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학 소아특발성관절염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소아 특발성 관절염의 정의
2.2. 소아 특발성 관절염의 원인
2.3. 소아 특발성 관절염의 증상 및 진단
2.4. 소아 특발성 관절염의 치료
2.5. 소아 특발성 관절염의 합병증 및 예후
3. 사례연구
3.1. 시나리오
3.2. 간호과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소아 특발성 관절염(이하 JIA)은 16세 이하의 소아에서 적어도 6주 이상, 하나 또는 여러 관절에 만성적으로 염증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이는 소아의 결체 조직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양성의 경과를 취하기도 하나 일부 관절의 기능적 불구와 실명을 유발할 수 있어 중요한 질환으로 생각된다. JIA는 1890년대 처음 기술되었지만 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고, 국내에서는 아직 이 질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적절한 진단 및 치료가 시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질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진단을 내리기 위해 시행되었다.
2. 문헌고찰
2.1. 소아 특발성 관절염의 정의
소아 특발성 관절염(소아 류마티스 관절염)은 16세 이하의 소아에서 적어도 6주 이상, 하나 또는 여러 관절에 만성적으로 염증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이는 소아의 결체 조직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양성의 경과를 취하기도 하나 일부 관절의 기능적 불구와 실명을 유발할 수 있어 중요한 질환으로 간주된다. 1890년대에 처음 기술되었지만 아직 그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며, 국내에서는 이 질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적절한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 질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진단을 내리는 것이 필요하다.
2.2. 소아 특발성 관절염의 원인
소아 특발성 관절염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외부 환경적인 항원의 노출과 개인의 감수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외에도 정신적인 스트레스, 신체적인 외상, 호르몬 이상, 감염 등과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자가면역 기전과 유전적 요인이 주된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소아 특발성 관절염은 자가면역 질환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는데, 체내에서 자신의 세포와 조직을 공격하는 자가항체가 생성되어 관절을 포함한 다양한 조직에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병인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자가면역 기전에는 유전적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소아 특발성 관절염 환자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바이러스, 박테리아와 같은 감염성 요인이 질병 발생을 촉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러한 감염성 항원에 노출된 개인의 면역 반응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자가면역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밖에도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적 요인이나 물리적 외상이 소아 특발성 관절염 발생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적 면역 기능 저하나 관절 손상이 질병 발생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종합해보면, 소아 특발성 ...
참고 자료
Arthritis Foundation. https://www.arthritis.org/diseases/juvenile-idiopathic-arthritis
권순일. 백성욱. 박인원. 김광남, & 박찬기. 2013. 한국에서의 소아 류마티스관절염에서 발생한 포도막염의 임상양상. 대한안과학회지. 54(12). 1838-1843.
김동수. 2007.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50(12). pp.1173-1179.
김영혜 외 (2019). 최신 아동건강간호학Ⅰ. 수문사
박은영 외 (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서울 :현문사
서문주. (1995).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간호중재-간호과정적용 중심으로. 대한근관절건강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00-106.
송경애 외 9명(2016),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오광택 외 13명. 1997.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의 임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 4, No. 2.
질병관리본부. 2015. 소아 특발성 관절염(JIA). 건강정보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서울 :현문사
아동간호학 1,2 (제 2판), 엄영희 외 공저, 현문사
아동간호학 실습 지침서, 조은정·이경미 공저
기본간호학Ⅰ,손정태 외, 현문사
개정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2014), 김강미자 외, 현문사
드러그 인포
신재일.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의 경과 및 예후 인자. Diss.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권순일, et al. "한국에서의 소아 류마티스관절염에서 발생한 포도막염의 임상양상." 대한안과학회지 54.12 (2013): 1838-1843.
오순남.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아동의 질병경험. Diss.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김동수.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 (2007): 1173-1179.
양선희 외, 2017, 『기본간호학I』, 현문사
윤은자 외, 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김영혜 외, 2019,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Ⅱ』, 수문사
박은영 외, 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