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업부전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편의점 산업 개요
1.2. 편의점 시장 현황 및 특성
2. 사업부 전략 수립을 위한 분석
2.1. 산업구조 및 경쟁 환경 분석
2.2. GS리테일 편의점 사업부의 경영자원 파악
2.3. 경쟁사의 경영자원 및 경쟁전략 분석
3. GS리테일 편의점 사업부 전략 제안
3.1. 퀵커머스 서비스 확대 전략
3.2. 점포 확대 전략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편의점 산업 개요
편의점 산업은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워진 오프라인 위주 산업들 중에서도 유일하게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는 1인 가구의 증가와 사람 많은 곳을 회피하는 성향의 사람들이 편의점 이용을 더 선호했기 때문이며, 약 2년 전부터 벌어진 PB 상품 경쟁이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레트로 열풍에 편승해 BGF 리테일은 곰표 밀맥주, 말표 흑맥주, 로케트 젤리 등과 같은 PB 상품들을 출시했고, GS25는 한옥마을, 금성맥주 골드스타와 같은 맥주들을 출시했다. 이러한 레트로 컨셉의 수제 맥주들은 코로나-19에도 한동안 영업제한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아 2030 세대의 마음을 사로잡아 불티나게 팔려나갔고, 품절대란까지 겪기에 이른다. 또한 편의점 산업의 주요 타겟층이 10~30대로 트렌드에 매우 민감하다는 특성이 있다. 편의점 업계에서는 업계 1위를 말할 때 점포수를 기준으로 하는데, 점포수가 많을수록 프로모션이 용이하고 소비자의 접근성이 좋으며, 본사 입장에서는 점주들로부터 받는 가맹비를 더 많이 걷어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국내 시장에 편의점 수가 포화상태에 직면해 해외진출을 도모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
1.2. 편의점 시장 현황 및 특성
편의점 산업은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워진 오프라인 위주 산업들 중에서도 유일하게 성장세를 이어간 산업이다. 이는 1인 가구의 증가와 사람 많은 곳을 회피하는 성향의 사람들이 편의점 이용을 더 선호했기 때문이다. 또한 약 2년 전부터 벌어진 PB 상품 경쟁이 강화되면서 편의점 시장이 성장할 수 있었다.
레트로 열풍에 편승해 BGF 리테일은 곰표 밀맥주, 말표 흑맥주, 로케트 젤리 등과 같은 PB 상품들을 출시했고, GS25는 한옥마을, 금성맥주 골드스타와 같은 맥주들을 출시했다. 이러한 레트로 컨셉의 수제 맥주들은 코로나-19에도 한동안 영업제한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자 실외에서 늦은 시간까지 맥주 한 잔 하고 싶었던 2030의 마음을 사로잡아 불티나게 팔려나갔고, 품절대란까지 겪게 되었다.
또 한 가지의 강력한 산업 특성은, 주요 타겟층의 나이가 10~30대이다 보니 트렌드에 매우 민감하다는 점이다. 앞서 레트로 열풍에 관련 PB상품들을 쏟아낸 사례처럼, MBTI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자 일명 '맥BTI' 라는 상품을 바로 만들어 낼 정도로 편의점(유통)산업은 트렌드에 민감하다.
마지막 산업 특성은, 규모의 경제를 추구한다는 점이다. 편의점 업계에서는 업계 1위를 얘기할 때, 타 산업처럼 점유율을 말하지 않고 점포수를 얘기한다. 점포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프로모션을 하기에도 편리하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접근성이 좋다는 얘기이며, 본사 입장에서는 점주들에게 받는 '가맹비'를 더 걷어들일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다만, 최근에는 국내 시장에 편의점 수가 포화상태에 직면해 해외진출을 도모하는 기업이 많아졌다. [1]
2. 사업부 전략 수립을 위한 분석
2.1. 산업구조 및 경쟁 환경 분석
편의점 산업의 구조 및 경쟁 환경
편의점 산업은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워진 오프라인 위주 산업들 중에서도 유일하게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1인 가구의 증가와 사람 많은 곳을 회피하는 성향의 소비자들이 편의점 이용을 더 선호했기 때문이며, 약 2년 전부터 벌어진 PB 상품 경쟁이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레트로 열풍에 편승해 BGF 리테일은 곰표 밀맥주, 말표 흑맥주, 로케트 젤리 등과 같은 PB 상품들을 출시했고...
참고 자료
신기주, 「LG전자는 왜 실패했나」, 『포춘코리아』2010년 11월호.
마이클포터, 「경쟁론」, 21세기북스, 2011
김지현, 「모바일 이노베이션」, 21세기북스, 2010
이상호, 김선진, 「디지털 미디어 스마트 혁명」, 미래를 소유한 사람들, 2011
유진평, 손재권, 이승훈, 최광, 홍장원, 「모바일 세상을 삼키다」, 매일경제신문사, 2010
박승엽, 박원규, 「삼성 vs LG: 그들의 전쟁은 계속된다」, 미래의 창, 2007
곽숙철, 「그레이트피플=Great people: LG전자, 그들은 어떻게 세계를 제패했나」, 웅진윙스, 2008.
