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응급의료체계
1.1. 응급의료체계의 구성
1.1.1. 병원 전 단계
병원 전 단계는 응급환자의 신고가 접수되면 즉시 환자 상태에 따른 구급차의 출동, 현장처치, 환자이송 등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신속한 신고체계, 이송병원 선정을 위한 의료정보관리체계, 신속하고 정확한 현장처치체계가 필수적으로 적용된다. 이 단계에서 응급환자를 처음 발견한 목격자, 신고 접수자, 최초 응급처치를 수행하는 사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병원 전 단계에서는 신속하고 정확한 현장 처치가 매우 중요하며, 응급구조사는 현장에 도착해서 제세동을 비롯한 적절한 현장처치를 수행함으로써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도록 해야 한다.
1.1.2. 이송단계
이송단계는 응급환자를 현장에서 병원까지 이송하는 단계이다. 이때 구급차 출동 등 이송교통체계와 이송 중의 응급처치체계, 구급차와 병원, 현장과의 통신연결체계 등이 필수요소이다. 환자의 이송은 구급차를 이용한 자상이송, 배를 이용한 수상이송, 산간벽지나 섬에서 발생한 환자를 헬리콥터로 이송하는 항공이송으로 구분되는데, 대부분 10분 이내 현장에 도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자상이송 시 사용되는 구급차는 단순한 환자이송 뿐 아니라 특수구급차 경우에 중환자의 처치도 가능하며, 응급의료전용 헬리콥터는 응급의료의 수혜격차를 해소하고 응급환자의 사망률과 장애를 감소시키고자 인천, 전남, 강원, 경북, 충남, 전북 등의 6개 시도에서 운영중이다. 응급이송중에도 환자의 상태가 변하므로 지속적인 응급처치가 필요하고 때로 의료지시를 받아서 전문적인 응급처치가 시행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송단계에서 구급차에 동승한 응급구조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응급구조사는 1급과 2급으로 구분되며, 1급 구조사는 현장이나 이송과정에서 기관내 삽관, 제세동기 사용, 수액요법 같은 제반 응급처치를 수행한다.
1.1.3. 병원단계
병원단계는 응급환자가 병원에 이송되어 의료진으로부터 적절한 전문치료를 받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현장처치를 검토하고 적절한 응급처치를 이어가며 진단을 위한 처치를 한다. 입원치료 또는 응급수술의 필요성 여부를 결정하고, 응급처치 시 전문의료진, 시설, 장비가 필요한 경우에는 가능한 전문응급센터 또는 응급의료기관으로 전원 여부를 결정한다.
효율적 병원진료체계를 위해서는 적절한 전문인력, 시설, 장비가 중요하다. 응급환자의 상태가 급격하게 변하는 응급상황에 적시에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인재가 필요하다. 병원 단계에서 응급실 진료 및 입원 진료가 이루어지며, 통신체계는 응급환자에 대한 신고 접수, 구급차의 파견, 이송 중 통신 등을 담당한다.
응급의료기관은 응급환자를 24시간 진료할 수 있도록 시설, 인력, 장비 등을 갖추고 운영하고 있다. 2017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전국 응급의료기관은 총 416개소로, 이 중 중앙응급의료센터 1개소, 권역응급의료센터 36개소, 전문응급의료센터 4개소, 지역응급의료센터 117개소, 지역응급의료기관 258개소가 있다.
응급의료기관별로는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 순으로 응급실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응급의료기관들은 응급환자 치료를 위한 전문인력, 시설,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중증도에 따라 환자를 분류하여 신속하고 적절한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1.1.4. 통신체계
통신체계는 응급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