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신생아실 케이스 연구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아동간호학 신생아실 케이스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2. 본론
2.1. 대상자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2.2. 입원동기 및 주증상
2.3. 현병력
2.4. 과거병력
2.5. 가족력
2.6. 낙상위험평가도구
2.7. 신생아 통증 척도 도구
2.8. 신체 사정
2.9. 임상 검사 결과
2.10. 질환에 대한 치료
2.11. 의학적 진단
2.12. 문제 목록
2.13. 간호과정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신생아 실습을 오면서 질병이 있는 신생아보다 정상 신생아들이 많아서 케이스 스터디의 선정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그 중 기저귀 발진을 보이는 신생아가 있어서 선정하게 되었다. 기저귀 발진은 신생아에게 흔하고, 며칠 만에 사라지지만 이것을 방치 해둘 경우 곰팡이균이 증식하거나, 고름이 생겨 잘 낫지 않게 되기 때문에 잘 관리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이번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기저귀 발진에 대해 알아보고, 대상자에게 적용해줄 간호과정을 계획하여 대상자에게 편안함과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1.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기저귀 발진(diaper rash)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찰이다. 기저귀와 피부 사이의 마찰로 넓적다리의 안쪽 표면과 성기, 엉덩이에 발진이 쉽게 발생한다. 마찰이 표피의 각질층에 손상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침연이다. 침연이란 각질층의 과도한 수분에 의하여 수화된 현상으로, 마찰에 의한 피부의 손상을 촉진시킨다. 침연에 의하여 피부의 투과성이 증가되면 피부가 여러 가지 자극물질에 예민하게 반응하게 된다.

셋째, 소변이다. 소변의 암모니아와 그 이외의 여러 가지 소변분해산물로 인해 발진이 발생한다.

넷째, 대변이다. 유아의 대변에는 췌장단백분해효소, 췌장리파아제 및 세균에 의해 장내에서 생산되는 유사한 효소들이 포함되어 있어 치부에 자극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효소들이 pH를 증가시키게 된다.

다섯째, 미생물이다. 밀봉에 의한 피부의 침연은 여러 가지 미생물들 중 특히 칸디다 곰팡이에 쉽게 감염되게 한다. 그래서 기저귀 발진을 더욱 악화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화학 자극물이다. 기저귀 소독에 사용되는 비누, 세제 및 방부제가 기저귀 발진을 악화시킨다.


2. 본론
2.1. 대상자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출생정보 기록

정OO 아기는 2023년 5월 4일 오전 10시 17분에 태어났다. 임신 기간은 40주 1일이었으며, 첫째 아이로 태어났다. 성별은 여자이고, 출생 시 체중은 2.885g, 키는 47.5cm, 두위는 34cm였다. 분만 방식은 둔위 제왕절개(Breech C/S)였으며, Apgar 점수는 1분 후 9점, 5분 후 10점이었다.

대상자 간호력

정OO 아기는 2023년 5월 4일 오전 10시 17분에 출생한 신생아이다. 정보는 분만실 간호사와 신생아실 간호사로부터 제공받았다. 출생 시 체중은 2.885g이었으나, 현재 체중은 2.843g이다.


2.2. 입원동기 및 주증상

병원에서 출생한 단생아(singleton, born in hospital)이며, 큰소리로 울며 달래지지 않고 얼굴을 찡그리며 끙끙거리고 쉽게 잠들지 못하였다. 또한 항문 및 서혜부 주위에 발적이 있었다.


2.3. 현병력

5월 6일, 9시경...


참고 자료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기저귀 발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789&cid=51004&categoryId=51004(2019.05.21)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기도폐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108&cid=51007&categoryId=51007(2019.05.23)
NAVER 지식백과(아는만큼 쉬워지는 육아 이야기). “기저귀 발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09717&cid=48636&categoryId=48636(2019.05.21)
지제근.『알기쉬운 의학용어 풀이집』.고려의학(2004),P36-43
김강미자 외 10명.『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2006)
하영수 외 16명.『아동청소년건강간호학』.신광출판사(2019)
하영수, 이경혜 외 7명.『여성 모성간호학Ⅰ』.신광출판사(2018)
김미예 등. (2022). 신생아건강간호. 수문사. 64-104p. 159-161p.
김영혜 등. (2018). 아동건강간호학 총론. 현문사. 153-154p. 160-167p.
김영혜 등. (2018).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현문사. 210-211p.
김지연. 공희경. (2023). 2023년 학습성과 기반 아동간호학 임상실습1 지침서. 은학사. 180-190p.
성미혜. 정향미. 김영희. 양영옥. (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320-321p. 326p.
송경애 등. (2022).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174-177p.
드러그인포 available from: https://www.Druginfo.co.kr/main.asp
약학정보원 available from: https://www.health.kr/main.asp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