편집부(2010) 「글로벌 전자책시장 실태와 관련 산업 동향」, 데이코산업연구소, 2010
편집부, 「글로벌 스마트폰 개발전략과 시장전망」, 데이코산업연구소, 2010
지식경제부, 「글로벌 모바일 강국 실현을 위한 모바일 산업 발전전략」, 박태완 사무관 지식경제부 정보통신산업과, 2010
이제홍, 「이동통신 3사의 통신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2010
박윤석, 「lg유플러스 N스크린 서비스 요금 대폭 인하」, 2011
이호선, 「효율적인 e-business를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2009
이제홍, 「이동통신 3사의 통신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2010
김기연, 「스마트 모바일 시장의 정책 및 전략 수립을 위한 시장참여자 주관성 유형화 연구」, 2012
송홍기, 「다국적기업의 현지화 전략에 관한 연구」, 1999
조명현, 「변화하는 휴대폰 산업 환경에서의 중국 진출 전략: 노키아와 삼성전자 사례를 중심으로」, 2008
LG전자 모바일사업부 드디어 흑자 전환, 2012.02.01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20201135249
LG전자 MS에게 왕따 당해, 2009.11.02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110210545582599
LG·MS 첫 전략 스마트폰 7월 출시, 2009.06.14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421831&g_menu=020300
LG전자 MS와 제휴, 2009.02.17 http://kr.aving.net/news/view.php?articleId=115929
삼성-구글폰 VS LG-윈도폰, 2009.11.16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111609583456996
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091116111630623&ts=152938
윈도폰으로 승부수 띄운 MS, 2009.10.08 http://www.etnews.com/news/international/2173778_1496.html
MS, 스마트폰 OS 시장 점유율 한자리로 ‘뚝’ 2009.12.30 http://www.bloter.net/archives/22183
윈도폰7 출시, 삼성·LG도 윈도폰7 출시 2010.10.11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69215
윈도폰7 초기시장 고전 2010.12.23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0122402010351747002
LG전자, 구글최적화폰 내놓는다-브랜드는 ‘옵티머스’로 통일 2010.07.05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502709&g_menu=020300
삼성·LG전자 “구글 차세대 스마트 OS 잡아라”, 2010.11.04 http://news.hankooki.com/lpage/economy/201011/h2010110402320521540.htm
"왕좌 탈환" MS, 삼성 협공 '윈도8' 출격, 모바일 판도 뒤엎나, 2011.09.15 http://sbscnbc.sbs.co.kr/read.jsp?pmArticleId=10000245958
MS 윈도우8 공개, 모바일파트너 삼성 선택, 2011.09.15 http://sbscnbc.sbs.co.kr/read.jsp?pmArticleId=10000245810
중국, 올해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 2012.04.15 http://blog.naver.com/ktec21?Redirect=Log&logNo=80157167477
중국 스마트폰 시장, 미국 추월, 세계 1위 예상, 2012.03.18 http://blog.paran.com/cheoneui/46890153
삼성전자, 윈도 모바일로 선회하나, 2011.08.1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3&aid=0002037814
LG 모바일 날개 달았다, 2012.04.21 http://economy.hankooki.com/lpage/it/201204/e20120402170958117700.htm
휴대폰 세계 점유율 40% 꿈은 이루어진다, 휴대폰 세계 점유율 40% 꿈은 이루어진다, 2009.12 http://www.fnnews.com/view?ra=Sent0901m_View&corp=fnnews&arcid=0921855341&cDateYear=2009&cDateMonth=12&cDateDay=31
아마존, 62년 된 장르소설 출판사 인수, 2011.06.11 http://www.bloter.net/wp-content/bloter_html/2012/06/112885.html
LG전자는 왜 실패했나, 2012.02.03 http://news.hankooki.com/lpage/economy/201102/h2011022316483721500.htm 2011.02.03
삼성-LG, 이번엔 무선 충전기 표준 '기싸움', 2012.05.08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656085&g_menu=020800
휴대단말시장에서 삼성과 LG의 위치 http://mobizen.pe.kr/934
구글의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수로 인한 변화 http://mobilein.blog.me/10117311046
이두희, 윤성수 외 3명 저, [경영교육 뉴 패러다임 (4차산업혁명시대 미래를 이끌 경영교육 융합과 혁신의 방향)] 매일경제신문사 2018
한국일보 2015.01.27 [조동성 칼럼] 경영 패러다임의 변화
이종욱 저, [다원성 경영패러다임 변화와 경제성장 원천] 명경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