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은 신생아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다. 해당 질환의 발생 원인, 증상, 치료법 등을 이해하는 것은 신생아 간호에 필수적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의 전반적인 특성과 사례 연구를 통해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간호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신생아 간호사들이 해당 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간호 수행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2. 문헌고찰
2.1. 고빌리루빈혈증의 정의
고빌리루빈혈증이란 혈액 내 빌리루빈이 지나치게 많은 상태를 말한다. 이는 황달이라고도 불리며, 피부와 다른 조직의 색깔이 노랗게 변색되는 특징을 보인다. 신생아에게 흔히 나타나는 고빌리루빈혈증은 생리적 황달과 병리적 황달로 구분된다. 생리적 황달은 간 기능이 미숙한 신생아에서 빌리루빈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일시적으로 피부와 공막에 황색 착색이 나타나는 것이다. 반면 병리적 황달은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며, 적혈구 과도 파괴나 빌리루빈 대사·흡수 장애로 인해 생긴다. 병리적 황달은 뇌-혈관 장벽을 통과하여 뇌세포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핵황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다.
2.2. 고빌리루빈혈증의 원인
신생아가 태어나면 태아 혈액순환이 끊기면서 태반을 통해 배출되던 빌리루빈이 신생아의 간에서 분해되고 처리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원인에 따라 생리적 황달과 병리적 황달이 발생할 수 있다.
생리적 황달은 간 기능이 미숙한 신생아들이 빌리루빈 배출을 충분히 하지 못해 빌리루빈이 체내에 과다 축적되어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황달이다. 출생 24시간 이후부터 5일 내에 나타나며 자연적으로 치료된다.
병리적 황달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Rh 혈액형 부적합, ABO 혈액형 부적합, 용혈성 황달, 감염성 황달, 모유황달, 담도 폐쇄 황달 등이 그 원인이 된다.
Rh 혈액형 부적합 황달은 임신부가 Rh-이고 태아가 Rh+인 경우 발생한다. 출생 당일부터 황달이 나타나며 빠르게 진행하는 특징이 있어 합병증인 핵황달이 오기 쉽다.
ABO 혈액형 부적합 황달은 임신부가 O형 혈액형이고 태아가 A형이나 B형 혈액형인 경우 발생한다. Rh 부적합 황달보다 빈혈과 황달 정도가 덜하지만 첫 임신부터 발생할 수 있다.
용혈성 황달은 적혈구가 과도하게 파괴되어 빌리루빈이 과다 생성되는 것이 원인이다. ABO 부적합이나 유전 효소 결핍 등에 의해 나타난다.
감염성 황달은 패혈증, 풍진, 간염,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모유황달은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모유 수유만으로는 비포합 빌리루빈을 충분히 처리하지 못해 발생한다.
담도 폐쇄 황달은 담도가 막혀 빌리루빈이 배출되지 못해 발생한다.
이처럼 다양한 원인에 의해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원인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
2.3. 병태생리
출생 후 신생아는 자궁 밖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빌리루빈 대사에 장애가 생겨 고빌리루빈혈증이 발생한다.
신생아의 적혈구는 자궁 내에서 생성되던 것과는 다른 형태의 적혈구로 전환되는데, 이 과정에서 수많은 적혈구가 파괴된다. 이렇게 파괴된 적혈구에서 빌리루빈이 생성되는데, 정상적인 경우 간에서 이 빌리루빈을 대사하여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신생아의 간은 아직 미성숙하여 빌리루빈을 효과적으로 대사하지 못한다. 또한 장관계 기능도 미숙하여 소화 및 배출 과정에서 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빌리루빈이 체내에 축적되어 고빌리루빈혈증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Rh 부적합이나 ABO 부적합과 같은 혈액형 부적합 상태, 감염, 모유황달 등의 경우 더욱 심각한 형태의 고빌리루빈혈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핵황달과 같은 합병증이 동반되면 영구적인 신경학적 손상이 초래될 수 있다.
이처럼 신생아의 고빌리루빈혈증은 간 기능의 미성숙과 적혈구 파괴 증가, 장관계 기능 저하 등이 복합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