과정
1.1. 간호력(Nursing history)
대상자는 86세 여성으로, 요양원에서 지내던 중 어지러움과 전신 쇠약으로 인해 119에 신고되었다. 타원 응급실에서 심근경색 진단을 받고 이송되어 중환자실에 입원하였다. 뇌압의 상승은 없었으며, 의식 상태는 명료하였다. 수술력은 없었으나 부정맥, 고혈압, 제2형 당뇨, 고지혈증, 치매의 과거력이 있었다. 입원 당시 활력징후는 안정적이었으나 12유도 심전도 검사 결과 심실상성 빈맥 소견이 관찰되었다. 환자는 식욕부진과 체중 감소 증상을 보였으며, 배뇨와 배변 양상에 변화가 없었다. 환자는 비흡연자이며 음주력도 없었다. 현재 가족들의 방문과 지지를 받고 있다.
1.2.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1.2.1. 심실상 빈맥(supraventricular tachycardia)
심실상 빈맥(supraventricular tachycardia)은 심장의 전도체계가 제대로 기능하지 않아 발생하는 부정맥의 일종이다. 정상적으로 심장은 동방결절(sinoatrial node, S-A node)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가 심방과 심실을 거쳐 전달되며 수축이 이루어지지만, 심실상부에서 빠른 자극이 생겨나면 심실상 빈맥이 발생한다.
심실상 빈맥은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 때문에 생기는데, 방실결절회귀성 빈맥(AV nodal reentrant tachycardia)과 방실회귀성 빈맥(AV reentrant tachycardia)이 대표적인 유형이다. 방실결절회귀성 빈맥은 방실결절 내에 존재하는 두 개의 전도 경로, 즉 빠른 전도로와 느린 전도로 사이에서 전기 자극이 회귀하여 발생한다. 방실회귀성 빈맥은 심방과 심실 사이에 정상적인 전도로 외에 부가적인 우회로가 있어 이를 통해 전기 자극이 회귀하면서 발생한다.
이러한 빠른 심장 박동은 갑작스럽게 시작되고 갑작스럽게 멈출 수 있는데, 이때 환자는 심계항진, 흉통, 어지러움, 피로감,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경험할 수 있다. 심실상 빈맥의 진단을 위해서는 심전도 검사가 필수적이며, 전기생리학적 검사를 통해 정확한 기전을 파악할 수 있다.
치료에는 미주신경 흥분수기, 약물 치료, 전기적 심율동 전환,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 등이 사용된다. 미주신경 흥분수기는 부교감 신경을 자극하여 심박동수를 낮추는 응급 방법이며, 아데노신, 베라파밀 등의 약물은 방실결절 전도를 억제하여 빈맥을 종료시킨다. 전기적 심율동 전환은 전기 충격을 가해 정상 동리듬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이고,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은 부정맥의 병소를 제거하는 근본적인 치료법이다. 심실상 빈맥은 대부분 치료에 반응이 좋지만 재발의 위험이 있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1.2.2. 부정맥(arrhythmia)
부정맥은 심장의 정상적인 전기적 활성화 및 수축 패턴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는 심장 박동의 변화이다. 부정맥은 심박수의 증가 또는 감소, 불규칙성, 조기수축 등으로 나타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부정맥은 심장 전도체계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참고 자료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고성희 외3인 저, p19-28
저 Joanne C. McCloskey 외 1인, 역 염영희 외 3인, 간호중재분류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NIC), 현문사, 1998
임상실습지침서(성인간호학) Manual of Clinical and Field Practice,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p. 106-113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naver blog, 홍경립의 건강이야기
http://blog.naver.com/honginsuranc?Redirect=Log&logNo=40119816127
대학교 병원 CCU 간호기록 및 의사처방기록
윤남식(2011).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의 약물치료. 전남대학교병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유리(2016).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황철민 외(2015). 원저: 응급실에 내원한 발작심실상성빈맥 환자에서 투약 방법 교육에 따른 아데노신의 효과. 대한응급의학회지, 26(6), p571-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