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
1.1. 사례 소개: C-section을 거부하는 임부와 남편
1.2. 의사결정과정
1.2.1. 사례에서 추가로 확인할 정보
1.2.2. 의사결정 과정 참여자
1.2.3. 선택 가능한 의사결정 사항
1.2.4. 의사결정에 대한 윤리적 평가
1.3. 최종 의사결정
2. 간호사의 법적 의무
2.1. 주의의무
2.2. 설명 및 동의의무
2.3. 비밀유지의무
2.4. 확인의무
3.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
3.1. 윤리적 딜레마 사례 소개
3.2. 윤리적 쟁점
3.3. 사실관계와 관련된 정보 수집
3.4. 가치체계와 지식 확인
3.5. 대안적 의사결정 및 평가
3.6. 최종 의사결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
1.1. 사례 소개: C-section을 거부하는 임부와 남편
새벽 3시경 35세 된 김**이 응급실을 통하여 휠체어를 탄채 입원하였다. 옆에는 보호자로 남편이 있었다. 임부는 신음소리를 내며 흐느끼고 있었고 간간히 입술을 깨무는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분만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간단히 산과력을 포함한 건강력에 대한 문진을 실시한 결과, 간호사는 부부에게는 이미 3명의 자녀가 있으며 이번 태아의 재태기간이 39주 4일인 것을 알게 되었다.
1.2. 의사결정과정
1.2.1. 사례에서 추가로 확인할 정보
간호사는 임부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활력징후가 안정적인지 확인한다. 태아심음을 청진하고 태아심박동수를 확인하여 태아의 상태가 안정적인지 파악한다. 전자 태아감시기 패턴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여 태아의 산소 공급 상태를 확인한다. 또한 자궁수축의 간격, 기간, 강도를 파악하여 분만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한다. 복부 검진과 질강 검진, 항문 진찰을 통해 태아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고 분만 진행 상황을 파악한다. 파막 검사를 통해 양막 파수 여부를 확인한다. 수술 전 검사로 소변검사, 혈액검사(CBC, BUN), 전해질 및 산도 검사, 응고 검사, 혈액형 교차검사, ECG 등을 시행하여 산모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산모와 태아의 현재 상태와 향후 예상되는 위험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1.2.2. 의사결정 과정 참여자
의사결정 과정에는 의료기관 및 병원윤리의원회, 의사, 간호사, 대상자와 보호자가 참여한다. 의료기관 및 병원윤리의원회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쟁점들을 검토하고 자문을 제공한다. 의사는 의료적 처치의 필요성과 부작용 등을 설명하고 최종 의사결정을 내린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여 의견을 제시한다. 대상자와 보호자는 의사결정에 대한 자신의 선호도와 가치관을 표현한다.
이처럼 다양한 참여자들이 의사결정 과정에 개입하며, 각자의 전문성과 권한, 책임에 따라 역할을 수행한다. 의사결정 과정에서는 이들 간의 상호작용과 의견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1.2.3. 선택 가능한 의사결정 사항
제왕절개 실시와 자연분만 시도
제왕절개 실시는 태아와 산모 모두의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태아의 후기하강과 횡위 상태로 인해 태아가 질식할 위험이 크므로 응급 제왕절개 수술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급 제왕절개 수술은 해를 끼치지 않을 의무와 선을 행할 의무에 부합한다.
그러나 부부의 자율성을 존중하지 않고 제왕절개를 실시하는 것은 자율성의 원칙에 어긋난다. 부부가 제왕절개를 원하지 않고 자연분만을 시도하고자 하는 것은 자기결정권을 행사하는 것이므로 이를 존중해야 한다.
자연분만을 시도할 경우 태아와 산모 모두에게 심각한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태아의 골절, 뇌 손상, 장 손상, 사망률 증가와 산모의 산도 파열, 자궁 파열 등의 합병증이 우려된다. 따라서 자연분만 시도는 해를 끼치지 않을 의무와 선을 행할 의무에 위반된다.
결과적으로 응급 제왕절개 수술이 태아와 산모에게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부부의 자율성을 존중해야 하므로 부부를 계속해서 설득하여 제왕절개에 동의하도록 해야 한다. 만약 최종적으로 부부가 동의하지 않는다면 불가피하게 자연분만을 시도...
참고 자료
김상득. "의료행위에 있어서 온정적 간섭주의의 정당화 물음" 한국의료윤리학회지 19, no.4 (2016): 447-469.
하영수. 『여성 모성간호학』. 2018. 신광출판사
“난산, 태아 위치 이상 - 횡위 분만”. CHA 의과학대학교 차병원. 2020년 11월 25일 접속. http://chamc.co.kr/health/guide/default.asp?ct_id=331&cc_id=33110
사례: 2014. 04.13 MBC '신비한 TV 서프라이즈‘
[네이버 지식백과] 자기결정권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네이버 지식백과] 안락사 (한국민족문화대백관)
[네이버 지식백과] 존엄사 [尊嚴死] (두산백과)
[네이버 국어사전] 소극적 안락사 (우리말샘)
[네이버 지식백과] 안락사 [安樂死, euthanasia] (종교학대사전, 1998. 8. 20.)
간호윤리학과 전문직, 제3판, 수정판 (장금성 외 7인)
사례: 유튜브 및 YTN뉴스
https://www.youtube.com/watch?v=z_kD5ZA2y-s
https://www.ytn.co.kr/_ln/0103_201905131654580876
[서울특별시 아동복지센터] 아동학대
[네이버 지식백과] 아동 학대 [child abuse]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대법원 종합법률정보]- 아동학대 복지법
[대법원 종합법률정보]-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간호윤리학과 전문직, 제3판, 수정판 (장금성 외 7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