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엄벌탄원서 작성요령 및 실전 예문
1.1. 엄벌탄원서 작성 요령과 유의사항
1.1.1. 피해자의 입장에서 피해 상황 구체적으로 표현
피해자의 입장에서 피해 상황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피해자는 이번 사건으로 인해 심각한 심적 고통과 정신적 데미지를 받았다. 가해자의 범죄행위로 인해 피해자는 앞으로 다시 그 가해자를 만날까 두렵고, 같은 상황이 반복될까 두려워하고 있다. 이러한 트라우마로 인해 평생 지고 가야 할 정신적인 피해가 될 수도 있다. 피해자는 법이 무르고 솜방망이 처벌을 내리는 현실에 대해 분노하고 있으며, 가해자가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지 않고 오히려 뻔뻔하게 행동하는 것에 대해 큰 배신감과 억울함을 느끼고 있다. 피해자는 법의 최대한의 처벌을 요구하며, 가해자가 자신의 행위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피해자가 받은 고통을 깨닫기를 간곡히 바라고 있다.
1.1.2. 가해자의 행위와 태도에 대한 비판적 서술
가해자의 행위와 태도에 대한 비판적 서술은 다음과 같다.
상대는 이번 사건에 대한 반성을 전혀 하지 않고 있다. 처음에는 진실로 반성하는 모습을 보이고 진정성 있는 사죄를 한다면 용서할 마음도 있었다. 하지만 가해자는 전혀 반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 않다. 그저 자신이 받을 처벌에 대해서만 강조하면서 떼를 쓰듯이 봐달라는 말만 반복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사건으로 심적 고통과 정신적 데미지를 받은 피해자의 마음은 안중에도 없다. 이러한 가해자는 발 뻗고 편히 자는데 피해자인 제가 오히려 가해자가 합당한 처벌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은 아닌지 전전긍긍하며 마음 졸이는 이 같은 현실이 너무나 분하고 억울하다. 상대는 단순 실수였다, 술을 먹고 판단력이 흐려져서 저지른 실수라는 변명만 반복하고 있지만, 이는 모두 변명에 불과할 뿐이다. 술을 먹고 몸을 가누기 힘든데 어떻게 자신보다 센 사람한테는 아무렇지 않다가 약자인 여성을 범죄대상으로 삼는다는 말인가. 가해자는 자신의 잘못을 전혀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책임회피에만 급급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1.1.3. 강력한 처벌 요구 및 합당한 결과 요청
범죄에 대한 처벌이 제대로 내려져야 가해자도 제대로 된 반성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가해자가 자신의 행위로 인하여 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