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사및 장기기증

  • 1
  • 2
  • 3
  • 4
  • 5
  • 6
  • 7
  • 8
>
최초 생성일 2025.02.27
5,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뇌사및 장기기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뇌사와 장기기증의 정의
1.2. 장기기증의 역사

2. 장기기증 현황
2.1. 장기기증 통계 및 분석
2.2. 국내외 장기기증 현황 비교

3. 장기기증 관련 법규
3.1.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개정 내용
3.2. 인체조직 기증 관련 법규

4. 장기기증 활성화 방안
4.1. 장기기증의 날 및 홍보 캠페인
4.2. 장기기증자와 수혜자 간 교류 지원
4.3. 생존 기증자 권리 보호 및 예우 강화

5. 윤리적 이슈와 과제
5.1. 뇌사 판정 기준의 모호성
5.2. 장기기증 동의 확인 방법의 문제점
5.3. 장기 분배의 공정성 논란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뇌사와 장기기증의 정의

뇌의 죽음이란 뜻으로, 뇌 손상으로 호흡 및 순환중추의 기능이 완전히 상실되어 소생 가능성이 없는 상태이다. 이 상태가 되면 인공호흡기에 의존하여 맥박, 혈압, 호흡 등을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나 스스로 호흡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그 어떤 치료를 해도 필연적으로 심박동이 정지하여 사망에 이르게 된다. 뇌사 장기기증은 정밀한 의학검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뇌사판정을 받았을 때 장기를 기증하는 것이다. 뇌사 시 기증 가능한 장기에는 심장, 폐(2개), 간, 췌장, 신장(2개), 소장 등 총 8개의 장기가 포함되며, 이를 이식하여 최대 8명의 장기기능부전환자에게 새로운 생명을 선물할 수 있다. 그러나 감염성 질환, 암세포 침범, 특정 질환 등의 이유로 장기 이식에 부적합한 경우 기증이 불가능할 수 있다.


1.2. 장기기증의 역사

장기이식은 20세기에 들어오면서부터 시작되었다. 1954년 머레이(Murray)가 일란성 쌍생아 사이의 신장이식을 성공하였고, 1963년 스타츨(Starzl)이 간장이식, 1966년 켈리(Kelley)가 췌장이식, 1967년 버나드(Barnard)가 심장이식, 1968년 쿨리(Cooley)가 심폐 동시이식을 각각 성공하면서 그 범위가 확대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69년 신장이식의 성공으로부터 시작되었고, 1979년 뇌사자로부터의 신장이식이 최초로 이루어졌다. 1988년에는 뇌사자로부터의 간이식이 성공을 거두었다. 1992년에는 췌장 및 심장이식의 성공으로 장기이식이 본격화되었고, 1996년에는 폐이식도 성공하여 모든 장기의 이식이 가능하게 되었다.

장기이식은 머지않은 미래에 인공장기 내지 바이오장기(Bio organ) 등의 발달에 의하여 공급되는 장기의 부족 현상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 장기기증 현황
2.1. 장기기증 통계 및 분석

우리나라의 최근 5년간 장기기증자의 수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통계에 따르면 2014년 2,383명, 2015년 2,503명, 2016년 2,796명, 2017년 2,822명, 2018년 2,364명으로 집계되었다.

그러나 장기이식을 원하는 이식대기자의 수가 기증자 수보다 더 많은 상황이다. 이식대기자 수는 2014년 2,823명, 2015년 3,434명, 2016년 4,252명, 2017년 4,782명, 2018년 4,731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장기기증을 희망하는 사람들의 수에 비해 장기이식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6월 기준 장기이식 대기자는 총 2만9,171명이며, 평균 대기 시간은 약 3년 3개월에 달한다. 또한 2009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장기이식 대기 중 사망자 수는 총 1만1,006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장기기증률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저조한 편이다. 2013년 기준 인구 100만명 당 뇌사장기기증률은 스페인 35.12명, 미국 25.99명, 프랑스 25.50명인 반면 한국은 8.44명에 그쳤다. 이는 우리나라의 장기기증 문화와 제도적 기반이 부족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2.2. 국내외 장기기증 현황 비교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5년간 장기기증자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에 2,383명이었던 장기기증자 수는 2015년 2,503명, 2016년 2,796명, 2017년 2,822명으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2018년에는 2,364명으로 다시 감소하였다.

반면에 이식대기자 수는 해마다 증가하여 2014년 2,823명에서 2018년 4,731명으로 늘어났다. 이는 장기기증을 희망하는 사람의 수에 비해 장기이식을 원하는 사람의 수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10년 간 우리...


참고 자료

“[생명 나누는 ‘행복한 빈손’] 외국 사례를 통해 본 장기기증 활성화”, 불교신문, 2017년 5월 15일, (2018. 10. 28)
“손수레 할머니 돕던 故 김선웅 군, 동백나무로 우리 곁에”, 연합뉴스, 2018년 10월 30일, 1면
“장기기증, 본인 의사 존중하고 있는가”, 의협신문, 2018년 10월 12일, 1면
“'해운대 음주운전' 피해자 친구 "뇌사 판정 앞두고 장기기증 고려 중", YTN, 2018년 10월 5일, 1면
네이버, “장기이식 법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4853&efYd=20181016#AJAX, (2018. 10. 27)
네이버 블로그, “장기기증 방식”, https://blog.naver.com/onnurieyebank/221124236146, (2018. 10. 28)
네이버 블로그, “장기기증 캠페인”, https://blog.naver.com/sdenver/220979771119, (2018. 10. 27)
네이버 블로그, “장기기증 현황”, https://blog.naver.com/hosabi55/221374879901, (2018. 10. 27)
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 “장기기증의 날”, http://www.donor.or.kr/sub/campaign/99day/101521, (2018. 10. 27)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 http://www.amc.seoul.kr, (2018. 10. 27)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 “장기이식”, https://www.konos.go.kr/konosis/index.jsp, (2018. 10. 27)
한국자기조직기증원, “장기기증”, http://www.koda1458.kr, (2018. 10. 27)
강현진 외. 「장기구득 코디네이터 업무지침서」. 한국장기조직기증원(2019).
강태수 (1998).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안)에 대한 헌법적 고찰. 청주법학, 14(0), 1-18.
김명희 (2004). 한국의 생체장기 기증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송윤진. (2017). 한국의 장기기증 의사결정 상의 문제점과 그 대안. 한국의료윤리학회지, 20(2), 176-192.
앤드류 킴브렐, 김동광 외역. (1995).휴먼 보디숍: 생명의 엔지니어링과 마케팅, 김영사, 32.
이경환 (2002). 장기이식 현황 및 정책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57.
황지영 (2012). 생체장기기증자의 기본권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민장기조직혈액관리원, https://www.konos.go.kr (2021. 05. 05.)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 organ.amc.seoul.kr (2021. 05. 05.)
10. 찾기 쉬운 생활법령정보, m.easylaw,go.kr (2021. 05. 05.)
11. 한국장기조직기증원, www.koda1458.kr (2021. 05. 05.)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