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의 정의와 특징
1.2. 심정지 후 증후군의 병인론
1.3.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의 병태생리
2. 본론
2.1. 심정지 후 증후군의 임상증상
2.2.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의 진단
2.3. 저체온 요법의 치료 기전 및 과정
2.4. 저체온 요법의 합병증과 간호중재
2.5. 저체온 요법 적용 사례
3. 결론
3.1.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간호의 필요성
3.2. 저체온 요법 적용을 위한 간호사의 역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의 정의와 특징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은 심정지 상황에서 순환이 정지됨에 따라 전신에 허혈이 발생하고, 심폐소생술 및 순환 회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재관류로 인해 뇌를 포함한 여러 장기에 발생하는 복합적인 손상이다. 심정지 후 뇌손상은 허혈과 재관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해마, 대뇌피질, 소뇌, 줄무늬체, 시상 부위에 주로 발생한다. 뇌의 미세관류 장애로 인한 허혈, 이차 재관류 손상 및 조직부종, 뇌혈관 저항 증가에 따른 뇌 혈류량 감소 등이 소생 후에도 뇌손상을 지속시키는 원인이 된다. 심정지 상황에서 뇌혈류량은 0에 근접하는 경향을 보이며, CPR 중 부분적 혈류 회복과 재관류 과정에서 혈액 응고 과정이 활성화되어 미세혈전이 형성되고 활성화된 호중구와 혈소판이 축적된다. 이로 인해 재관류 시 활성 산소가 증가하여 세포 내벽 손상 및 뇌부종이 발생한다.
1.2. 심정지 후 증후군의 병인론
심정지 상황이 되면 뇌혈류량은 0에 근접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전신 허혈의 반응으로 사이토카인 방출과 보체 활성이 일어난다. CPR 동안 부분적으로 혈류가 회복되고 재관류가 시작되면 혈액 응고과정이 활성화되면서 미세혈전이 형성되고 활성화된 호중구와 혈소판이 미세혈관에 축적된다. 재관류 동안 활성 산소의 증가는 세포내벽 손상을 일으켜 혈관 투과성 증가로 뇌부종을 일으킬 수 있다. 부신 코르티솔 합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고 초기 불응성 쇼크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몇 가지 사이토카인이 상향 조절되어 호중구 침윤으로 인한 조직 손상을 촉진시킨다. 노인 환자의 경우 뇌간 기능 장애가 더욱 악화될 수 있으며, 이는 심정지 및 소생술 후 사망률과 이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병태생리학적 장애는 심정지가 시작될 때 발생하지만 신경 변성의 임상 증상은 지연될 수 있다. 자발순환회복 후 대규모 기능적 신경학적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뇌의 형태학적 변화는 3주 후 최대 수준에 도달한다.
1.3.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의 병태생리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심정지 상황이 되면 뇌혈류량은 0에 근접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이에 따른 전신 허혈의 반응으로 사이토카인 방출과 보체 활성이 일어난다. 심폐소생술 동안 부분적으로 혈류가 회복되고 재관류가 시작되면 혈액 응고과정이 활성화되면서 미세혈전이 형성되고 활성화된 호중구와 혈소판이 미세혈관에 축적된다. 또한 재관류 동안 활성 산소의 증가는 세포내벽 손상을 일으켜 혈관 투과성 증가로 뇌부종을 일으킬 수 있다. 부신 코르티솔 합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고 초기 불응성 쇼크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몇 가지 사이토카인이 상향 조절되어 호중구 침윤으로 인한 조직 손상을 촉진시킨다. 노인...
참고 자료
고일선·김진숙 외(2022),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학지사메디컬
이재왕·김지희(2022), 프셉마음 : 혈액검사 해석 및 간호편, 드림널스
황성오(2010), 새로운심폐소생술기법; 저체온요법, Journal of Cardiac Arrhythmia
Jerry P. Nolan 외(2015),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and European Society of Intensive Care Medicine Guidelines for Post-resuscitation Care, Journal of Intensive Care
이하나(2022), 심정지 후 증후군 환자의 목표체온유지치료 적용 후 반동성 고체온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산업대학원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