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어깨탈구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문헌 고찰
1.2.1. 정의
1.2.2. 원인
1.2.3. 증상
1.2.4. 진단검사
1.2.5. 치료 및 수술
1.2.6. 간호중재
2. 본론
2.1. 간호사정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현대인들은 다양한 여가활동을 즐기고 있으나, 자신의 신체 한계를 넘어 과도한 운동을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로 인해 어깨관절이 연속적으로 데미지를 받게 되면 관절을 구성하는 연골과 같은 부속 조직까지 손상을 받게 되어 기능과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어깨 관절 탈구에 대해 집중적으로 탐구해볼 필요가 있다.
어깨 관절은 고관절과 더불어 탈구가 비교적 흔하게 발생되는 곳 중 하나이다. 어깨 관절은 상완골두와 견갑골의 관절오목 사이에 활액으로 구성되어 있고, 회전근개라 불리는 힘줄로 안정성이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외부의 강력한 충격이나 급격한 활동으로 인해 이러한 구조물들이 손상되면 어깨 관절 탈구가 발생할 수 있다.
어깨 관절 탈구는 완전탈구와 부분탈구로 구분할 수 있다. 완전탈구는 상완골두가 관절오목에서 완전히 벗어난 상태이고, 부분탈구는 상완골두의 위치가 조금 벗어난 상태를 말한다. 이렇게 한 번 탈구가 되면 인대와 관절순이 손상되어 관절의 정상적인 위치 유지에 매우 불리한 여건을 야기하게 되며, 이는 결국 습관적 탈구로 이어지는 주요 원인이 된다. 또한 충돌증후군, 건염 등과 같은 주위 해부학적 구조물들과의 상호작용으로 다양한 증상을 야기하기도 한다.
어깨 관절 탈구의 증상으로는 통증과 관절 부위의 부기, 멍 등이 나타난다. 보통 통증이 심각하여 팔을 뗄 수 없어 계속 부여 잡고 있으려 한다. 진단을 위해서는 근력 평가, 관절 운동 범위 검사 등의 기본검진과 더불어 X-ray, MRI, CT 등의 영상검사가 이용된다. 이를 통해 골절 동반 여부, 인대 및 연부조직 손상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구분된다. 보존적 치료로는 통증 완화, 정복 및 고정 등이 있다. 정복은 관절을 제자리로 돌려놓는 것으로, 고통스러워 진통제나 마취제 투여가 필요할 수 있다. 이후 관절을 움직이지 않게 깁스나 부목으로 고정한다. 수술적 치료로는 관절경 수술인 방카르트 복원술이 대표적이다. 이는 파열된 인대와 관절순을 봉합하는 것으로, 수술 후 재활 과정에서 어깨 근력 회복에 중점을 두게 된다.
간호 중재로는 수술 전 교육, 통증 관리, 수술 부위 감염 예방, 재활 간호 등이 있다. 수술 전 교육을 통해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수술 부위에 얼음찜질을 하여 통증과 부종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수술 후 심호흡 운동과 기침 등을 격려하여 폐 합병증을 예방한다. 이와 함께 상처 관리, 드레싱 교환, 운동 지도 등 재활에 대한 간호 중재를 수행한다.
이처럼 어깨 관절 탈구는 다양한 원인과 증상, 치료법이 있으며 체계적인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특히 수...
참고 자료
이상민,2016, 견관절 전방 불안정증 환자의 수술 전 견관절 근력이 관절경적 방카르트 복원술 후 견관절 근력 및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1-2.
이강이 외6인, 건강사정,2022, 현문사,337-368
Allain, J., Goutallier, D., Glorion, C., & Surgery, J. (2010). Long-Term Results of the
Latarjet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Anterior Instability of the Shoulder Long-Term
Results of the Latarjet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Anterior Instability of the
Shoulder *. J Bone Joint Surg, 80, 841–852.
Tahta, M., Akmeşe, R., Ö zberk, Z. N., Coşkun, Ö . Ö ., Işik, Ç., Korkusuz, F., &
Bozkurt, M. (2013). Muscle strength and function of shoulders with Bankart lesion after successful arthroscopic treatment: Interlimb comparison 24 months after surgery. Archives of Orthopaedic and Trauma Surgery, 133(12), 1711–1718.
Podlog, L., & Eklund, R. C. (2010). Returning to competition after a serious injury: the
role of self-determination. Journal of Sports Sciences, 28(June), 819–831.
Hiemstra, L. A., Sasyniuk, T. M., Mohtadi, N. G., & Fick, G. H. (2008). Shoulder strength after open versus arthroscopic stabilization. Am JSports Med, 36(5), 861–867.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B%B6%80%EC%83%81-%EB%B0%8F-%EC%A4%91%EB%8F%85
/%ED%83%88%EA%B5%AC/%EC%96%B4%EA%B9%A8-%ED%83%88%EA%B5%AC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B%B6%80%EC%83%81-%EB%B0%8F-%EC%A4%91%EB%8F%85/%ED%83%88%EA%B5%AC/%ED%83%88%EA%B5%AC-%EA%B0%9C%EC%9A%94
고관절 전치환술을 담당하는 환자의 우수연구,김귀분 (국립서울대학교 물리학부 ) 외 7명, 1997.11.01. 대한간호협회 36권 4호
어깨 관절의 재발성 전방 탈구증, 김준식(강북삼성병원 정형외과),防災와 保險, no.71, 1996, 66-67p
조경숙 외(2016),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p.388-389
Lewis 외(2012),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p.872-882
성인간호학회(2011), 핵심 성인간호학2, 도서출판 하누리, p.669-670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김조자 외(2014),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p.437-510
국제간호진단협회(2013), 간호진단 : 정의와 분류, 2012-2014, 정담미디어, p.413,414,416
박은영 외(2016),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p.214-219
윤은자 외 多,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19
서울대학교병원, 골절,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548, 20.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