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간호사의 인수인계
간호사의 인수인계는 교대근무가 시작되는 시점에 전 근무자가 다음 근무자에게 직접 간호업무와 간접간호업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간호업무 활동이다. 이는 환자간호의 질과 안전성, 연속성을 유지하고 보장하는 중요한 정보교환과정이다. 인수인계 시 환자의 상태, 수액, 투약, 검사, 협진, 처방, 기타 사항을 환자 의무기록을 함께 검토하며 전달한다. 인수인계 방법으로는 녹음, 문서화된 checklist, 카덱스, 전자의무기록(EMR) 등을 활용하는 구두 인수인계 방식이 있다. 인수인계의 구성 요소로는 상황(Situation), 배경(Background), 사정(Assessment), 권고(Recommendations)가 있으며, 이는 SBAR로 알려진 표준화된 의사소통 도구이다. 이를 통해 간단한 상황 설명, 기본 배경 정보, 환자 상태 및 고려사항에 대한 평가, 그리고 필요한 조치 및 권고사항을 체계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2. 본론
2.1. 인수인계 의사소통의 규범
2.1.1. 규범의 기술적(descriptive) 탐구
규범의 기술적(descriptive) 탐구는 현대의 언어 연구와 의사소통 연구가 기술적인 방향으로 편향되어 있고 규범적(normative) 연구는 거의 배제되고 있는 설정이다. 판단의 기준이 합리적이거나 객관적이지 못한 까닭은 실제성을 토대로 하지 않고 개인의 경험이나 소수의 연구자의 관념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 도출된 의사소통 규범은 연구자의 주관적 관점이나 특정한 의사소통 이론에 의해서가 아니라 다수의 이사소통 사용자가 지니고 있는 관점이나 판단의 기준을 기술하고 체계화한 것이기 때문에 그러한 규범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2.1.2. 대상자 중심의 규범
의사소통 규범에 대한 질적 연구는 의사소통 과정에서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부분과, 의사소통 개선 방안 등을 의사소통 참여자에게 직접 질문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의사소통 참여자가 긍정적이거나 바람직하다고 판단하는 것 또는 그들이 선호하는 것을 중심으로 의사소통 규범이 재구성된다. 이로써 의사소통 규범의 실제성과 실용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의사소통 참여자의 관점과 가치관을 중심으로 의사소통 규범이 정립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의사소통 규범의 실제성과 실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2.1.3. 개별 대화 유형의 특수성을 반영한 규범
개별 대화 유형의 특수성을 반영한 규범이다. 대부분의 의사소통 교육이 개별 대화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한 채 이루어지고 있다.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탐구된 의사소통 규범은 개별 대화 수행자의 경험과 관점을 기반으로 한 것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