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응급실 뇌수막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문헌고찰
2. 본론
2.1. 자료수집
2.2. 간호문제목록
2.3. 간호과정 적용
3. 결론
3.1. 환자의 상태
3.2. 추후계획
3.3. 느낀점
3.4. 퇴원교육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뇌수막염은 바이러스, 세균, 진균, 기생충 같은 미생물 때문에 뇌 가까이 있는 얇은 막인 뇌척수막에 염증이 생긴 질병이다.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은 경과가 심각하지 않아 며칠 내로 자연 치유되는 질병이지만, 세균성 뇌수막염은 드물게 발생하지만 한번 생기면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해 심각한 장애를 남기거나 심하면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환자 약 10명중에 8명은 5세 미만의 어린이이므로 많은 부모들의 걱정거리가 되고 있으며, 질병관리본부는 예방백신 도입년도에 따라 영유아를 대상으로 2013년부터는 Hib백신을, 2014년부터는 폐렴구균백신을 국가필수예방접종에 포함했다. 이러한 현실에서 의료인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가장 많이 환자들을 접하는 간호사는 뇌수막염에 대하여 많은 생각과 지식을 쌓을 필요가 있다.
1.2. 문헌고찰
뇌수막염은 '뇌'와 뇌 조직을 싸고 있는 '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병이다. 뇌수막염의 주요 원인은 바이러스, 결핵균, 세균이며 이외에 곰팡이균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세균성 수막염은 상기도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내과적 응급상황이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폐렴사슬알균, 수막알균, B형 인플루엔자균이다. 최근 인플루엔자 백신 도입으로 인플루엔자균에 의한 감염이 감소하였다. 세균수막염은 감염이 뇌실질조직으로 전파되어 뇌염을 동반하는 경우 두개내압 상승이 심각해질 수 있다. 또한 세균과 백혈구 파편이 지주막융모를 막아 폐쇄성 수두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은 세균성 감염과 달리 삼출물이 없고 균 배양에서도 균이 검출되지 않는다. 주요 원인 바이러스로는 entrovirus, arbovirus, HIV, HSV, Coxsackie, Echovirus 등이 있다. 바이러스가 호흡기나 소화기를 통해 유입된 후 혈류를 타고 중추신경계에 전파되어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한다.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은 세균성보다 심각하지 않으며 대부분 7-10일 내 회복되지만 드물게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뇌수막염의 전형적인 증상은 경부 강직, 두통, 발열이며 그 외에도 눈부심, 소리에 대한 공포,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두개내압이 상승하면 두통, 구토, 발열, 경련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또한 감염으로 인한 혈관기능장애로 인해 섬유소 분해가 일어나 파행혈관내응고가 발생하여 뇌경색이 생길 수 있다.
뇌수막염 진단을 위해서는 뇌척수액 검사를 통해 백혈구 증가, 단백질 상승, 당 감소 등의 소견을 확인해야 한다. 정확한 원인 균주는 배양검사로 확인한다.
치료는 뇌수막염의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의 경우 증상 관리를 위해 해열제, 수액 요법 등의 대증요법을 시행하며 일부 바이러스에는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한다. 세균성 수막염은 항생제 치료가 필수적이다. 결핵성 뇌수막염은 항결핵제와 스테로이드를 사용한다.
적절한 치료를 받더라도 환자의 상태와 감염 원인에 따라 신경학적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폐렴구균 백신, 수막구균 백신 등으로 일부 세균성 수막염은 예방할 수 있다.
2. 본론
2.1. 자료수집
응급실에 내원한 뇌수막염 환자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였다....
참고 자료
김금순 외 공저(2016),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p.1201-1204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뇌수막염
허방 외 공저(2013), 핵심병리학, JMK, p. 308-309
김명자 외 공저(2015),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p.698-700
김명자 외 공저(2015),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p.814~819
보건복지부, 수족구 관리,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33007
지해미.(2024.05.25.). “뇌수막염인데 수액과 진통제만” 결국 사망한 10대 女. 코메디닷컴. https://kormedi.com/1691754/%eb%87%8c%ec%88%98%eb%a7%89%ec%97%bc%ec%9d%b8%eb%8d%b0-%ec%88%98%ec%95%a1%ea%b3%bc-%ec%a7%84%ed%86%b5%ec%a0%9c%eb%a7%8c-%ea%b2%b0%ea%b5%ad-%ec%82%ac%eb%a7%9d%ed%95%9c-10%eb%8c%80/
질병관리청. 올바른 손씻기. https://www.kdca.go.kr/
성미혜 외 공저,(2022),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경기: 수문사
윤은자 외 공저,(2022),성인간호학Ⅱ,경기: 수문사
김숙영 외(2021),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p1159-1210
서울대학교의학정보 ,‘무균성 수막염’
‘아차!’하다 생명 잃는 초응급질환, 뇌수막염을 아시나요?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Print.aspx?news_id=NB10856419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건강정보-의료정보-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17
naver, ‘뇌막의 구조’, 2019.09.16.
https://blog.naver.com/jeng0616/221135254970
naver, ‘요추천자’, 2019.09.1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34139&cid=55649&categoryId=55649
https://www.bing.com/images/search?view=detailV2&id=61F4015DF4F48B74B6E54E40A935BE414AE25724&thid=OIP.YDBzOhVsGV_m4OaAdMRFYAHaFh&mediaurl=http%3A%2F%2Fwww.neurocirugiacontemporanea.com%2Flib%2Fexe%2Ffetch.php%3Fmedia%3Dpuncionlumbardecubitolateral.jpg&exph=407&expw=545&q=%eb%87%8c%ec%88%98%eb%a7%89%ec%97%bc&selectedindex=109&ajaxhist=0&vt=0&eim=1,6
google, ‘뇌수막염’, 2019.09.16.
https://www.bing.com/images/search?view=detailV2&id=F8E6E2C81B323BE51429C01C53A82689092DEB49&thid=OIP.jmYf1sE1espOHLAFzZJbGAHaGi&mediaurl=http%3A%2F%2Fwww.sgunews.com%2Fnews%2Fphoto%2F201605%2F3928_1852_4918.jpg&exph=300&expw=340&q=%eb%87%8c%ec%88%98%eb%a7%89%ec%97%bc&selectedindex=0&ajaxhist=0&vt=0&eim=1,6
https://www.bing.com/images/search?view=detailV2&id=BDF6427E93A41A271E857845D0F8699F0B108DBF&thid=OIP.9IETvrIYYZYicoAv-EqYWgAAAA&mediaurl=http%3A%2F%2Fcfile26.uf.tistory.com%2Fimage%2F18357E4B4D272D432A8E26&exph=491&expw=407&q=%eb%87%8c%ec%88%98%eb%a7%89%ec%97%bc&selectedindex=1&ajaxhist=0&vt=0&eim=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