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선조직화운동과 인보관운동의 특징 비교 및 현대사회 적용 논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자선조직화운동(COS)과 인보관운동의 특징 비교
2.1. 자선조직화운동(COS) 특징
2.2. 인보관운동 특징
2.3. 자선조직화운동(COS)과 인보관운동 비교분석
3. 자선조직화운동(COS)와 인보관운동이 사회복지실천방법에 끼친 영향
4. 현대사회에 필요한 운동에 대한 의견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산업화의 발달로 인해 구매력 있는 계층과 빈곤한 계층이 생겨나면서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자선조직화운동(COS)과 인보관운동이 등장하였는데, 각각의 운동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차이점, 그리고 사회복지실천방법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현대사회에 필요한 운동이 무엇인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자선조직화운동(COS)과 인보관운동의 특징 비교
2.1. 자선조직화운동(COS) 특징
산업화는 경제적인 풍요를 가져왔으나 자본가와 노동자 계층이 만들어지고 이 두 계층의 빈부 격차가 사회적 문제로 심각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산업화, 도시화가 되면서 많은 인구가 도시로 몰려들며 빈곤과 주거, 질병, 범죄 등의 다양한 사회문제가 야기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정부의 개입이 아닌 개인, 단체에 의한 민간활동으로 이루어졌는데 부유한 자본가계층이 빈곤층에게 자선하는 활동이었다. 이러한 무분별한 민간활동은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자선단체의 난립, 중복적인 자선으로 인한 재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869년 The Society for Organizing Charitable Relief and Repressing Mendicancy가 만들어졌고 이것은 자선조직협회(COS:Charity Organization Society)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초기 COS 활동가들은 중산층의 사람들로 이루어졌으며 자선의 대상자를 자신보다 낮은 사람으로 여기며 혜택을 베푸는 것으로 접근하였으며 빈곤을 개인의 도덕적인 결함으로 보았다. 우애방문원은 빈민여부를 판단하며 빈민의 낙인을 찍는다는 문제점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COS는 빈곤한 사람과 가치 있는 사람을 평가하며 가치 있는 사람이라 평가되는 사람에게만 복지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이는 후에 사회조사의 발전을 가져오기도 하였다.
2.2. 인보관운...
...
참고 자료
현대사회복지개론, 홍익재 김만두 외, 2003
사회복지역사의 이해, 양서원, 원석조, 2009
사회복지학개론, 학현사 박차상 외, 2011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교육센터, 2021.
출처 https://www.peoplepower21.org/Welfare/671815 (세상을 바꾸는 참여연대)
김상균 외(2001), 사회복지개론, 나남출판
김만두 외(2000), 현대사회복지개론, 홍익제
김기태 외(2003),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이영미(2022), 사회복지학개론,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