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순환기계 구조,폐순환과 전신순환, 순환기계 증상 사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순환기계 구조
1.2. 폐순환과 전신순환
1.3. 순환기계 증상 사정
2. 본론
2.1. 비후성 심근병증의 정의와 원인
2.2. 비후성 심근병증의 병태생리
2.3. 비후성 심근병증의 증상
2.4. 비후성 심근병증의 진단 및 검사
2.5. 비후성 심근병증의 치료
2.6. 비후성 심근병증 환자의 간호
3. 결론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순환기계 구조
심장은 신체의 각 부위로 혈액을 수송하며 혈액량을 조절하여 각 기관으로 보내는 작용을 한다. 심장으로부터 나온 혈액이 동맥을 지나 모세혈관을 거쳐 정맥을 통해 다시 심장으로 들어오는 순환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건강한 성인에 있어서 심장은 1분 동안에 약 5리터의 혈액을 방출한다.
심장은 폐순환과 체순환의 두 순환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폐순환은 우심실에서 폐동맥을 통해 폐로 가는 혈액을 폐에서 산화된 동맥혈이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들어오는 과정이다. 체순환은 좌심실에서 대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보내진 혈액이 상하 대정맥을 거쳐 다시 우심방으로 들어오는 과정이다.
심장의 내부는 심장중격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져 있으며, 심방과 심실로 구성되어 있다. 심방과 심실 사이에는 판막이 있어 혈액의 역류를 방지한다. 혈액은 우심방→우심실→폐동맥→폐→폐정맥→좌심방→좌심실→대동맥의 경로를 통해 순환한다.
심장의 자극전도계는 동방결절(SA node)에서 시작되어 방실결절(AV node), 히스속다발, 푸르킨예 섬유를 거쳐 심실을 순차적으로 자극하여 심장의 규칙적인 수축을 유발한다. 동방결절은 심장의 자연 박동조율기로 작용하여 분당 60~100회의 정상 심박수를 유지한다.
관상동맥은 심장근육에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하는 중요한 혈관이다. 관상동맥은 대동맥에서 분지되어 좌우 관상동맥으로 나뉘며, 각각의 관상동맥은 다시 여러 가지 가지혈관으로 나뉘어 심장근육에 분포한다.
따라서 심장은 혈액의 순환을 담당하는 중요한 장기이며, 그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심장 내부의 복잡한 구조와 자극전도계, 관상동맥 등의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1.2. 폐순환과 전신순환
폐순환과 전신순환은 순환기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폐순환은 우심실에서 시작되어 폐동맥을 거쳐 폐에서 이루어지는 산소 교환 후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들어오는 경로이다. 전신순환은 좌심실에서 시작되어 대동맥을 거쳐 전신 장기와 조직으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하고, 정맥을 통해 돌아온 이산화탄소가 풍부한 혈액이 우심방으로 들어오는 경로이다.
폐순환에서는 우심실이 폐동맥으로 혈액을 보내고, 폐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이 일어난 후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들어온다. 전신순환에서는 좌심실이 대동맥으로 혈액을 보내고, 전신 장기와 조직으로 혈액이 공급된 후 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돌아온다.
이처럼 폐순환과 전신순환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폐에서 산소가 공급된 혈액은 좌심방을 거쳐 좌심실로 들어가고, 좌심실은 이 혈액을 대동맥으로 내보내어 전신 장기와 조직에 산소를 공급한다. 반대로 전신에서 돌아온 이산화탄소가 풍부한 혈액은 우심방으로 들어가고, 우심실은 이 혈액을 폐동맥으로 보내 폐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이 일어나게 한다.
이와 같이 폐순환과 전신순환은 심장 내부의 구조와 기능에 따라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전신 장기와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순환기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1.3. 순환기계 증상 사정
순환기계는 심장과 혈관으로 구성되어 몸 전체에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순환기계의 ...
참고 자료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21.
이동숙 외 공저, 「사례중심의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메디컬에듀케이션, 2021.
박은영 외 공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 현문사, 2021.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 2022/10/05.
정남식,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3 : 순환기」, 정담, 2018.
한국MSD 매뉴얼, “심근비대증”, https://www.msdmanuals.com/, 2022/09/28.
약학정보원, “verapamil, amiodarone, dysopyramide”, https://www.health.kr/main.asp, 2022/09/28.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심근병증”,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2022/09/28 <그림1>.
서울대학교병원 희귀질환센터, “심근비대증”, https://raredisease.snuh.org/, 2022/09/28 <그림2>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비후성 심근병증”, http://www.snuh.org/health, 2022/10/06.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I. 수문사(2014). p744~746
대한중환자의학회. 중환자의학. 군자출판가(2016). p183~188
남영희, 이수걸. (2015). 아나필락시스의 관이. 대한내과학회지, 89(4), 413-417
정재원. (2014). 아나필락시스의 진단과 응급처치. 대한의사협회지, 57(11), 934-940
강동경희대학교병원 https://www.youtube.com/watch?v=cPj_Zhf__C0
가천대길병원 https://www.youtube.com/watch?v=vJvvbowcOww
질병관리청-표준예방지침
온영근. 떨지마! 나 모니터 심전도야. 우리의학서적. 9-23, 7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