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국어 한국어능력 평가 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능력 평가의 중요성
1.2. 말하기 능력 평가의 필요성
1.3. 연구의 목적
2. 본론
2.1. 타당도와 실용도의 개념
2.1.1. 타당도의 정의 및 유형
2.1.2. 실용도의 정의 및 중요성
2.2. 말하기 능력 평가 문항의 타당도와 실용도 제고 방안
2.2.1. 직접평가 방식의 도입
2.2.2. 구인타당도와 내용타당도 고려
2.2.3. 실용도 향상을 위한 온라인/비대면 평가 도입
2.2.4. 피드백 제공 방식의 개선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말하기 능력 평가의 발전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능력 평가의 중요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능력 평가의 중요성은 한국어 학습자의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필수적이다. 의사소통 능력의 절반 가까이는 듣기능력에 해당하며, 이는 여러 가지 하위 능력으로 구성된 복합적인 능력이다. 따라서 의사소통의 하위 범주로서 듣기 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한국어 교수학습에 반영함으로써 학습자의 듣기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말하기 능력 평가의 필요성 또한 인정되는데, 말하기 성취도 평가를 통해 학습자의 구어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러한 평가 결과는 교사의 교수 전략 개선과 학습자의 약점 보완에 활용되어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말하기 능력 평가의 타당도와 실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2. 말하기 능력 평가의 필요성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교육의 목표는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의사소통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듣기와 더불어 말하기 능력은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역량을 평가하는 데 필수적이다. 말하기 평가는 학습자들이 수업 시간에 습득한 내용을 구어로 표현할 수 있는지를 측정함으로써 학습의 진척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통해 교사는 교수 전략을 개선할 수 있고 학습자는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확인하여 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반면 부정확하거나 불공정한 말하기 평가는 학습자들의 자존감과 학습 동기를 저해할 수 있으므로, 말하기 능력 평가의 타당도와 실용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1]
1.3. 연구의 목적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능력 평가는 학습자의 언어 실력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목표이다. 특히 말하기 능력 평가는 학습자가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얼마나 구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여 학습 진척도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말하기 평가를 통해 교사는 교수 전략을 개선할 수 있고, 학습자는 부족한 점을 보완할 수 있어 학습 동기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부정확하거나 불공정한 말하기 평가는 학습자의 자존감을 저하시키고 학습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말하기 능력 평가의 타당도와 실용도를 제고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2. 본론
2.1. 타당도...
...
참고 자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평가론 교안
이수정, 2015,‘직접평가 방식 도입을 통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방안’,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왕경, ‘한국어 말하기 평가‘ ,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신상근, 2010,’외국어 평가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이도영 ‘국어능력시험의 평가 요소와 문항 분석’ 새국어생활 문화관광부 국립국어원 제19권 제3호(2009년 가을) 27~43
윤창숙, & 김태호. (2015).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텍스트에 나타나는 담화표지어 분석 연구. 언어과학연구, 75, 231-250.
장은아 202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능력평가론교안 배론원격평생교육원
한국어능력시험 사이트 https://www.topik.go.k
네이버어학사전 https://dict.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