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장폐색의 정의와 특성
장폐색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의 장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날문에서 곧창자까지 어느 부위에서나 부분적 또는 완전하게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장폐색은 소장에서 발생하고 약 15%가량이 대장에서 발생한다. 장폐색에는 어떤 원인에 의해 장 내용물이 아래로 이동하지 못해 발생하는 기계적 장폐색과 장의 운동이 중지되어 기능적으로 폐쇄되는 마비성 장폐색이 있다. 기계적 장폐색의 주된 원인은 복부 수술 후 발생하는 복부 유착이며, 마비성 장폐색은 신경근이나 혈관성 질환으로 인한 연동운동 소실이 주된 원인이다. 장폐색이 발생하면 수분, 가스, 창자내용물이 폐색된 근위부에 축적되고 원위부는 허탈된다. 이로 인해 모세혈관 투과성 증가, 수분과 전해질의 복강 내 유출, 순환혈액량 감소, 허혈과 괴사, 장 천공 등이 발생할 수 있다.
1.2. 장폐색의 원인 및 유형
장폐색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의 장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장폐색의 원인으로는 기계적 원인과 기능적 원인이 있다.
기계적 장폐색은 어떤 원인에 의해 장 내용물이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여 발생한다. 이의 원인으로는 종양, 유착, 장중첩, 감금탈장, 꼬임, 바륨박힘, 장내 기생충, 담석 등이 있으며, 가장 흔한 원인은 복부외상 또는 수술로 인해 발생하는 복부유착이다.
기능적 장폐색은 신경근이나 혈관성 질환으로 인해 연동운동이 소실된 것으로, 복부수술 후 감염이나 저칼륨혈증의 결과로 나타나는 마비성장폐쇄가 가장 흔하다. 장내혈전, 골반염증, 복막염, 요독증, 중금속 중독 등도 장의 꿈틀 운동을 방해하여 이차적으로 장폐색을 일으킨다.
따라서 장폐색은 크게 기계적 원인과 기능적 원인으로 구분되며, 기계적 장폐색은 외과적 폐색 원인에 의한 것이고, 기능적 장폐색은 신경근이나 혈관 질환에 의해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2. 문헌고찰
2.1. 소장의 구조 및 기능
소장은 샘창자(십이지장, duodenum), 빈창자(공장, jejunum), 돌창자(회장, ileum)로 구성되며, 성인의 경우 길이가 약 6m 정도이다. 소화관에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은 복강동맥, 위창자간막동맥, 아래창자간막동맥이며, 작은 창자의 혈액 공급은 위창자간막동맥을 통해 이루어진다. 소장 벽은 점막층, 점막밑층, 근육층, 장막층의 4층으로 구분된다. 점막층은 가장 안쪽 층으로 얇은 평활근과 외분비샘세포를 포함하고 있으며, 점막밑층은 결체조직으로 되어 있다. 내벽은 모세혈관과 림프선이 들어있는 약 400만~500만 개의 융모로 되어 있어 미즙이 최대로 접촉할 수 있게 늘어나서 소화와 흡수를 도와주며, 규칙적으로 수축하여 미즙을 큰 창자로 밀어낸다.
소화관에서 흡수된 물질은 문맥을 통해 간으로 이동한다. 작은창자의 근위부인 샘창자는 길이 25cm 정도로 위의 날문에서 시작하여 빈창자와 연결되며, 점막은 미즙과 소화효소로부터 샘창자 벽을 보호하기 위해 호르몬과 점액을 분비한다. 하루 8.0~8.5L 정도의 수분, 영양소, 전해질, 비타민 등이 대부분 소장에서 흡수된다. 세크레틴호르몬은 위운동을 저하시키고 미즙의 이동을 조절하며, secretin, pancreozymin, cholecystokinin은 쓸개즙, 이자액, 소화효소 분비를 촉진한다. 회맹판은 미즙이 대장으로 움직이는 속도를 조절하며 돌창자로 역류를 방지하고, 소장벽은 하루 2L 정도의 점액과 소화액을 분비한다. 샘창자에서는 철분, 마그네슘, 칼슘,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이 흡수되며, 빈창자에서는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흡수된다. 탄수화물은 이자에서 분비된 아밀라제가 분해되며, 지방은 작은창자→담즙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