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대동맥판막협착증이란 대동맥판막이 어떤 이유로 좁아져 심장에서 온몸으로 혈액이 이동하는 과정에 장애가 생기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심장이 더욱 강하게 수축하게 되는 상태이다. 이로 인해 점차 심장 근육이 비후되고 심장 기능에 이상이 초래되어 호흡곤란, 흉통 및 실신 등의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젊은 사람에게서는 대동맥판막의 선천적 이상이 주요 원인이지만, 노인에게서는 퇴행성 석회화가 가장 흔한 원인이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은 만성 판막질환 환자의 1/4에서 발생하며, 환자의 80%가 남성이다.
2. 대동맥판막협착증 개념 및 원인
대동맥판막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하며, 대동맥의 혈액이 좌심실로 역류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대동맥판막은 정상 구조에서 3개의 얇은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ㅅ'자 모양을 하고 있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이란, 대동맥판막이 어떤 이유에서든지 좁아지게 되어 심장에서 온몸으로 혈액이 이동하는 과정에 장애가 생기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심장은 더욱 더 강하게 수축하게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젊은 사람에게 나타나는 주요 원인이 대동맥판막의 선천적 이상이며, 노인에게서 나타나는 주된 원인은 심장 판막에 칼슘이 침착되어 석회화가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퇴행성 변화이다.
최근 대동맥판막협착증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던 류마티스열은 전반적인 위생 상태가 호전되면서 현저하게 감소하는 추세이며, 상대적으로 심장과 관련된 검사가 늘어남에 따라 경미한 정도의 협착증도 쉽게 발견되는 경향이 있다.
3. 대동맥판막협착증의 병태생리
대동맥판막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하며, 정상 구조에서 3개의 얇은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대동맥판막이 어떤 이유로든지 좁아지게 되어 심장에서 온몸으로 혈액이 이동하는 과정에 장애가 생긴다. 이러한 상태를 대동맥판막협착증이라고 한다.
대동맥판막 구멍의 면적이 점차 좁아짐에 따라 대동맥으로 혈액을 내보내기 위하여 좌심실의 압력이 증가하므로 좌심실과 대동맥의 압력차가 생긴다. 압력차가 50mmHg 이상이면 증상이 나타나고, 협착 정도가 심할 때는 좌심실의 압력이 150mmHg 이상 올라가기도 한다.
점점 좌심실이 비후해지고 탄성이 감소되며, 좌심방압 상승, 좌심방 비후가 뒤따르게 된다. 안정 시에 심박출량을 유지할 수 있으나 운동 시에는 심박출량의 증가가 원활하지 않고 더 진행되면 심박출량과 좌심실-대동맥의 압력차가 감소하며 좌심방압, 폐동맥압, 우심실압이 상승하여 좌심부전, 우심부전이 초래된다.
심박출량이 적절하지 못하면 뇌로의 혈류공급이 불충분해져 실신상태가 나타날 수 있고, 심근 허혈로 인한 흉통을 유발하기도 한다.
4. 대동맥판막협착증의 증상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는 일반적으로 30~40세까지 별다른 증상 없이 지내게 되지만, 점차 협착의 정도가 심해지면 흉통, 실신, 호흡곤란 등의 주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폐부종과 앉아 숨쉬기, 발작 야간호흡곤란, 일시적인 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다. 대동맥판막협착증으로 인해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예후가 급격히 나빠지며, 수술하지 않으면 대부분 2~5년 이내에 사망하게 된다. 심방세동이 생기면 승모판 질환의 합병을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