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공립 원장 위탁 시 강한 자신감이 표현 되어 있는 자기 소개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어린이집 아동학대 문제의 심각성
1.2. 연구의 목적
2. 본론
2.1. 어린이집 아동학대의 원인
2.1.1. 영유아 요인
2.1.2. 보육교사 요인
2.1.3. 어린이집 운영 요인
2.2. 어린이집 아동학대의 지속 원인
2.2.1. 해결되지 않는 보육교사의 열악한 근무환경
2.2.2. 낮은 수준의 처벌
2.3. 어린이집 아동학대 해결방안
2.3.1. 현재 시행 중인 해결방안의 한계
2.3.2. 간호사의 중재 방안
2.3.2.1. 간호사의 인식 제고
2.3.2.2. 창의적 상담 기법 'HEART'
3. 결론
3.1. 연구 요약
3.2. 어린이집 아동학대 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어린이집 아동학대 문제의 심각성
어린이집 아동학대 문제의 심각성이다. 최근 심각한 사회적 문제 중 하나는 아동학대 사건이다. 아동학대는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성적 학대, 방임 등의 형태로 구분된다. 아동학대가 발생하는 장소도 가정, 친인척 집, 어린이집, 유치원, 복지시설 등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심각하게 간주되어야 할 것은 전국 140만명의 아동이 이용하는 어린이집에서의 학대사건이다. 어린이집은 여성의 경력 단절을 방치하고 경력단절 여성이 사회적 경제적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어린이집은 영유아 보육법에 따르면 보호자의 위탁을 통해 영유아를 보육하는 기관으로, 이때의 보육은 영유아의 이익을 최우선시 하여 제공되어야 하는 개념이다. 그런 점에서 어린이집의 아동학대는 가정 아동학대와 다른 관점에서 심각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1.2. 연구의 목적
최근 심각한 사회적 문제 중 하나는 아동학대 사건이며, 그중에서도 특히 어린이집에서의 아동학대가 심각한 상황이다. 어린이집 아동학대는 많은 영유아가 이용하는 기관에서 발생하여 더욱 문제가 심각하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아동학대의 현황과 원인, 지속 원인을 파악하고, 현재 시행 중인 해결방안의 한계와 간호사의 중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동학대 문제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제고와 창의적 상담 방법을 소개하여 어린이집 아동학대 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2. 본론
2.1. 어린이집 아동학대의 원인
2.1.1. 영유아 요인
어린이집을 다니는 영유아기 아동들은 기본적인 생활습관이 아직 미숙한 상태이다. 이로 인해 부모들의 지나친 보호나 무관심이 영유아 요인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와 떨어지자마자 자지러지게 우는 유아, 심하게 떼를 쓰는 유아, 등원하면 식사를 거부하는 유아, 산만하고 집중을 잘하지 못하는 유아,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는 유아 등이 해당된다. 이 시기 아이들의 떼쓰기는 생후 18~24개월에 가장 심하며, 이때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어 교사가 이를 알아차리기 어렵다. 또한 성장하면서 자아가 발달하여 자기중심성이 강해짐에 따라 사소한 일에도 떼를 쓰고 고집을 부리는 행동을 자주 보인다. 이러한 잘 울기, 떼쓰기 등의 아동 행동은 분노와 좌절감의 표현으로 아동의 성장에서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고집이 심해질 경우 아동 스스로 자기감정을 조절하지 못해 모든 일에 심한 짜증을 부리거나 자해를 하는 등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게 된다. 이때 교사가 아이를 진정시키는 과정에서 무력을 가하거나 폭언, 폭행을 가하는 등 아동학대가 발생할 수 있다.
2.1.2. 보육교사 요인
보육교사는 어린이집 아동학대의 주된 가해자로 지목되고 있다. 보육교사 요인은 근무환경 요인과 개인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보육교사 개인적 요인을 살펴보면, 아동을 사랑하는 마음, 건강한 신체와 정신, 성실성과 인내심 등이 보육교사에게 기본적으로 갖추어져야 할 소양이다. 전문적으로는 아동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지식, 아동 개인과 집단에 관련한 보육 지식 등이 필요하다. 그런데 만약 보육교사가 아동발달과 보육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아동 교육에 대한 그릇된 정보를 가지고 있거나, 아동을 충분히 존중하지 않는 태도 등을 가지고 있다면, 아동의 행동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무작정 아동에게 성인과 비슷한 행동을 요구하며 지나친 기대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교사의 경험 및 자질 부족이 잘못된 보육으로...
참고 자료
김연진, 한성심 외 2명, 《보육학개론》, 태영출판사, 2016
도모다 아케미, 《아동학대와 상처받은 뇌》, 유수양 역, 군자출판사, 2016
권오한, 〈일주일 간 18차례 학대… 어린이집 교사 쇠고랑〉, 경북도민일보, 2016
http://www.h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689
이명수, 〈어린이집 “학대아동 심리치료 및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해소 시급하다〉, 《2014 국정감사 정책백서》, 2014
http://www.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web&cd=1&ved=0ahUKEwicpI3PkJ3PAhXCDSwKHfckCpwQFggkMAA&url=http%3A%2F%2Fsaenuriparty.kr%2Fcmm%2Ffms%2FFileDown.do%3FatchFileId%3DFILE_000000000071414%26fileSn%3D0&usg=AFQjCNFvS2MtGaw_R_vovR9NJhzKs7WtKw&sig2=D_dWVG_5qIuVekFMEgQo0A&bvm=bv.133178914,d.bGg
최경규, 〈아동학대 원인은 무엇인가?〉, 이천저널, 2015
http://www.2000n.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51
김은영 외(2013),「영유아 교사 복지 실태와 개선방안」, 육아정책연구소
김영혜, 윤은영, 이내영. (2006). 아동학대에 대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인식도 조사.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0(2), 189-197.
김희순, 아동청소년간호학2, 수문사, 2019
노충래. (2002). 아동 및 가해자의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의 심각성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3), 123-154.
민혜영, 김신정, 이정민, 강소라, 이지은. (2017). 아동학대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조사.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3(2), 229-237.
박은미(2011), 영아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보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보육교사자문단이야기, 2017, (재) 한국보육진흥원
보육교사자문단이야기, 2018, (재) 한국보육진흥원
우리나라 영유아 학대 현황 및 예방 방안, 2017, 육아정책연구소
이슬, 어린이집에서의 아동학대 예방 및 대책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경찰행정학과, 2016.
이옥경 외(2015),「부산광역시 보육실태조사」,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정선아,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례 심층 분석, 보건복지부, 2017, pp.11-22
정선아(Chung, Shunah), 장화정(Jang, Hwa Jung) , 김경희(Kim, Kyung Hee) , 김미경(Kim, Mi Kyung) , 박보영(Park, Bo Young). (2018). 어린이집 아동학대 발생 원인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연구. 아동과 권리, 22(3): 351-382
최혜영,2015; Freisthler, Merritt,& LaScala, 2006
홍선영, 박미향. (2016). 간호사의 아동학대 인식, 신고 효과성 인식 및 신고 장애 인식 조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0(2), 236-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