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방병원 경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프로젝트 대상 선정
1.1. 중화 한방 병원 선정 배경
1.2. 중화 한방 병원 개요
2. 현 프로세스 분석 및 문제점 도출
3. 주요 프로세스 개선 / 혁신
3.1. 핵심 혁신 프로세스 선정
3.2. 외래 및 입원 진료 프로세스
3.3. 외래 진료 예약 프로세스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프로젝트 대상 선정
1.1. 중화 한방 병원 선정 배경
병원은 사회 의료조직의 핵심적 의료기관으로서 치료와 통합한 완전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며 보건의료인력을 양성하는 사회학적 연구의 중심기관이다. 현재 국내 병원의 현황을 살펴보면, 의약분업이라는 정부의 병원정책 이후 병원의 경영악화를 가져와 역대 최고로 동네의원을 제외한 전국 9백 75개 병원 가운데 93개(9.5%)가 문을 닫는 실정이 되었다. 이는 의료 수익은 조금 증가한 대신 의료비용이 크게 증가하였고 그에 따라 경영 악화를 초래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2006년 1월부터 의료시장이 완전 개방함에 따라 병원도 일반 기업과 같이 타 병원과 차별된는 경쟁력이 요구 되게 되었다. 따라서 병원도 기업과 마찬가지로 업무 프로세스 및 핵심 프로세스의 꾸준한 개선활동과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다.
1.2. 중화 한방 병원 개요
중화 한방병원 개요
원천 의료법인 중화 한방병원은 1982년 경기도 최초의 한-양방 협진 한방 종합병원으로 개원하였다. 중풍 및 척추관절 전문병원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MRI, CT를 갖춘 방사선과와 척추수술 전문 신경외과를 개설하였고 복부 초음파, 수면 내시경 검사가 가능한 중화내과를 신설하였다. 친절한 병원, 끊임없는 자기개발, 연구하는 병원을 원훈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중풍조기검진 클리닉 및 중풍센터, 추나관절 클리닉, 비만 및 소아성장 클리닉, 간질환 및 부인병 클리닉, 중풍재활클리닉, 한-양방 종합검진 센터 등의 다양한 진료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내과, 신경외과, 방사선과 등의 양방 진료과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2. 현 프로세스 분석 및 문제점 도출
중화 한방병원의 외래진료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환자가 접수 창구에 접수를 하면 보험환자와 일반환자로 구분되고 이에 따라 각각 다른 프로세스가 적용되고 있다. 보험환자의 경우 진료 후 보험처리가 이루어지고 일반환자는 바로 수납을 하는 식이다.
입원 프로세스의 경우에도 외래에서 입원이 결정되면 입원 수속을 거쳐 병동 배치와 입원 치료를 받게 되며, 퇴원 시에는 퇴원비 결제와 함께 간호과에 서류를 제출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현재 중화 한방병원은 전산망이 구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사가 직접 차트를 작성하고 전산입력요원이 이를 다시 입력하는 등 상당 부분이...
참고 자료
•’현대병원 시스템 관리론’ -정기선 저
• ‘프로세스 조직도입 사례에 관한 연구’ - 송상호 교수 저
• ‘Cyber Medical System’ -강남성모병원 기획홍보팀장 김장묵 저
•A Study on Computerization of Hospital Management System
産業技術硏究所論文報告集 Vol.3 No.1 -정홍 이약구 박향재 저
1. 사망원인 통계연보. 통계청, 1999.
2. Warlow CP, Dennis MS, van Gijn J. Stroke : a practical guide to management. Oxford : Blackwell science, 1996.
3. 윤진구. 뇌졸중에 관한 임상통계적 연구. 경희대학교 의학석사학위논문, 1989.
4. 김한규, 김순철, 조경기. 폐쇄성 뇌졸중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82 Vol 11, No.4
5. Warlow CP. Epidemiology of stroke. Lancet 352(supplⅢ), 1998.
6. O'Mahony PG, Thamson RG, Dobson R, Rogers H, James OF. The prevalence of stroke and associated disability. Journal of Public Health Medicine, 1999. 21(2)
7. Talyor TN, Davis PH, Torner JC, Holmes J, Meyer JW, Jacobson F. Lifetime cost of stroke in the united states. Stroke 27, 1996.
엄영진(2009), 건강과 의료의 경제학, 계축문화사.
공인식. (2020). 비급여 관리 정책현황 및 발전방안, HIRA 정책동향.
김명희 외(2010), 의료사유화의 불편한 진실, 후마니타스.
김시영·최광수·이경은 (2019). 의료소비자의 동기가 병원선택요인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상품학연구.
김정희·박천만 (2016). 지각된 의료서비스 품질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강현수. 의료서비스 품질, 고객 만족, 병원 애호도 간 상호관련성과 서비스가치 및 명성의 매개 역할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위덕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신명호. 의료기관의 서비스품질과 관계혜택이 재이용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만족의 매개효과와 고객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강춘한(2012), 의료서비스 품질 핵심 요인이고객의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진영(2004), 병원 서비스 품질 차이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품질경영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