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어깨 해부 및 생리
1.1. 뼈와 관절
어깨의 뼈와 관절은 상완골, 견갑골, 쇄골 및 견봉으로 구성된다. 어깨 관절은 구조적인 관절 3가지와 기능적인 관절 1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구조적인 관절은 관절와 상완관절, 견봉쇄골관절, 흉골쇄골관절이며, 기능적인 관절은 견흉관절이다. 관절와 상완관절은 상완골두가 견갑골의 얕은 관절와에 위치하는 관절이다. 관절와는 상완골두에 비해 면적이나 깊이가 크지 않아 불안정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여러 인대, 연골, 근육 등이 관절 안정성을 유지한다. 관절연골은 관절면을 덮는 부드럽고 미끄러운 조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관절운동을 원활하게 한다.
1.2. 인대와 힘줄
인대는 뼈와 뼈를 연결하는 부드러운 조직구조물이다. 관절 캡슐은 관절을 둘러싸는 방수되어 있는 낭이다. 어깨에서 관절 캡슐은 상완골을 관절와에 연결하는 한 무리의 인대들로 이루어진다. 이 인대들이 어깨를 제자리에 있게 하고 탈구되지 않도록 도와준다. 견봉 쇄골 관절에서 인대가 쇄골에서 봉우리 돌기로 붙는다. 두 개의 인대가 견갑골에서 갈고리 돌기 위로 붙음으로써 쇄골을 견갑골에 연결시킨다. 특별한 형태의 인대가 관절순이라 불리는 어깨 안쪽의 유일한 구조를 형성한다. 관절순은 거의 완벽히 관절와의 주변에 부착되어 있다. 관절와는 너무 평평하고 얇아서 상완골두가 꽉 맞지 않는데 관절순은 상완골두가 그 안에 딱 맞도록 더 깊은 컵 모양을 만들어 준다. 즉 관절순은 관절와 상완 관절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구조물이기도 하다.
힘줄은 근육을 뼈에 부착시키는 것만 제외하면 인대와 아주 흡사하다. 이두박근 힘줄은 이두박근 근육에서 두 갈래로 나뉘어 어깨에 연결된다. 이두박근 근육의 긴 갈래 힘줄은 관절와 상부에 이두박근을 연결시킨다. 힘줄은 이두박근 고랑 안으로 주행하며 가로 상완 인대에 의해 고정된다. 이두박근의 짧은 갈래는 견갑골의 갈고리 돌기와 연결된다.
1.3. 근육
근육은 팔을 움직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깨 근육 중 가장 큰 근육은 삼각근(deltoid)이다. 삼각근은 팔을 옆으로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회전근개(rotator cuff)라고 불리는 4개의 근육도 중요하다. 이는 극상근(supraspinatus), 극하근(infraspinatus), 소원근(teres minor), 견갑하근(subscapularis)으로 구성된다. 회전근개는 상완골을 견갑골에 연결시켜 어깨 관절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팔을 들어올릴 때 회전근개는 상완골이 견갑골의 오목 관절와 안에 고정되도록 도와준다. 이처럼 어깨 근육은 팔의 움직임과 어깨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4. 신경
팔 밑으로 주행하는 모든 신경은 어깨 관절 바로 밑에서 axilla를 통해 지나간다. 세 가지의 주된 신경이 어깨에서 같이 시작되는데, 이는 radial nerve(요골신경), ulnar nerve(척골신경), median nerve(정중신경)이다. 이 신경들은 뇌로부터 팔을 움직이는 근육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신경은 촉진, 통증, 온도 같은 감각들에 대해 뇌로 신호를 보낸다.
1.5. 혈관
팔 밑으로 주행하는 모든 신경은 어깨 관절 바로 밑에서 axilla를 통해 지나간다. 커다란 axillary artery(겨드랑 동맥)이 axilla를 통해 주행하며, 이 동맥은 어깨의 다른 부분들에 피를 공급하는 많은 더 작은 분지들을 갖고 있어 혈액 공급이 매우 풍부하다. 이처럼 신경을 따라 주행하는 것은 팔에 피를 공급하는 큰 혈관들이다. 주요 혈관들은 어깨 관절 부위에서 풍부한 혈액 공급을 제공하여 조직과 근육의 원활한 기능 유지에 기여한다. 따라서 어깨 관절 주변 혈관의 해부학적 구조와 분포는 어깨 관절 및 주변 조직의 건강과 기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