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조현정동장애의 정의와 특성
조현정동장애는 조현병과 더불어 기분 삽화 양쪽증상이 동시에 공존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조현병의 증상인 만족하는 망상, 환각, 이상행동 등이 보이는 시기에 기분삽화가 동시에 존재하여야 한다. 즉, 정신증적양상과 기분증상이 동시에 발생하는 것이다. 조현병으로 보기에는 기분삽화가 존재하는 기간이 길며, 기분장애로 보기에는 기분삽화 없는 시기에 망상과 환각이 나타나므로 기분장애로 볼 수 없다.
1.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조현정동장애의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조현정동장애는 조현병과 기분장애의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는 정신질환으로, 환자들이 겪는 정신증적 증상과 기분 증상의 양상이 다양하고 복합적이기 때문에 치료와 관리가 어렵다. 조현정동장애는 조현병보다는 예후가 좋지만 단순 기분장애보다는 예후가 나쁘며, 환자들의 사회적 기능 수준이 저하되고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조현정동장애의 발병 원인과 증상, 치료법 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조현정동장애의 특성과 증상, 진단 기준, 치료법 등을 문헌 고찰을 통해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실제 사례를 통해 간호 중재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조현정동장애 환자의 증상 관리와 사회복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 중재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조현정동장애의 특징
2.1. 원인 및 발병 요인
조현정동장애의 원인 및 발병 요인은 다음과 같다.
조현정동장애는 유전적 요인, 생화학적 요인, 신경해부학적 요인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과 프로이트, 말러, 설리반, 가족관계이론 등의 심리사회적 요인, 그리고 생물학적 스트레스 요인과 증상 유발 요인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병한다.
유전적 요인으로는 가족 내에 조현병이나 양극성 장애 또는 조현정동장애가 있는 경우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발병률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화학적 요인으로는 도파민, 세로토닌, 글루타민산 등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이 조현정동장애의 병태생리와 연관된 것으로 밝혀졌다. 신경해부학적 요인으로는 측두엽, 전전두엽, 해마 등 뇌 구조의 기능 및 형태학적 이상이 조현정동장애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심리사회적 요인으로는 정신역동학적 관점에서 부모와의 애착 관계 형성의 문제, 가족 구성원 간 역기능적 상호작용, 스트레스 취약성 등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생물학적 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외상, 약물 남용, 사회적 스트레스 등이 있으며, 증상 유발 요인으로는 수면 부족, 약물 중단, 대인관계 갈등 등이 있다.
이처럼 조현정동장애의 발병에는 유전적, 생물학적, 심리사회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2. 주요 증상
조현정동장애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망상이다. 조현정동장애 환자들은 편집성 망상, 과대망상, 피해망상 등 다양한 형태의 망상을 경험한다. 망상은 환자의 정신 증상 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지는 증상 중 하나이다"".
둘째, 환각이다. 조현정동장애 환자들은 주로 청각 환각을 경험하며, 이 외에도 시각 환각, 체성 감각 환각 등 다양한 유형의 환각을 겪는다. 특히 청각 환각의 경우 자신에게 해를 가하거나 비난하는 목소리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환자에게 큰 고통을 준다"".
셋째, 와해된 언어이다. 조현정동장애 환자들은 때때로 대화 내용이 비논리적이고 지리멸렬해지는 경험을 한다. 이는 사고의 장애와 관련된 증상으로, 환자의 전반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저하시킨다"".
넷째, 극도로 와해되거나 긴장된 행동이다. 조현정동장애 환자들은 때때로 기괴하고 적절하지 않은 행동을 보인다. 이는 내적 충동을 적절히 통제하지 못하는 증상에서 비롯된다"".
다섯째, 음성 증상이다. 조현정동장애 환자들은 감정 표현의 감소, 무의욕, 무감동 등의 음성 증상을 보인다. 이는 환자의 사회적 기능과 대인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주요 우울 삽화와 조증 삽화가 공존한다는 점이다. 조현정동장애 환자들은 기분 증상과 정신증적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이로 인해 증상의 경과가 복잡하고 예후가 불량할 수 있다"".
2.3. 진단 기준
조현정동장애의 진단 기준은 DSM-5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A. 조현병의 연속 기간 동안 조현병의 진단 기준 A와 동시에 주요 기분(주요우울 또는 조증) 삽화가 있어야 한다. 즉, 정신증적 양상과 기분증상이 동시에 발생해야 한다.
B. 평생의 유병 기간 동안 주요 기분(주요우울 또는 조증) 삽화 없이 존재하는 2주 이상의 망상이나 환각이 있어야 한다.
C. 주요 기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