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동23심혈관장애
1.1. 호흡기장애
1.1.1. 해부생리
아동의 호흡기계는 성인의 호흡기계와 해부학적으로 차이가 있다. 영아와 어린 아동의 기도가 성인에 비해 좁아 폐쇄될 가능성이 높다. 출생 시 영아의 흉벽은 약하고 유연하며 호흡근육이 덜 발달되어 있다. 이로 인해 폐용적이 감소하고 호흡곤란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영아는 비강호흡을 하며, 코와 코인두, 인두가 좁아 부종이나 분비물로 인해 쉽게 막힐 수 있다. 2세경이 되면 성인과 같은 호흡 방식인 복식호흡을 하게 되며, 7세 이후에는 흉식호흡을 하게 된다.
영아와 어린 아동의 산소 요구량은 성인보다 약 2배가량 많지만, 폐포 표면적이 작고 폐용적이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호흡기 감염이 발생하면 빠르게 저산소증과 호흡곤란이 올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임신 약 20주부터 생성되기 시작하여 약 28주와 32주에 양수에서 발견되는데, 이와 같은 신체적 미성숙이 호흡기장애 위험을 높인다.
1.1.2. 급성호흡기장애
비인두염(nasopharyngitis, 감기)은 아동에게 자주 발생하는 호흡질환 중 하나이다. 대부분 미생물에 의해 발병하며, 가장 흔한 원인은 바이러스(rhinovirus가 가장 흔함)이다. 아동은 평균 6~10회/년 감기를 경험하며 가을, 겨울에 더 많이 발병한다. 성장할수록 감기에 걸리는 횟수는 감소한다(성인은 평균 2~4회/년).
감염은 조직의 염증에 의해 나타나며, 염증 과정에서 조직이 붓고 삼출물이 배출된다. 비강 충혈은 부종과 분비물에 의해 나타나며, 이는 비강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한다. 감기의 전형적인 증상으로는 코막힘, 비염, 재채기, 콧물, 기침, 인후통, 발열, 보챔, 권태감, 두통, 근육통 등이 있다. 영아는 잘 먹지 못하고 아동은 식욕이 떨어질 수 있으며, 구토와 설사를 할 수도 있다.
감기는 대부분 48~72시간 이내에 호전되며, 특별한 치료법이 없고 대증적인 치료를 시행한다. 비아스피린계 진통제와 해열제는 열을 줄이고 불편감을 감소시켜준다. 생리식염수 코점적은 3~4시간 간격으로 실시하며(영아는 수유 전 실시), 나이 든 아동에게는 비충혈 제거제와 기침 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항히스타민제는 구강 점막을 건조하게 하여 바이러스성 비인두염 치료에 사용하지 않는다.
편도염과 인두염(pharyngitis)은 아동기의 흔한 질환이며,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감염이다. 그러나 박테리아에 감염되었을 때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건강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A군 B-hemolytic streptococci는 세균성 인두염과 편도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이를 치료하지 않으면 성홍열, 중이염, 주위 조직의 화농성 감염, 급성 사구체 신염, 수막염, 류마티스열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편도는 림프조직으로 구개인두에 위치하며 세균체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 아동은 인두강 내의 림프조직이 비대해 있기 때문에 편도염에 자주 걸리고 상기도 감염이 흔하다. 인두염의 전형적인 증상은 인후통, 연하곤란, 발열 등이다.
중이염(otitis media)은 아동기에 흔한 질환 중 하나이며, 급성중이염은 아동에게 항생제가 처방되는 가장 흔한 세균성 질환이다. 급성중이염은 streptoc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 moraxella catarrhalis균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질환이다. 3세 이하의 아동은 유스타키오관이 넓고 짧으며 곧기 때문에 중이염에 걸릴 확률이 높다.
급성중이염의 주된 증상은 통증, 발열, 과민성, 상기도 질환 증상이다. 그러나 귀의 통증을 제외하고 비특이적이고 호흡기 감염 증상이므로 명확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