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권에세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인권에 대한 관심 및 문제의식
1.2. 북한 인권 문제와 탈북 현상
1.3. 연구 목적 및 범위
2. 북한 인권 실태와 탈북 원인 분석
2.1. 북한의 식량난과 주민들의 생존권 위협
2.2. 정치범 수용소와 인권 유린 실태
2.3. 외부 정보 유입과 더 나은 삶에 대한 동경
2.4. 탈북의 다양화와 근본 원인 변화
3.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역할
3.1. 전통적 반공 의식과 북한에 대한 무관심
3.2. 통일을 위한 선결 과제로서의 인권 개선
3.3. 대학생의 관심과 노력을 통한 해결 방안 모색
4. 결론
4.1. 연구 결과 요약
4.2. 국제사회의 관심과 개선 노력의 필요성
4.3. 대학생의 역할과 실천 방안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인권에 대한 관심 및 문제의식
국제사회복지학회에서 아프리카와 관련된 '절망너머 희망으로'라는 책을 읽고 여성할례에 대해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데저트 플라워' 영화를 보면서 여성인권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아프리카 등 잘 살지 못하는 나라에서 여성들은 전통이라는 이유로 어렸을 때 여성할례를 받고 일부다처제와 같은 것으로 인해 여성의 인권이 침해당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를 통해 세계적인 여성인권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우리나라의 여성인권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인권에 대한 강의를 들으면서 여성들이 법적으로 차별받지 않고 남성들이 직접 차별하지 않아야 한다는 인식이 생겨났지만, 실제로는 차별이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더 정교하고 교묘해졌다는 강사님의 말을 듣고 충격을 받았다. 세계의 절반이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여성에 대한 차별이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 대해 깊은 관심과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1.2. 북한 인권 문제와 탈북 현상
북한 내 주민들의 기본적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지속된 식량난으로 인해 수많은 북한 주민들이 아사 위기에 처했고, 이에 일부 주민들이 생존을 위해 중국으로 탈출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특히 정치범 수용소에 수감된 이들은 강제노동, 고문, 처형 등 가혹한 인권 침해에 시달리고 있다.
외부 정보의 유입과 더 나은 삶에 대한 동경으로 인해 탈북 동기도 다양해지고 있다. 과거에는 단순히 식량 부족 문제로 인해 탈북했다면, 근래에는 북한 체제에 불만을 품고 한국이나 중국 등 외부 세계의 번영한 모습을 동경하며 탈북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탈북의 원인이 다양화됨에 따라 향후 탈북자 수도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대학생들은 여전히 북한에 대한 전통적인 반공 의식을 가지고 있어 북한 주민들의 인권 문제에 관심이 낮은 편이다. 통일을 위해서는 북한 인권 개선이 선결과제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관심과 실천적 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북한 인권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국제사회와 협력하여 해결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1.3. 연구 목적 및 범위
본 연구는 북한의 심각한 인권 실태와 이를 피해 탈북하는 북한 주민들의 다양한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북한 주민들의 생존권 위협, 정치범 수용소와 인권 유린 상황, 외부 정보 유입에 따른 새로운 탈북 동기 등을 살펴봄으로써 북한 인권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통일을 위한 선결과제로서의 인권 개선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대학생들의 관심과 노력으로 북한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다각도의 분석과 대학생의 역할 제시를 통해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고자 한다.
2. 북한 인권 실태와 탈북 원인 분석
2.1. 북한의 식량난과 주민들의 생존권 위협
북한의 식량난과 주민들의 생존권 위협이다. 1990년대 김일성 사후 북한은 역사적으로 가장 극심한 식량난에 시달렸다. 당시 많은 북한 주민들이 굶주림으로 인해 사망했다는 것이 세계 식량 계획(WFP), 국경없는 의사회(MSF), 유엔아동기금(UNICEF) 등 국제기구의 추정이다. 특히 아동과 여성과 같은 사회적 약자들의 피해가 더욱 컸으며, 군인들조차도 쌀을 먹기 힘들 정도로 식량이 부족했다. 또한 정치범 수용소에 갇힌 이들은 지속적인 강제노동, 고문, 폭행 등의 인권 유린 속에서 굶주림에 시달리고 있다. 이처럼 북한 주민들의 기본적인 생존권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2.2. 정치범 수용소와 인권 유린 실태
...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 양성평등
강남식, 「여성인권으로 본 여성노동권과 여성노동정책」,『아시아여성연구』,41호,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2002년,Ⅲ. 여성인권 개념으로서 여성노동권.
세계 경제 포럼이 발표한 2013년 세계 성 평등 순위(The global gender gap report 2013),p.20~21.
네이버 지식백과 : 권위주의
헤럴드 경제 , “인도 경찰, 또 집단 성폭행…“경찰서 안에서 강간”,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40613000768&md=20140616003947_BK, 2014.06.13
TV리포트, “사랑과 전쟁2' 현대판 올가미, 며느리의 삶 뺏은 극악무도 시어머니”, http://www.tvreport.co.kr/?c=news&m=newsview&idx=230050, 2012.05.26.
여성 소비자 신문, “삼성전자 광고가 좋아하는 두 가지, 끔찍함과 성차별”
,http://blog.daum.net/wsobi/1627 ,여성 소비자 신문, 2013.12.14.
국가인권위원회: 세계인권선언문
엄신자 (2007),24장 501쪽.
최봉영(2005), 한국사회의 차별과 억압, 지식산업사.
네이버 지식백과 : 양성평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