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뇌경색의 개요
1.1. 뇌경색의 정의
뇌 조직은 평상시에도 많은 양의 혈류를 공급받고 있다. 그런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뇌 혈관에 폐색(혈관 등을 이루는 관이 막히는 경우)이 발생하여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뇌 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뇌동맥의 폐쇄 또는 협착 때문에 뇌조직의 산소나 영양이 부족하게 되고, 괴사에 빠지는 것을 뇌경색이라고 한다. 뇌경색은 그 발생 원인에 따라 동맥경화 등으로 동맥이 좁아지며 폐색하는 패턴, 혈전이나 동맥경화의 플라크(색전자)가 흘러 와서 막히는 패턴, 심원성 뇌색전증과 동맥 대 동맥 색전증 등으로 나뉜다. 뇌경색의 호발 부위는 중대뇌동맥, 추골동맥, 뇌기저동맥 등이다.
1.2. 뇌경색의 유형
뇌경색은 그 발생 원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누어진다. 첫째, 동맥경화 등으로 동맥이 좁아지며 폐색하는 패턴인 뇌혈전이 있다. 둘째, 혈전이나 동맥경화의 플라크(색전자)가 흘러 와서 막히는 패턴인 뇌색전이 있다. 셋째, 심장에서 혈전이 흘러나오는 경우인 심원성 뇌색전증과 대동맥이나 경부동맥 등 근본이 두꺼운 동맥으로부터 플라크가 흘러나오는 경우인 artery to artery 색전증이 있다. 넷째, 죽상동맥경화나 고혈압, 당뇨병이 있는 환자에게 잘 생기는 열공성 뇌경색이 있다. 이 경우 뇌의 중심 부분에 있는 작은 관통 동맥에 아주 작은 혈전이 생겨서 그 부분의 작은 경색이 오는데, 1.5cm 이하의 작은 경색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뇌경색이 발생할 수 있다.
뇌경색의 호발 부위는 중대뇌동맥, 추골뇌기저동맥 등이 있다. 중대뇌동맥의 폐색에서는 반대측의 운동마비나 감각장애가 나타나며, 좌중대뇌동맥의 폐색에서는 실어증이 나타난다. 또한 우중대뇌동맥의 폐색에서는 좌반측공간무시가 나타난다. 추골뇌기저동맥은 뇌간을 담당하므로, 뇌간의 장애에 따라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뇌경색의 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나며, 그 발생 원인과 폐색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증상이 나타난다. 이를 정확히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뇌경색의 발병 원인
2.1. 뇌혈전
뇌혈전은 죽상 동맥 경화로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발생한다. 죽상 동맥 경화는 혈관 내벽에 콜레스테롤, 혈소판, 피브린 등이 침착되어 혈관을 좁게 만드는 질환이다. 이렇게 좁아진 동맥 내벽에 혈전이 생겨 혈관을 완전히 막는 경우를 뇌혈전이라고 한다. 나이가 많고 고혈압, 당뇨병, 동맥경화 등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뇌혈전이 잘 발생한다. 뇌혈전으로 인해 뇌 조직에 공급되는 혈액이 감소하면 뇌 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주로 반신마비, 감각 이상, 언어장애, 시력 저하 등이 발생하며 증상의 정도와 범위는 막힌 혈관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뇌혈전은 중대뇌동맥, 추골-뇌기저동맥 등 주요 뇌혈관이 막히는 경우 예후가 좋지 않다.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혈전용해제 투여, 혈행 재건술 등의 치료법이 활용된다.
2.2. 뇌색전
심장질환이 있거나 목의 혈관에 동맥경화 등의 혈전이 있다가 떨어져 나와 색전물로 떠돌다가 작은 뇌혈관에 걸려 막히는 경우가 색전성 뇌경색이다. 심장판막증, 심장판막 치환술을 받거나 심방 세동 등의 특정 심장질환이 있는 경우는 심장 내에 혈전이 잘 생길 수 있는 조건이 되는데, 이 혈전이 떨어져나가 뇌혈관을 막는 경우가 심인성 색전증이다. 또한 동맥벽에 생긴 혈전이 떨어져 나가 혈관을 막은 경우는 동맥성 색전증이라 한다. 낮에 갑자기 발생할 때가 많다.
2.3. 열공성 뇌경색
열공성 뇌경색은 죽상동맥경화나 고혈압, 당뇨병이 있는 환자에게 잘 생기는 것이다. 뇌의 중심부에 있는 작은 관통 동맥에 아주 작은 혈전이 생겨서 그 부분의 작은 경색이 오는 것을 말한다. 대체적으로 1.5cm 이하의 작은 경색이며, 한쪽에 운동 마비나 감각 마비 등이 올 수 있고 말이 불분명하거나 걷는 것이 불안정할 수 있다. 드물게는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 열공성 뇌경색은 대체적으로 경과가 좋은 편이다.
2.4. 기타 원인
동맥염(결핵, 매독, 관자동맥염, 결절설 다발동맥염, 전신홍반루푸스, 대동맥염증후군 등)은 뇌경색의 발병 원인 중 하나이다. 이러한 동맥염은 혈관 벽에 염증을 유발하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힐 수 있다. 또한 혈액질환(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파종성 혈관내응고 증후군, 진성 다혈증)도 혈액의 응고 기능 이상으로 인해 혈전 생성을 유발할 수 있어 뇌경색의 발병 원인이 된다. 경구피임약 복용 역시 혈전 생성 위험을 높여 뇌경색 발병의 원인이 된다. 해리성 대동맥자루, 저혈압, 뇌동맥 촬영의 합병증, 섬유근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