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신생아 실습을 오면서 질병이 있는 신생아보다 정상 신생아들이 많아서 케이스 스터디의 선정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그 중 기저귀 발진을 보이는 신생아가 있어서 선정하게 되었다. 기저귀 발진은 신생아에게 흔하고, 며칠 만에 사라지지만 이것을 방치 해둘 경우 곰팡이균이 증식하거나, 고름이 생겨 잘 낫지 않게 되기 때문에 잘 관리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이번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기저귀 발진에 대해 알아보고, 대상자에게 적용해줄 간호과정을 계획하여 대상자에게 편안함과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1.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기저귀 발진(diaper rash)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찰이다. 기저귀와 피부 사이의 마찰로 넓적다리의 안쪽 표면과 성기, 엉덩이에 발진이 쉽게 발생한다. 마찰이 표피의 각질층에 손상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침연이다. 침연이란 각질층의 과도한 수분에 의하여 수화된 현상으로, 마찰에 의한 피부의 손상을 촉진시킨다. 침연에 의하여 피부의 투과성이 증가되면 피부가 여러 가지 자극물질에 예민하게 반응하게 된다.
셋째, 소변이다. 소변의 암모니아와 그 이외의 여러 가지 소변분해산물로 인해 발진이 발생한다.
넷째, 대변이다. 유아의 대변에는 췌장단백분해효소, 췌장리파아제 및 세균에 의해 장내에서 생산되는 유사한 효소들이 포함되어 있어 치부에 자극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효소들이 pH를 증가시키게 된다.
다섯째, 미생물이다. 밀봉에 의한 피부의 침연은 여러 가지 미생물들 중 특히 칸디다 곰팡이에 쉽게 감염되게 한다. 그래서 기저귀 발진을 더욱 악화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화학 자극물이다. 기저귀 소독에 사용되는 비누, 세제 및 방부제가 기저귀 발진을 악화시킨다.
2. 본론
2.1. 대상자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출생정보 기록
정OO 아기는 2023년 5월 4일 오전 10시 17분에 태어났다. 임신 기간은 40주 1일이었으며, 첫째 아이로 태어났다. 성별은 여자이고, 출생 시 체중은 2.885g, 키는 47.5cm, 두위는 34cm였다. 분만 방식은 둔위 제왕절개(Breech C/S)였으며, Apgar 점수는 1분 후 9점, 5분 후 10점이었다.
대상자 간호력
정OO 아기는 2023년 5월 4일 오전 10시 17분에 출생한 신생아이다. 정보는 분만실 간호사와 신생아실 간호사로부터 제공받았다. 출생 시 체중은 2.885g이었으나, 현재 체중은 2.843g이다.
2.2. 입원동기 및 주증상
병원에서 출생한 단생아(singleton, born in hospital)이며, 큰소리로 울며 달래지지 않고 얼굴을 찡그리며 끙끙거리고 쉽게 잠들지 못하였다. 또한 항문 및 서혜부 주위에 발적이 있었다.
2.3. 현병력
5월 6일, 9시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