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발달지연위험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2.1. 정의 및 특성
2.2. 원인
2.3. 임상증상
2.4. 진단적 검사
2.5. 치료
2.6. 간호중재
3. 사례 및 간호과정
3.1. 시나리오
3.2. 간호과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신생아기부터 발생하는 질환으로, 갑상선 호르몬의 결핍으로 인해 성장과 발달에 지장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이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신생아 4,000명당 1명 꼴로 발생하며, 여아에서 남아보다 2배 더 많이 나타난다.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각한 지적장애와 성장발달의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정의, 원인, 임상증상, 진단검사, 치료 및 간호중재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2.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2.1. 정의 및 특성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신생아가 선천적으로 갑상선의 기능이 저하된 상태이다. 이는 신체의 성장 및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갑상선 호르몬의 농도가 감소한 질환으로, 과거에는 크레틴증이라 불리기도 했다.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신생아 4,000명당 1명꼴로 발생하며, 여아에게서 남아보다 약 2배 더 많이 발생한다. 백인 영아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갑상선 호르몬은 신체의 성장과 신진대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신생아 시기에는 중추 신경계 발달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갑상선 호르몬이 결핍되면 성장호르몬 분비 감소, 말초조직의 성장호르몬 민감도 저하 등으로 인해 성장 발육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조기에 치료되지 않으면 심각한 정신지체와 성장 발달 지연을 초래하기 때문에,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하다.
2.2. 원인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원인은 크게 신생아 요인과 산모 요인으로 구분된다. 신생아 요인에는 갑상선의 형성이상증이나 무형성증(80%)과 상염색체 열성 유전에 의한 갑상선 호르몬 합성 장애(10-15%)가 있다. 산모 요인으로는 요오드 섭취 부족, TSH 결핍, Antithyroid 사용 등이 있다. 즉, 갑상선 그 자체의 기형이나 유전적 결손, 또는 산모의 영향으로 인하여 갑상선 호르몬 생성이 저하되어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이러한 원인 규명을 통해 조기 진단 및 적절한 치료가 가능하다.
2.3. 임상증상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생후 ...
참고 자료
간호진단과 중재, 이은옥 외 6명,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아동간호학, 최미영 외 16명, 학지사메디컬, 2018
차영남 외 13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제 3판, 현문사, 2013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신영림. "소아청소년 시기의 갑상선질환." 대한의사협회지 61.10 (2018): 607-615.
임호경. "신생아 선별검사로 진단된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임상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연경모, 대한방사선의학회지 269-276. 한국인 소아에서의 표준 골 연령과 정상 범위에 관한 연구, 소아방사선과학연구회
강호철, 갑상선 기능검사의 해석 대한내과학회지 : 제78권 부록 1호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홍기배,박지윤,장영표,and 유지숙. "미숙아에서의 갑상선기능 장애 52.9 : 991-998.
김원배, 개원의를 위한 갑상선 검사 결과 해석 및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 제73권 부록 2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최신 아동건강 간호학 Ⅰ Ⅱ, 김영혜 외. 2021. 수문사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